2025 제2회 DMH 카트라이더 월드컵
최근 수정 시각:
역대 DMH 카트라이더 월드컵 대회 일람 | ||||
→ | 2025 제2회 DMH 카트라이더 월드컵 | → | N/A | |
2025 제2회 DMH 카트라이더 월드컵 SOLO CHAMPION | ||||
→ | → | N/A | ||
2025 제2회 DMH 카트라이더 월드컵 TEAM CHAMPION | ||||
-[1] | → | → | N/A | |
2025 제2회 DMH 카트라이더 월드컵 2025第二届大马猴杯跑跑卡丁车世界赛 DMH KRWC 2025 S2 | |||||||||||||
대회 기간 | |||||||||||||
개최지 | |||||||||||||
주최자 | |||||||||||||
주관 | TRY League | ||||||||||||
참가 인원 | 429명[2] | ||||||||||||
총 상금 | ¥ 906,000[3] | ||||||||||||
경기장 | |||||||||||||
중계 | |||||||||||||
일정 | |||||||||||||
결과 | |||||||||||||
| |||||||||||||
| ||||||||||||||||||||||||||||||||||||||||||||||||||||||||||||||||||||||||||||||||||||
총 상금 | ||
¥ 906,000 | ||
결과 | 개인전 | 팀전 |
우승 | ¥ 200,000 | ¥ 200,000 |
준우승 | ¥ 100,000 | ¥ 100,000 |
3위 | ¥ 50,000 | ¥ 50,000 |
4위 | ¥ 30,000 | ¥ 30,000 |
5위 | ¥ 25,000 | |
6위 | ¥ 20,000 | |
7위 | ¥ 15,000 | |
8위 | ¥ 10,000 | |
9~12위 | ¥ 5,000 | |
13~16위 | ¥ 3,000 | |
17~24위 | ¥ 2,000 | |
25~32위 | ¥ 1,000 | |
DMH KRWC 2025 S2 경기 일정 | ||
날짜 | 팀전 | 개인전 |
9월 28일 (일) 9월 29일 (월) | - | 온라인 선발전 |
10월 1일 (수) | 128강 1~8경기 | |
10월 2일 (목) | 128강 9~16경기 | |
10월 3일 (금) | 64강 1~4경기 | |
10월 4일 (토) | 64강 5~8경기 | |
10월 11일 (토) | 조별리그 1라운드 | 32강 A, B조 |
10월 12일 (일) | 조별리그 2라운드 | 32강 C, D조 |
10월 13일 (월) | 조별리그 3라운드 | 32강 패자부활전 A, B조 |
10월 14일 (화) | 4강 진출전 | 16강 A, B조 |
10월 15일 (수) | 4강 1라운드 | 16강 승자전 |
10월 16일 (목) | 4강 2라운드 | 16강 패자전 |
10월 17일 (금) | 4강 3라운드 | 16강 최종전 |
10월 18일 (토) | 결승전 | - |
10월 19일 (일) | - | 결승전 |
팀과 선수 이름 아래의 문구는 해당 팀 및 선수가 중국 대회에서 거둔 최고 성적을 의미한다. 참고로 ★ 1개 당 팀전 우승 1회, ⍟ 1개 당 팀전 우승 5회, ✪ 1개 당 팀전 우승 10회를 나타낸다.
지난 2025 KCL 때와 마찬가지로 Gstorm의 지원을 받아 출전한다. 이재혁, 박인수는 그대로에 유창현과 고병수를 영입하여 전력을 더욱 강화하였다.
팀 전력을 평가하자면 두말할 필요 없는 우승 후보 1순위. 현재 명실상부 중국 카트라이더판 최고의 라이더 이재혁과 25년 6월 소집해제를 하자마자 카트판으로 돌아와 가파르게 실력을 끌어올리고 있는 박인수, 그리고 비교적 늦게 복귀했지만 역시나 클래스를 보여주면서 폼을 되찾고 있는 유창현까지 통칭 신 BIG3인 쿨박윷이 한 팀에 뭉친것에 더해, KDL에서 샌드박스 팀의 주전을 맡았고 원작 실력도 개인전 결승급 라이더로 평가받는 고병수까지 선수 개개인의 실력과 네임밸류가 가장 뛰어난 팀이다. 마치 과거 카트계 사황이라 불리던 전문윾슨이 한 팀으로 나와 압도적인 실력으로 중국리그를 제패했던 팀 로스터처럼, 대놓고 우승하려는 사기조합이라는 평가가 있을 정도.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GST.○○○ "
지난 DMH 대회에서 결승전까지 올라가며 폼을 증명한 유영혁과 이홍일, 점점 물이 오르고 있는 이명재와 김응태가 뭉쳤다. 기존 한카 리그 시절의 팀전 전력으로 따지면 Gstorm 팀에 비하면 상당히 부족하다 생각할 수 있지만, 중카에 들어서서 폼이 점점 상승 중인 이홍일과 팀전에서 전성기급의 미친 포스를 보이는 중인 유영혁을 필두로 인빈서블이 어떤 모습을 보여줄 지가 관건이다. 로스터 상으로는 Gst와 By가 가장 유력한 결승 진출 후보로 점쳐지는 만큼 이 2강 구도를 깨기 위해선 선수 개개인의 분발이 필요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iV.○○○ "
배기연을 제외한 모든 선수가 군 복무를 마치고 복귀한 인원들이다. 현재로써는 한국 팀 중에서 가장 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전대웅을 필두로 연방에서 좋은 폼을 보이고 있기에 절대 무시할 수 없는 팀이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RVE.○○○ "
SPEED ACE ![]() | RUNNER | MIDDLE | RUNNER |
중국 대회에서 상위권 순위를 휩쓸고 있는 중국 카트 선수 4인이 모여 드림팀을 이루었다. 시리를 제외한 세 명은 모두 2025 DMH 월드컵에서 결승에 진출한 적이 있으며, 시리마저도 DMH 16강 진출에 KCL에서 4점을 부여받고 활약한 전적이 있어 한국의 Gstorm팀과 더불어 강력한 우승 후보로 평가받는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By.○○ "
샤오무, SSS, 샤오한, 쥔홍이 한 팀이 되어 출전한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SHL.○○ "
N/A | N/A ![]() | N/A | N/A |
Dizao缔造 준우승 | XuanXie宣泄 | ||
샤오밍, 진타오, 디자오, 쉬안셰가 한 팀이 되어 출전한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PTC.○○ "
N/A | N/A | N/A ![]() | N/A | N/A |
Beiguo背锅 | 669 | |||
지거, 베이궈, 린타오, 장보, 669가 한 팀이 되어 출전한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CGS.○○ "
RUNNER ![]() | SWEEPER | RUNNER | MIDDLE | N/A |
Noah | S8 | Yingge影哥 | ||
닐, 노아, 요거, S8, 잉거가 한 팀이 되어 출전한다. 대만 팀 중에서는 가장 우승 후보에 가까운 팀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특히 닐과 요거를 중심으로 어떤 좋은 모습을 보일지 귀추가 주목된다. 다만 닐과 노아는 2025 KCL에서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둔 적이 있기에[21][22] , 이 결과를 어떻게 피드백해서 개선해나갈지가 관건일 것이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FW.○○ "
N/A ![]() | N/A | N/A | N/A | N/A |
PR | Yudi雨滴 | Niaobu尿布 | Guangdie光碟 | Shenhua神話 |
PR, 위디, 냐오부, 광뎨, 선화가 한 팀이 되어 대만 팀으로 출전한다. 다만 2025 KCL에서 3점을 받은 PR과 2025 제1회 DMH 월드컵 본선에 출전한 냐오부를 제외하면 딱히 알려진 정보가 없어 귀추를 알 수 없는 팀이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LC.○○○ "
선수 이름 아래의 문구는 해당 선수가 중국 정규 리그 개인전에서 거둔 최고 성적을 의미한다. ★은 개인전 우승 횟수를 나타낸다.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DMH.○○○ "
대회용 계정의 닉네임 양식은 " DMH.○○○ "
C조 | |||
이재혁李宰赫 | 고병수高秉秀 | 김의지金意持 | 유영혁刘永赫 |
★ | 첫 출전 | 3위[30] | |
PR | NEAL | Lintao麟涛 | Yancheng彦成 |
4위 | 첫 출전 | ||
A조 | ||||||||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라운드 득실 | 연속 | 비고 | |
1 | ![]() | GST | 2 | 0 | +4 | +10 | 2승 | |
2 | | LC | 1 | 1 | -1 | -5 | 1승 | |
3 | | SHL | 0 | 2 | -3 | -5 | 2패 | |
B조 | ||||||||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라운드 득실 | 연속 | 비고 | |
1 | iV | 2 | 0 | +4 | +10 | 2승 | ||
2 | FW | 1 | 1 | 0 | -2 | 1승 | ||
3 | | CGS | 0 | 2 | -4 | -8 | 2패 | |
C조 | ||||||||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라운드 득실 | 연속 | 비고 | |
1 | ![]() | By | 2 | 0 | +3 | +6 | 2승 | |
2 | | RVE | 1 | 1 | 0 | -2 | 1승 | |
3 | | PTC | 0 | 2 | -3 | -4 | 2패 | |
파란색 : 4강 진출 | 초록색 : 4강 진출전 진출 | 빨간색 : 탈락 | 볼드체 : 순위 확정 | ||||||||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라운드 득실 | 연속 | 비고 | |
1 | FW | 2 | 0 | +4 | +7 | 2승 | ||
2 | | RVE | 1 | 1 | -1 | -3 | 0승 | |
3 | | LC | 0 | 2 | -3 | -4 | 2패 | |
파란색 : 4강 진출 | 빨간색 : 탈락 | 볼드체 : 순위 확정 | ||||||||
1라운드 | 2라운드 | ||||||||||
승자조 |
| ||||||||||
| |||||||||||
패자조 | |||||||||||
연두색 :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 우승 | |||||||||||
32강 전반조(1, 2경기) | 32강 후반조(3, 4경기) |
| |||||||||||||||||||||||||||||||||||||||||||||
| |||||||||||||||||||||||||||||||||||||||||||||
| |||||||||||||||||||||||||||||||||||||||||||||
| |||||||||||||||||||||||||||||||||||||||||||||
32강 패자부활전(1, 2경기) |
| |||||||||||||||||||||||||||||||||||||||||||||
| |||||||||||||||||||||||||||||||||||||||||||||
16강 A, B조 경기 |
| |||||||||||||||||||||||||||||||||||||||||||||
| |||||||||||||||||||||||||||||||||||||||||||||
16강 승자전 경기 |
| |||||||||||||||||||||||||||||||||||||||||||||
16강 패자전 경기 |
| |||||||||||||||||||||||||||||||||||||||||||||
16강 최종전 경기 |
| |||||||||||||||||||||||||||||||||||||||||||||
팀전 순위 | ||||||||
최종 순위 | 조별리그 순위 | 팀 | 승 | 패 | 세트 득실 | 트랙 득실 | 상금 | 비고 |
우승 | A조 1위 | GStorm | 5 | 0 | +12 | +41 | ¥ 200,000 | 결승전 승 |
준우승 | B조 1위 | INVINCIBLE | 4 | 2 | 0 | -7 | ¥ 100,000 | 결승전 패 |
3위 | C조 1위 | By Plus | 3 | 2 | +2 | -1 | ¥ 50,000 | 패자조 결승전 패 |
4위 | B조 2위 | 3 | 2 | 2 | 1 | ¥ 30,000 | 패자부활전 패 | |
5위 | C조 2위 | REVEX | 2 | 2 | -1 | -5 | - | 4강 진출전 패 |
6위 | A조 2위 | LITA CREATIVE | 1 | 3 | -4 | -9 | - | 4강 진출전 패 |
7위 | C조 3위 | PTC | 0 | 2 | -3 | -4 | - | 탈락 |
8위 | A조 3위 | SH LEG | 0 | 2 | -3 | -5 | - | 탈락 |
9위 | B조 3위 | CGS | 0 | 2 | -4 | -8 | - | 탈락 |
파란색 4강 진출 | 진한 초록색 패자부활전 진출 | 빨간색 탈락7 ~ 9위는 승률 → 세트득실 → 트랙득실 순서대로 나열함. | ||||||||
개인전 순위 | |||||
순위 | 선수 | 평균 점수 | 결과 | 상금 | |
1위 | 박인수 (朴仁秀) | 5.52 | 결승전 3세트 승 | ¥ 200,000 + ¥ 4,000[33] | |
2위 | 이재혁 (李宰赫) | 5.93 | 결승전 3세트 패 | ¥ 100,000 + ¥ 9,000[34] | |
3위 | XX | 5.00 | 결승전 2세트 패 | ¥ 50,000 | |
4위 | 고병수 (高秉秀) | 4.34 | 결승전 1세트 4위 | ¥ 30,000 + ¥ 1,000[35] | |
5위 | Fangzong (放纵) | 4.84 | 결승전 1세트 5위 | ¥ 25,000 + ¥ 3,000[36] | |
6위 | Youge (佑哥) | 4.19 | 결승전 1세트 6위 | ¥ 20,000 | |
7위 | 이홍일 (李弘一) | 4.19 | 결승전 1세트 7위 | ¥ 15,000 + ¥ 1,000[37] | |
8위 | 문호준 (文豪浚) | 4.32 | 결승전 1세트 8위 | ¥ 10,000 | |
9위 | NEAL | 4.70 | 최종전 5위 | ¥ 5,000 + ¥ 2,000[38] | |
10위 | 김응태 (金应兑) | 4.43 | 최종전 6위 | ¥ 5,000 | |
11위 | Xiaomu (小牧) | 3.89 | 최종전 7위 | ¥ 5,000 | |
12위 | Xiaohan (小寒) | 3.43 | 최종전 8위 | ¥ 5,000 | |
13위 | 유영혁 (刘永赫) | 4.27 | 패자전 5위 | ¥ 3,000 | |
14위 | Xili (犀利) | 4.16 | 패자전 6위 | ¥ 3,000 | |
15위 | Jige (鸡哥) | 3.19 | 패자전 7위 | ¥ 3,000 | |
16위 | Jintao (金涛) | 4.15 | 패자전 8위 | ¥ 3,000 | |
17위 | Xuanxie (宣泄) | 3.57 | 패자부활전 1경기 5위 | ¥ 2,000 | |
김의지 (金意持) | 3.67 | 패자부활전 2경기 5위 | ¥ 2,000 | ||
19위 | Junhong (俊宏) | 3.64 | 패자부활전 1경기 6위 | ¥ 2,000 | |
이명재 (李明宰) | 2.83 | 패자부활전 2경기 6위 | ¥ 2,000 | ||
21위 | 김기수 (金基秀) | 3.00 | 패자부활전 1경기 7위 | ¥ 2,000 | |
유창현 (柳昌贤) | 3.13 | 패자부활전 2경기 7위 | ¥ 2,000 | ||
23위 | SK | 2.14 | 패자부활전 1경기 8위 | ¥ 2,000 | |
PR | 1.96 | 패자부활전 2경기 8위 | ¥ 2,000 | ||
25위~28위 | 최지혁 (崔智赫) | 2.26 | D조 7위 | ¥ 1,000 | |
SSS | 2.20 | D조 8위 | ¥ 1,000 | ||
전대웅 (全大熊) | 1.92 | B조 7위 | ¥ 1,000 | ||
Dizao (缔造) | 1.88 | A조 7위 | ¥ 1,000 | ||
29위~32위 | Lintao (麟涛) | 1.76 | C조 8위 | ¥ 1,000 | |
Yancheng (彦成) | 1.69 | C조 8위 | ¥ 1,000 | ||
Yingge (影哥) | 1.69 | B조 8위 | ¥ 1,000 | ||
Biaofeng (飚风) | 1.33 | A조 8위 | ¥ 1,000 | ||
역대 리그에서 기록된 베스트 레코드가 아닌 DMH KRWC 2025 S2에서 기록된 베스트 레코드만 서술한다.
TEAM Track Best Record | ||||||
트랙 | 기록 | 경기 | 팀 | 선수[40] | 카트바디[41] | |
카멜롯 외곽 순찰로 | 1:34:227 | 결승전 PH 1 SET 2 | GStorm | |||
어비스 바다 소용돌이 | 1:35:148 | A조 1경기 | GStorm | |||
도검 구름의 협곡 | 1:34:240 | 4강 패자전 | By Plus | 卡尔 | ||
올림포스 하늘의 신전 | 2:05:057 | 결승전 PH 1 SET 1 | GStorm | |||
네모 산타의 비밀공간 | 1:34:503 | A조 2경기 | GStorm | |||
비치 해변 드라이브 | 1:47:003 | 4강 패자조 결승전 | INVINCIBLE | |||
WKC 투어링 랠리 | 1:20:673 | 4강 2경기 | GStorm | |||
차이나 서안 병마용 | 1:36:221 | 4강 승자조 결승전 | GStorm | |||
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 | 1:33:170 | C조 1경기 | PTC | 金涛 | ||
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 | 1:49:842 | B조 1경기 | INVINCIBLE | |||
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 | 1:31:269 | B조 3경기 | CGS | 鸡哥 | ||
네모 강철바위 용광로 | 1:46:579 | A조 1경기 | GStorm | |||
월드 뉴욕 대질주 | 1:20:641 | 4강 진출전 1경기 | ||||
쥐라기 공룡 결투장 | 1:46:609 | A조 2경기 | GStorm | |||
아이스 아찔한 헬기 점프 | 2:02:576 | 4강 1경기 | ||||
노르테유 전투비행장 | 1:43:446 | 4강 1경기 | ||||
빌리지 만리장성 | 1:39:890 | A조 2경기 | GStorm | |||
[R]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 2:08:416 | A조 1경기 | GStorm | |||
포레스트 지그재그 | 2:03:805 | 4강 승자조 결승전 | GStorm | |||
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 | 1:57:654 | 4강 패자전 | By Plus | 犀利 | ||
SOLO Track Best Record | ||||||
트랙 | 기록 | 경기 | 선수 | |||
카멜롯 외곽 순찰로 | 결승전 1라운드 경기 | 1:34:449 | 이재혁 | |||
어비스 바다 소용돌이 | 32강 C조 경기 | 1:34:897 | 이재혁 | |||
도검 구름의 협곡 | 16강 A조 경기 | 1:33:532 | 이재혁 | |||
도검 용의 길 | 128강 P조 경기 | 0:59:529 | NEAL | |||
네모 산타의 비밀공간 | 64강 C조 경기 | 1:34:439 | 박인수 | |||
비치 해변 드라이브 | 64강 F조 경기 | 1:46:244 | 이재혁 | |||
WKC 투어링 랠리 | 결승전 1라운드 경기 | 1:21:400 | 박인수 | |||
차이나 서안 병마용 | 32강 B조 경기 | 1:37:045 | 放纵 | |||
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 | 64강 H조 경기 | 1:32:270 | 放纵 | |||
문힐시티 숨겨진 지하터널 | 64강 H조 경기 | 1:49:445 | 放纵 | |||
동화 잠자는 숲속의 거인 | 128강 J조 경기 | 1:30:865 | 이홍일 | |||
[R] 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 | 결승전 1라운드 경기 | 1:49:495 | 이재혁 | |||
팩토리 미완성 5구역 | 결승전 1라운드 경기 | 1:12:637 | 이재혁 | |||
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 64강 F조 경기 | 1:06:678 | 이재혁 | |||
아이스 아찔한 헬기점프 | 16강 A조 경기 | 2:01:345 | NEAL | |||
빌리지 붐힐 터널 | 128강 B조 경기 | 1:06:535 | 박인수 | |||
빌리지 만리장성 | 16강 B조 경기 | 1:39:867 | 박인수 | |||
[R]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 128강 H조 경기 | 2:07:110 | 이재혁 | |||
포레스트 지그재그 | 결승전 1라운드 경기 | 2:03:986 | 고병수 | |||
포레스트 아찔한 다운힐 | 64강 F조 경기 | 1:29:822 | 이재혁 | |||
| |||||||||||||||||||||||||||||||||||||||||||||||||||||||||||||||||||||||||||||||||||||||||||
[1] 팀전 리그 미진행[2] 중국 301명, 한국 47명, 대만 81명[3] 한화 약 1억 8천만원, 개인전 ¥ 526,000, 팀전 ¥ 380,000[4] 팀전 9강 조별리그 ~ 결승, 개인전 32강 ~ 결승[5] 2017 TGG 팀전 우승[6] 2017 TGG 팀전 우승[7] 2022, 2023, 2024 KCL 팀전 우승[8] 2016 TGG 서머컵, 2017 TGG 서머컵, 2018 TGG 서머컵, 2019 TGG 서머컵, 2019 TGG 윈터컵, 2020 TGG 윈터컵, 팀전 우승[9] 2024 KCL 팀전 우승[10] 2023 KCL 팀전 우승[11] 2016 TGG 서머컵, 2016 TGG 윈터컵, 2017 TGG 서머컵, 2018 TGG 서머컵, 2019 TGG 서머컵, 2019 TGG 윈터컵, 2020 TGG 윈터컵, 2023 KCL 팀전 우승[12] 2012 K1 TV 리그 시즌 1, 2013 K1 TV 리그 시즌 4, 2022, 2023, 2024 KCL 팀전 우승[13] 2022 KCL 팀전 우승[14] 2016 TGG 서머컵, 2017 TGG 서머컵, 2018 TGG 서머컵, 2019 TGG 서머컵, 2019 TGG 윈터컵, 2020 TGG 윈터컵 팀전 우승[15] 2017 TGG 서머컵, 2018 TGG 서머컵, 2019 TGG 서머컵, 2019 TGG 윈터컵, 2020 TGG 윈터컵 팀전 우승[16] 2013 K1 TV 리그 시즌 4, 2022 KCL 우승[17] 2016 TGG 윈터컵, 2018 TGG 윈터컵 팀전 우승[18] 2012 K1 TV 리그 시즌 1, 2016 TGG 윈터컵, 2018 TGG 윈터컵, 2025 KCL 팀전 우승[19] 2012 K1 TV 리그 시즌 2, 2013 K1 TV 리그 시즌 3, 2016 TGG 윈터컵 팀전 우승[20] 2024 KCL 팀전 우승[21] 스크림부터 본 경기까지 팀원 간의 합이 잘 안맞았고 전적도 좋지 않았다. 그리고 한 경기 중 칼의 컴퓨터가 꺼지는 사건이 있었는데 이때 팀 내부 갈등이 심해져서 Noah가 혼자 기권해 버렸다.[22] 칼의 컴퓨터가 꺼진이유는 피씨방 시간이 부족해서라는 터무니없는 이유였다.[23] 2020 KCL 개인전 우승[24] 2025 KCL 개인전 준우승[25] 2024 KCL 개인전 준우승[26] 2012 K1 리그 개인전 우승[27] 2020 KCL 개인전 준우승[28] 2017 세기천성 TGG 윈터컵 개인전 준우승[29] 2022 세기천성 TGG 윈터컵 개인전 3위[30] 2017 세기천성 TGG 윈터컵 개인전 3위[31] 2025 KCL 개인전 공동 3위[32] 2022 세기천성 TGG 윈터컵 개인전 준우승[33] 개인 레코드 상금[34] 개인 레코드 상금[35] 개인 레코드 상금[36] 개인 레코드 상금[37] 개인 레코드 상금[38] 개인전 레코드 상금[39] 베스트 레코드 1트랙을 보유할때 마다 ¥ 1,000씩 늘어난다. 트랙이 20개 이므로 총 상금은 ¥ 20,000.[40] 인게임 내 ID 이름이나 라이브방송의 선수 이름 표시 기준[41] 중국 서버 명칭 기준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