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격증언

이종우 국기원 부원장의 ‘태권도 과거’충격적 고백!

  • 육성철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 sixman@donga.com
입력
2004-10-27 17:11:00
이부원장은 지난해 ‘신동아’ 인터뷰에서 김회장이 태권도계에 들어온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 바 있다. 이부원장은 당시 김회장의 정치력을 활용해 태권도계의 분파를 정리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일부 태권도인들은 그와 다른 주장을 펴고 있다.

―김운용 회장이 태권도계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박종규 경호실장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럴 수밖에 없었죠. 박종규씨는 스포츠에 관심이 많았거든요. 옛날 복싱선수 김기수가 세계챔피언 될 때도 박종규 실장의 후원이 컸어요.”

―박실장이 국가대표 선수들한테 용돈도 많이 주었다면서요.

“그 양반이 보이지 않게 우리나라 체육발전에 크게 기여했어요. 내가 알기로도 신세진 사람들이 많아요. 물론 박정희 대통령의 지원도 컸습니다. 내가 김운용씨에게 협회장을 맡아달라고 부탁하니까 김운용씨 말이 ‘세 분한테 승낙을 받아야 한다’는 거예요. 내 짐작에 세 분은 박종규 실장, 김종필 최고위원, 박정희 대통령이었던 것 같아요.”



―김회장이 박대통령과도 직접 통할 정도였나요.

“그게 아니고 공직에 있으니까 허락을 받은 거겠죠. 박종규 경호실장은 직속상관이고, JP는 여러 차례 수행한 분이고, 대통령은 최고 의결권자이니까 그랬겠죠. 김운용씨가 그때 세 분을 직접 만났는지는 모르겠어요.”v ―국제태권도연맹(ITF) 최홍희 총재는 김운용 회장이 태권도계에 들어온 것 자체가 정치적 음모였다고 말합니다.

“그는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해요. 답변할 가치도 없어요. 천하에 못된 자가 그 자에요. 모르는 사람은 최홍희를 대단하게 생각하지만, 그거 아주 쓸개 빠진 자입니다. 최홍희에 대해서는 내가 잘 알아요.”

이부원장은 ‘최홍희’라는 이름이 나오자 신경질적으로 반응했다. 광복 이후 강호의 고수들이 저마다 도장을 차리던 시절 두 사람은 돈독한 관계였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이부원장은 최홍희 총재를 ‘사기꾼’ 수준으로 평가절하했다. 무슨 까닭일까. 이 의문을 풀기 위해서는 먼저 최홍희라는 인물이 걸어온 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최홍희씨는 1918년 함경북도 화대에서 태어나 일본중앙대학과 서울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한 뒤 1961년 대한태수도협회(뒤에 대한태권도협회로 바뀜) 초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육군 6군단장을 지냈으며 가라테 유단자였던 그는 군대시절 자신만의 태권도 체계를 정리했다.

9/12
육성철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 sixma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