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Conversation

학생이 아직 정치학이란 분야를 모르고, 또 관련된 개념조차 잘 모르는 것 같아 읽어볼 개론서들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정치학에는 ‘친위쿠데타’라는 개념이 있고, 이러한 개념은 주로 민주주의/권위주의와 관련된 텍스트에서 나옵니다. 이 분야에 관심이 많은 것 같으니, 관련된 저서들을 몇 가지 추천합니다. 개론서를 먼저 읽고, 그 다음 단행본을 읽는 순서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개론서입니다. 이 중 하나만 읽어도 괜찮습니다. - <정치학의 이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전공 교수진 / 박영사 - <정치학 개론: 권력과 선택> 필립스 쉬블리 저, 김계동 등 역 / 명인문화사 - <정치학>, 앤드류 헤이우드 저, 조현수 역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비교정부와 정치>, 존 맥코믹, 로드 헤이그, 마틴 해롭 저, 김계동 역 / 명인문화사 - <현대비교정치이론과 한국적 수용>, 한국정치학회 저 / 법문사 다음은 학생이 관심 있어 할만한, 권위주의 체제와 관련한 뛰어난 저서들입니다. 대부분 영어이고 국문번역본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학생이 타임라인에 직접 ‘유명한’ 고등학교에 다닌다고 했으니 영어 실력은 썩 괜찮을거라고 봅니다. 읽는데에는 무리가 없을테니 잘 읽어보세요. - Chehabi, Houchang. E., & Linz, J. J. (Eds.). (1998). Sultanistic Regimes. JHU Press. - Linz, J. J., & Stepan, A. (1996). Problem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Southern Europe, South America, and Post-Communist Europ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Moore, B. (1993). Social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Lord and Peasant i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Reprint edition). Beacon Press. - Przeworski, A. (2010). Democracy and the Limits of Self-Gover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 Przeworski, A., Alvarez, M. E., Cheibub, J. A., & Limongi, F. (2000). Democracy and Development: Political Institutions and Well-Being in the World, 1950–1990 (1st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Przeworski, A., Stokes, S. C., & Manin, B. (Eds.). (1999). Democracy, Accountability, and Represen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later, D. (2010). Ordering Power: Contentious Politics and Authoritarian Leviathans in Southeast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esquita, B. B. de, Smith, A., Siverson, R. M., & Morrow, J. D. (2003). The Logic of Political Survival. MIT Press. 위 서적들은 정치학계에서 한 획을 그은 저서들이니 학생의 공부에 대단한 공부가 될 거라고 봅니다. 이런 공부들을 먼저 한 다음 “대통령이 내란을 하는 게 말이 되냐 무뇌들아”라고 주장한 지금의 학생을 되돌아보길 바랍니다.
Quote
🇰🇷🇺🇸🇯🇵🇮🇱
@18min2e
대통령이 내란했다라는 말은 이재명이 눈이 크다랑 똑같은 말임 ㅇㅇ 말자체가 모순이라고 ㅂㅅ 무뇌들아 x.com/skeptical_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