𒄩𒈾@subti1is·2023年11月21日返信先: @iAMdyingTILLさん랟펨들도 "트랜스 여성은 여성이 아니다"라고 말하지만, 그들을 지칭하기 위해 "트랜스 젠더"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걸 멈추지는 않음.2254
𒄩𒈾@subti1is·2023年10月16日返信先: @subti1isさん세 번째 의미에서의 가능태는 아리스토텔레스적 현실태에 반대된다는 의미에서의 가능태다.(Met. n. 3.) 혹자가 “남성은 잠재적 성범죄자다.”라고 언명할 때 그는 어떤 의미에서 그렇게 말하는가?122,764
𒄩𒈾@subti1is·2023年10月16日返信先: @subti1isさん둔스 스코투스는 일찍이 가능태를 여러 유형으로 구분했다. 둔스 스코투스에 의해 이루어진 가능태 개념에 대한 가장 결정적인 공로는 형이상학적 가능태 개념을 크게 세 가지로 세분화했던 것이다.1212,537
𒄩𒈾@subti1is·2023年12月10日返信先: @subti1isさん, @CoGKgAXbN4MR6Gcさん, @Pagan_dracaさん@sasa_YHR 내가 페미니즘에 너무 적대적이라 못사귐121738
𒄩𒈾@subti1is·2023年10月16日返信先: @subti1isさん둔스 스코투스는 형이상학적 가능태potentia metaphyisca를 첫 번째 의미에서는 모든 불가능성에 대비된다는 의미에서의, 이를테면 “변이 네 개인 삼각형”과 같이 전적으로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의미에서의 가능태며, 두 번째 의미에서의 가능태는 필연성에 반대된다는 의미에서의 가능태다.1112,894
𒄩𒈾@subti1is·2023年12月10日返信先: @subti1isさん, @CoGKgAXbN4MR6Gcさん, @Pagan_dracaさん@peanut_latter 제가 카뮈를 평가절하함.1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