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최근 수정 시각:
|
|
쌀 다 팜, 시청자 33만 명? 봇이지 뭐 등의 창팝으로 유명한 유튜버 이딴게가 만든 카톡팝. Sora 2 AI를 활용한 고퀄리티의 뮤직 비디오와 높은 퀄리티의 음악으로 5일 만에 조회수 20만, 6일 만에 30만을 돌파하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카톡팝은 홍민택의 실제 얼굴이 등장하지 않고 카카오톡을 의인화했기 때문에 검열 당할 확률이 가장 낮은 카톡팝 중 하나다.
퀄리티가 높다 보니 비 AI 음악과의 차이점이 없어 실제로 부른 노래인 줄 알고 노래를 잘 부른다는 댓글이 종종 보이다가 뒤늦게 AI 임을 알아차린 사람들은 AI의 성능에 경악하는 반응이 많다. 반면 AI 노래에 오래 접하여 익숙한 팬들은 영상마저도 AI로 만들었다는 사실에 더욱 충격받는데, 2D 분야로 주목받은 작품이라고 해봤자 고스타그램 정도였고 이것도 잘 보면 AI의 작위적인 느낌이 나는 반면, 이쪽은 최대한 일본 애니의 느낌을 최대한으로 살려서 위화감 없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1] 본의 아니게 Sora 2의 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 영상이라는 평.
물론 제작자인 이딴게가 영상에 엄청난 수고를 들였다는 점도 큰데, 음악이야 알만한 사람들은 프롬포트를 몇 번 짜낸다고 될 일이 아닌 걸 알고 있고 이딴게가 창팝으로 노하우를 쌓아왔다고 치면 되는 영역이지만, 사실상 처음으로 사용된 sora 2는 아직 시연 기간이라 10초짜리 짧은 영상을 만드는게 한계였음에도 이걸 갈아넣고 합쳐내면서 기어이 3분짜리 영상의 분량으로 쥐어짜내서 만들었다.[2] 제작자 왈 노래와 영상을 합해 제작에 총 60시간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퀄리티가 높다 보니 비 AI 음악과의 차이점이 없어 실제로 부른 노래인 줄 알고 노래를 잘 부른다는 댓글이 종종 보이다가 뒤늦게 AI 임을 알아차린 사람들은 AI의 성능에 경악하는 반응이 많다. 반면 AI 노래에 오래 접하여 익숙한 팬들은 영상마저도 AI로 만들었다는 사실에 더욱 충격받는데, 2D 분야로 주목받은 작품이라고 해봤자 고스타그램 정도였고 이것도 잘 보면 AI의 작위적인 느낌이 나는 반면, 이쪽은 최대한 일본 애니의 느낌을 최대한으로 살려서 위화감 없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1] 본의 아니게 Sora 2의 성능을 체감할 수 있는 영상이라는 평.
물론 제작자인 이딴게가 영상에 엄청난 수고를 들였다는 점도 큰데, 음악이야 알만한 사람들은 프롬포트를 몇 번 짜낸다고 될 일이 아닌 걸 알고 있고 이딴게가 창팝으로 노하우를 쌓아왔다고 치면 되는 영역이지만, 사실상 처음으로 사용된 sora 2는 아직 시연 기간이라 10초짜리 짧은 영상을 만드는게 한계였음에도 이걸 갈아넣고 합쳐내면서 기어이 3분짜리 영상의 분량으로 쥐어짜내서 만들었다.[2] 제작자 왈 노래와 영상을 합해 제작에 총 60시간이 소요되었다고 한다.
유튜브 공식 MV |
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이제 광고나 보라고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감히 카톡을 공짜로 보내?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꼬우면 텔레그램 써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디스코드 오랑캐 메신저가 침탈하니 우리 토산물 카카오가 점점 가난해져가잖아 뉴스에서 카톡을 조롱해도 쉰스타라고 놀려대도 담당자 정신건강 걱정해도 카카오톡이 간다! Bridge 실수로 안부 인사하게 만들고 피드에 단톡 사진 나오게 하고 멀티 프로필 고로시로 사회적 암살 기능 넣고 개발자가 반대한다 해도 별점이 1점이 된다 해도 3조 4,000억 날려버린대도 카카오톡이 간다! 후렴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카카오는 이제 가난하다고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이제 광고나 보라고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감히 카톡을 공짜로 보내? 바로 카카오톡 정상화 꼬우면 텔레그램 써 |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