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날 책에서 보는 내용이라, 별 생각 없이 지냈는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나도 관련 내용을 정리한 적이 없고, 한글로 제대로 정리된 걸 못 봤기에, 한번 정리해 봄.
이 글에 나온 용어들은, 원래 표기도 다양하고(引き金나 引金나 같은 말이고), 같은 말이 아주 많음.
심지어 유파(流派)에 따라 명칭의 차이도 있음.
여기 소개하는 단어들이 대표적으로 통용되는 것인데, '어? 내가 어디서 본 거랑 다른데요?' 하지 마시길.
그러니, 간단해 보이지만, 이렇게 정리하기 위해서는 여러 책을 비교해야 가능한... 한글로 보기 힘든 이야기.
(한 세트인 철포 사격 순서는, 분량상 따로 올릴 예정)
철포는 아래 사진처럼, 크게 총신(筒) / 총가(台) / 기계부(カラクリ)로 분리됨.
꽂을대(カルカ)는 우리가 서양 영화에서 많이 봤듯이 총가의 총신아래 구멍으로 삽입됨(부러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예비 꽂을대를 다수 챙겨 감).
① 巣口[스아테] : 총구(銃口)
② 先目当[사키메아테] : 가늠쇠
③ 前目当[마에메아테] : 가늠자. 元目当[모토메아테]라고도 함.
④ 目釘穴[메쿠기아나] : 고정못 구멍. 目貫穴[메누키아나]라고도 함.
⑤ 芝引[시바히키] : 개머리판 끝의 금속.
⑥ カルカ[카루카] : 꽂을대. 같은 말은 㮶杖[사쿠죠:]/矢込め[야코메]/玉杖[타마츠에].
⑦ 筒[츠츠] : 총신(銃身).
⑧ 台[다이] : 총가(銃架)/총상(銃床). 台木[다이키]라고도 함.
⑨ カラクリ[카라쿠리] : 기계 뭉치.
⑩ 尾栓[비센] : 총신의 끝을 막는 나사.
※ 총구가 있는 총신의 테두리 부분을 柑子[코:지]라고 함.
※ 중국풍으로 가늠쇠(先目当)를 照星[쇼:세이], 가늠자(前目当)를 照門[쇼:몬]이라고도 함.
※ 메아테는 見当[켄토:]라고도 함. (경상도 사람들이 자주 쓰는 바로 그 '겐또')
1) 火挟み[히바사미] : 용두(龍頭)
2) 火縄[히나와] : 화승(火繩)
3) 火縄通しの穴[히나와토:시노아나] : (감아 놓은) 화승의 통과 구멍
4) 火蓋[히부타] : 히자라의 덮개. 조선/중국의 화문개(火門蓋)
5) 雨覆い[아마오:이] : 히자라에 비가 들어가는 것을 막음. (같은 이름의 비막는 도구는 따로 있음)
6) 玉[타마] : 탄환. 납탄이라는 단어는 鉛玉[나마리다마]
7) 火皿[히자라] : 점화용 화약을 넣는 곳. 조선/중국의 화문(火門)/약지(藥池).
8) 口薬[쿠치구스리] : 점화용 화약. 元薬[모토구스리]라고도 함. 조선/중국의 선약(線藥).
9) 火穴[히아나] : 점화용 화약과 발사용 화약을 연결시켜주는 구멍. 조선/중국의 화문공(火門孔)
10) 上薬[우와구스리] : 총신 내부 발사용 화약. 玉薬[타마구스리]라고 함. 조선/중국의 총약(銃藥).
11) 煙返し[케무리카에시] : 불씨 차단막. 반드시 있지는 않음(설명이 없는 책이 많음).
12) 毛抜き金[케누키가네] : 족집게 모양 스프링. 弾金[하지키가네]라고도 함.
13) 胴金[도:가네] : 총신을 총상에 고정시킴.
14) 尾栓[비센] : 총신의 끝을 막는 나사.
15) 地板[지이타] : 카라쿠리의 외부 판.
16) 押え金[오사에가네] : 방아쇠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부품
17) 用心金[요:진가네] : 방아쇠울(방아쇠를 보호하는 금속 부품)
18) 引き金[히키가네] : 방아쇠
※ 총신 내부의 화약은 총신 끝의 작은 구멍(히아나)를 통해 히자라의 쿠치구스리(점화용 화약)과 연결됨. 방아쇠를 당기면 용두의 불붙은 화승이 히자라의 쿠치구스리에 떨어지고, 쿠치구스리가 폭발하면서 총신 내부의 우와구스리(발사용 화약)을 연쇄 폭발시켜 탄환이 총구 밖으로 날아감.
※ 우와구스리(타마구스리)는 상대적으로 입자가 거칠고, 쿠치구스리는 총신 내부까지 도달해야 해서 입자가 고운 편.
우) 가늠쇠(先目当/照星) / 좌) 가늠자(前目当/照門)
※ 카라쿠리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인게 外カラクリ[소토카라쿠리]로 위 그림의 구조이며, 그 반대가 스프링 등이 '지이타'의 내부에 있는 内カラクリ[우치카라쿠리]로, 우치카라쿠리는 대구경 철포에서 많이 사용됨.
유독 개머리판에 대해선 용어 소개를 하지 않는 책이 많은데, 굳이 나누자면...
* 개머리판 자체는 台尻[다이지리].
* 개머리판 등은 庵[이오리], 개머리판 아래 부분은 台株[다이카부], 개머리판 끝 돌출부는 象の鼻[조:노하나](코끼리코), 개머리판 끝의 芝引[시바히키](대개 금속).
① 화승.
② 玉薬入れ[타마구스리이레] : 발사용 화약통.
③ 口薬入れ[쿠치구스리이레] : 점화용 화약통.
④ 百匁玉型[햐쿠몬메타마가타] : 100몬메 탄환틀.
⑤ 烏口[카라스구치]/玉入れ[타마이레] : 탄환 주입통.
⑥ 玉型[타마가타] : 납탄 제조틀.
※ 早合[하야고:]와 動乱[도:란]은 앞서 작성한 글 참조.
* 玉薬箱[타마구스리바코]/타마바코[玉箱] : 철포의 탄환/화약 및 관련 도구를 담은 상자. 여러 칸막이/서랍으로 구분되어 있음.
< 용어 비교 >
참고문헌 :
稲垣史生, 考証戦国武家事典, 新人物往来社(東京), 1992.
戦国大名マニュアル, 新紀元社(東京), 1993.
笹間良彦, 時代考証 日本合戦図典, 雄山閣出版(東京), 1997.
歴史群像 戦国合戦大全, 学習研究社(東京), 1997.
東郷隆/上田信, 戦国合戦マニュアル, 講談社(東京), 2001.
宇田川武久, 鉄砲と戦国合戦, 吉川弘文館(東京), 2002.
笹間良彦, 図説 日本合戦武具事典, 柏書房(東京), 2004.
歴史群像アーカイブ6 戦国合戦入門, 学習研究社(東京), 2008.
歴史REAL Vol.1 戦国合戦を科学する, 洋泉社(東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