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스에 취재를 오면 마감을 끝내고, 그러니까 한국 시간 자정을 넘어 골프 코스 가장 남쪽 저지대인 아멘코너 쪽으로 내려가 맥주를 한두 잔 마실 때가 있다.
오거스타 내셔널 골프클럽에서는 코스에서 맥주를 마시는 데 매우 관대하다. 코스 안 여러 곳에서 술을 판다. 맥주를 사면 로고가 새겨진 플라스틱 컵을 주는데, 그게 괜찮은 기념품이 된다. 컵 모으는 재미 때문에 얼큰하게 취해 맥주 컵을 여러 개 포개 들고 기분 좋게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들을 흔히 본다.
맥주 한 잔을 마실 때마다 친구에게 마스터스 맥주 컵을 챙겨줄 수 있다. 기자실에서는 맥주를 원하는 대로 그냥 주기 때문에 컵을 구할 수 있지만 코스에 나와 마신 맥주 컵은 다르다고 생각한다. 현장의 경험까지 담아줄 수 있는 진짜 마스터스 컵이다.
오거스타 잔디는 융단처럼 매끈하지만 때론 풀비린내가 난다. 그 향기까지 전해줄 수 있을 것 같다. 래의 개울이 휘도는 아멘코너 쪽에서 마신 맥주 컵엔 여기서 일어난 수많은 드라마와 그에 따른 함성과 탄식도 담을 수 있다.

오거스타 내셔널 12번 홀로 타이거 우즈, 프레드 커플스, 저스틴 토머스가 걸어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깃발 꽂힌 천국이라는 오거스타 내셔널 코스에 나와 맥주를 마시고 음식을 먹으면 알게 되는 것들이 있다.
마스터스 시그니처 음식인 에그 샌드위치와 피멘트 샌드위치가 각 1.5달러에 불과하다는 것, 여기에 따끈한 바비큐 샌드위치와 맥주 두 잔을 추가해도 17달러면 뒤집어쓴다는 것, 감자칩에 바비큐 소스를 찍어 먹으면 한국 안주 비슷한 맛이 난다는 것, 마스터스 특수로 물가가 천정부지로 오르는 골프장 바깥이라면 햄버거 세트 하나 가격에 둘이서도 배부르게 먹고 마실 수 있다는 것, 오거스타 내셔널은 찾아온 손님들에게 좋은 음식을 저렴하게 대접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것이다.
초창기 어려울 때 경기장을 찾아준 관중을 고집스럽게 패트런(후원자)이라고 부르고 100년이 다 되어 가는데도 식지 않는 따뜻함을 느끼게 된다.
5일 코스에서 맥주를 홀짝이다 보니 김주형이 타이거 우즈, 로리 매킬로이, 스코티 셰플러 같은 거물들과 동반 연습라운드를 하게 되는 걸 보게 됐다. 김주형은 최고 골프 스타들의 이너 서클에 들어가고 있다. 그들은 모두 나이키 모자를 쓰고 있는데 거대 기업이 후원 선수들을 한데 모아 끌어주고 밀어주고 있지 않나 의심도 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