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최근 수정 시각:
6
편집
IP 우회 수단(프록시 서버, VPN, Tor 등)이나 IDC 대역 IP로 접속하셨습니다. (#'290963')
(VPN이나 iCloud의 비공개 릴레이를 사용 중인 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잘못된 IDC 대역 차단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 게시판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토론역사
[ 펼치기 · 접기 ]
달려라 달려 홍민택아 (문서가...
달려라 달려 홍민택아
CPO 홍박사 몽키민택
CPO 홍박사 몽키민택
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구약 톡경
구약 톡경
카카오톡 대개악
카카오톡 대개악
앗 뜨거! 카톡팝
앗 뜨거!
혁신의 1인자
혁신의 1인자
민택아!
민택아!
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발표일
가수
작사
작곡
재생 시간
03:23
링크
유튜브 아이콘
 
 
 
 
 
 
 
 
 
 
 
 
 
 
 
 

1. 개요2. 영상3. 가사4. 보도

 
 
 
 
 
 
 
 
 
 
 
 
 
 
 
 
 
 
 
 
 
 
 
 

1. 개요[편집]

 
 
 
 
 
 
 
 
 
 
 
 
 
 
 
 
 
 
 
 
 
 
 
 
쌀 다 팜, 시청자 33만 명? 봇이지 뭐 등의 창팝으로 유명한 유튜버 이딴게가 만든 카톡팝. Sora 2 AI를 활용한 고퀄리티의 뮤직 비디오와 높은 퀄리티의 음악으로 5일 만에 조회수 20만, 6일 만에 30만을 돌파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카톡팝은 홍민택의 실제 얼굴이 등장하지 않고 카카오톡을 의인화했기 때문에 검열 당할 확률이 가장 낮은 카톡팝 중 하나다.

퀄리티가 높다 보니 비 AI 음악과의 차이점이 없어 실제로 부른 노래인 줄 알고 노래를 잘 부른다는 댓글이 종종 보이다가 뒤늦게 AI 임을 알아차린 사람들은 AI의 성능에 경악하는 반응이 많다. 반면 AI 노래에 오래 접하여 익숙한 팬들은 영상마저도 AI로 만들었다는 사실에 더욱 충격받는데, 2D 분야로 주목받은 작품이라고 해봤자 고스타그램 정도였고 이것도 잘 보면 AI의 작위적인 느낌이 나는 반면, 이쪽은 최대한 일본 애니의 느낌을 최대한으로 살려서 위화감 없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1] 본의 아니게 Sora 2의 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 영상이라는 평.

물론 제작자인 이딴게가 영상에 엄청난 수고를 들였다는 점도 큰데, 음악이야 알만한 사람들은 프롬포트를 몇 번 짜낸다고 될 일이 아닌 걸 알고 있고 이딴게가 창팝으로 노하우를 쌓아왔다고 치면 되는 영역이지만, 사실상 처음으로 사용된 sora 2는 아직 시연 기간이라 10초짜리 짧은 영상을 만드는게 한계였음에도 이걸 갈아넣고 합쳐내면서 기어이 3분짜리 영상의 분량으로 쥐어짜내서 만들었다.[2] 제작자 왈 노래와 영상을 합해 제작에 총 60시간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2. 영상[편집]

 
 
 
 
 
 
 
 
 
 
 
 
 
 
 
 
 
 
 
 
 
 
 
 
유튜브 공식 MV
 
 
 
 
 
 
 
 
 
 
 
 
 
 
 
 
 
 
 
 
 
 
 
 

3. 가사[편집]

 
 
 
 
 
 
 
 
 
 
 
 
 
 
 
 
 
 
 
 
 
 
 
 
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이제 광고나 보라고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감히 카톡을 공짜로 보내?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꼬우면 텔레그램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디스코드
오랑캐 메신저가 침탈하니
우리 토산물 카카오가 점점 가난해져가잖아
뉴스에서 카톡을 조롱해도
쉰스타라고 놀려대도
담당자 정신건강 걱정해도
카카오톡이 간다!

Bridge
실수로 안부 인사하게 만들고
피드에 단톡 사진 나오게 하고
멀티 프로필 고로시로
사회적 암살 기능 넣고
개발자가 반대한다 해도
별점이 1점이 된다 해도
3조 4,000억 날려버린대도
카카오톡이 간다!

후렴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이제 광고나 보라고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감히 카톡을 공짜로 보내?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꼬우면 텔레그램
 
 
 
 
 
 
 
 
 
 
 
 
 
 
 
 
 
 
 
 
 
 
 
 

4. 보도[편집]

 
 
 
 
 
 
 
 
 
 
 
 
 
 
 
 
 
 
 
 
 
 
 
 

[1] 종종 프레임이 과한 부분도 3D 파트로 여기면 딱히 이질감 없이 다가와진다.[2] 그래서 영상에서도 sora의 워터마크의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가 있다.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5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