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정보를 찾으셨는지 모르겠지만 19번각주. 트랜스베스티즘은 이성의 복장을 입는 것에 대한 흥분, 이성복을 입은 사람에 대한 흥분이라고 설명했는데, 트랜스베스티즘은 이성의 복장을 입는 행위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그런 행위를 하는것에서 흥분감을 얻는 것이 Transvestic fetishism입니다. 이 용어에는 크로스드레싱을 하고 있는 타인에게 흥분한다는 의미는 없습니다. 그리고 의상도착적 페티시즘에 의한 진단 배제는 1994년 dsm-iv에서 공식적으로 사라졌습니다. 말씀하신 러버적 욕망을 뜻하는 학술적인 용어는 gynandromorphophilia입니다. 차라리 미국에서 진행된 transmedicalism 논쟁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차단된 사용자의 댓글입니다.
"After reviewing Blanchard's (1985, 1988, 1989a, 1989b) analyses of the various subtypes presenting at the (adult) Gender Identity Clinic of the Clarke Institute of Psychiatry. in Toronto, the subcommittee agreed that there are two common routes leading to a gender identity disorder in adolescence or adulthood. The first group of cases progresses from Gender Identity Disorder of Childhood and are sexually oriented toward members of their own biological sex; the second appears to progress from Transvestic Fetishism over time to a full-blown gender identity disorder." report of the DSM-IV Subcommittee on Gender Identity Disorders. p.339
@탄스타플안녕하세요, 글쓴이입니다. 제가 용어 뜻을 혼동한 것 같은데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전문적 지식을 갖고 쓴 것이 아니라 부족한 점이 많고, 저도 글을 쓴 이후로 오류나 아쉬운 점을 발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말씀해주신 다른 내용에 대한 의문이 있어 댓글 남깁니다.
1, dsm-4에서 공식적으로 의상도착적 페티시즘에 의한 진단 배제는 "성전환증"에 대한 진단 배제인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의료계의 성전환증 진단 기준과는 무관하게 트랜스젠더 커뮤니티 내에 존재하는 문화적 인식에 대해 서술하고 있어서, 어떤 맥락으로 이야기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2. 트랜스메디컬리즘에 대한 것은 알고 있습니다만, 미국 및 영어권에서의 논의가 한국의 논의 및 문화적 배경과 불일치하는 지점이 있어 소개하지 않았습니다(분량이 길어질 것도 우려했지만요). 댓글쓴이 분이 트랜스메디컬리즘을 언급하신 맥락이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차단된 사용자의 댓글입니다.
댓글3
DSM-IV https://www.aclu.org/sites/default/files/images/asset_upload_file155_30369.pdf
1, dsm-4에서 공식적으로 의상도착적 페티시즘에 의한 진단 배제는 "성전환증"에 대한 진단 배제인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의료계의 성전환증 진단 기준과는 무관하게 트랜스젠더 커뮤니티 내에 존재하는 문화적 인식에 대해 서술하고 있어서, 어떤 맥락으로 이야기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2. 트랜스메디컬리즘에 대한 것은 알고 있습니다만, 미국 및 영어권에서의 논의가 한국의 논의 및 문화적 배경과 불일치하는 지점이 있어 소개하지 않았습니다(분량이 길어질 것도 우려했지만요). 댓글쓴이 분이 트랜스메디컬리즘을 언급하신 맥락이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