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사용자 링크
  • 로그인
  • 서비스 더보기

NAVER 뉴스

  • TV연예
  • 스포츠
  • 뉴스스탠드
  • 날씨
  • 뉴스홈
  • 속보선택됨
  • 정치
  • 경제
  • 사회
  • 생활/문화
  • 세계
  • IT/과학
  • 오피니언
  • 포토
  • TV
  • 랭킹뉴스
뉴스 검색
06.14(월)
  • 팩트체크
  • 언론사 구독
  • 언론사 뉴스
  • 라이브러리


조선일보

“이것이 대한민국 위상” G7사진서 남아공 대통령 잘라낸 정부

기사입력 2021.06.14. 오후 12:14 최종수정 2021.06.14. 오후 4:35 기사원문 스크랩
화나요 좋아요 좋아요 평가하기 10,420
댓글5,575
요약봇
글자 크기 변경하기
인쇄하기
보내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달라진 우리 위상을 보이려 정상들의 사진까지 조작했느냐"는 지적이 제기되자 정부는 14일 남아공 대통령이 포함된 원본사진으로 뒤늦게 교체했다./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홈페이지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이 참여하는 주요 7개국(G7)정상회의 홍보 과정에서 단체사진에서 남아프리카대통령 사진을 잘라낸 것으로 14일 나타났다. 정부 측은 이미지 제작과정에서 빚어진 실수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정상회담 사진까지 조작한 것이냐” “문 대통령을 가운데로 당기기 위한 의도적인 삭제 아니냐” 등의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부 측은 지난 13일 G7 정상회의로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 양자회담장에서 문 대통령을 비롯한 각국 정상들의 단체 사진을 소셜미디어(SNS), 공식사이트 등에 올렸다. 앞줄 가운데 영국의 보리스 존슨 총리 양 옆으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문 대통령이 서있는 사진이었다.

앞 줄 양끝에는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 남아공 시릴 라마포마(왼쪽) 대통령도 도열해있었다. 그런데 정부가 당초 배포한 ‘사진 한 장으로 보는 대한민국의 위상’이라는 홍보포스터에는 시릴 라마포마 남아공 대통령이 삭제된 상태였다. 정상회의 단체사진에서 일부 국가수반만 도려내는 행위는 외교적 결례에 해당한다.

정부의 '사진 한 장으로 보는 대한민국의 위상' 홍보포스터. 이 포스터에서 앞줄 맨왼쪽에 서있던 남아공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이 잘려나갔다./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홈페이지
정부는 홍보포스터에서 “이 사진 이 모습이 대한민국의 위상”이라면서 “우리가 이만큼 왔다”고 했다. 이어 “위대한 국민들과 정부가 함께 해 온 피땀어린 노력의 결과물”이라면서 감격스럽다. 모두 국민 덕분”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 뒤로 두 번째 줄에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등이 서있었는데, 이것이 달라진 우리 국격을 상징한다는 취지였다.

SNS 등으로 퍼진 사진에는 “우리 대통령님 국격을 올려주셔서 감사하다” “보아라 나의 대통령이시다” “한국이 이제 세계에서도 일류가 되었다” “문 대통령 덕분에 대한민국이 빛난다” “우리는 문재인 보유국 국민이다” 등의 댓글들이 붙었다.

박수현 청와대 소통수석이 '사진 한장의 의미'라며 페이스북에 올린 게시물에서도 남아공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논란이 커지자 박 수석은 이날 남아공 대통령이 포함된 원본 사진으로 교체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도 페이스북에 시릴 라마포마 남아공 대통령이 잘린 사진을 올리면서 “G7 정상회의 초청국 대한민국의 국격과 위상을 백마디의 말보다 한 장의 사진이 더 크게 말하고 있다”며 " G7 정상들 사이에 문재인 대통령의 자리가 대한민국의 오늘이고, 우리 후세 대통령의 자리는 더 영광될 것임을 확신한다”고 썼다.

하지만 ‘사진 원본’은 외신을 통해서 이미 널리 공개된 상태였다. 정부가 배포한 편집본에서 남아공 대통령이 잘려나간 것이 확인되자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위상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남아공 대통령을 의도적으로 잘랐나” “더한 날조와 선동을 가져와보라” “남아공에서도 이러고 있을까”하는 비판이 제기됐다. 시릴 라마포마 남아공 대통령이 배석한 각국 정상 가운데 유일한 흑인이라는 점에서 자칫 인종차별 문제가 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논란이 커지자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에서는 이날 원본 사진으로 바꾼 홍보물을 다시 올리면서 “이미지 제작 과정에서 실수가 있어 수정되었다”며 “콘텐츠 제작에 있어 보다 신중을 기하겠다”고 했다. 박 수석도 페이스북에 게시한 편집본대신 남아공 대통령이 포함된 원본 사진을 다시 올렸다.

문체부 국민소통실 관계자도 본지통화에서 “디자이너가 사진을 올리는 과정에서 좀 더 잘보이게 하기 위해서 편집했고, 이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했던 잘못이 있다”면서 “사려 깊지 못했던 점을 인정하고 오류가 발견된 즉시 사진교체에 나섰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문 대통령을 돋보이게 하려던 것이 아니라 단순한 제작상의 실수”라고 했다.

[김형원 기자 won@chosun.com]




▶ 조선일보가 뽑은 뉴스, 확인해보세요
▶ 최고 기자들의 뉴스레터 받아보세요
▶ 1등 신문 조선일보, 앱으로 편하게 보세요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 좋아요 59
  • 훈훈해요 18
  • 슬퍼요 18
  • 화나요 10,281
  • 후속기사 원해요 44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1,838
보내기

조선일보 관련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 페이지(아웃링크)로 이동해 볼 수 있습니다.

  • 700명 노마스크… 뉴요커 필수품 된 백신 여권
  • "한국 위상" G7사진 남아공 대통령 잘라낸 정부
  • "전 남친과 왜 연락해" 여친 2시간동안 때린 50대
  • 물놀이하던 여성들… 하마터면 댐 아래 추락할 뻔
  • 네덜란드 공주 21억원 세금 용돈 거절, 왜?
기사 모아보기
  • 조선일보 기사제공
  • 신문 조선일보 신문게재기사만
  • 인쇄
  • 스크랩
댓글 정렬 옵션 변경

이 기사의 댓글 정책은 조선일보가 결정합니다.

전체 댓글
5,575
내 댓글

댓글 상세 현황

  • 현재 댓글 5,188
  • 작성자 삭제 377
  • 규정 미준수 10
  • 누가 댓글을 썼을까요?접기
    84%남자
    16%여자
    0%10대
    4%20대
    13%30대
    26%40대
    33%50대
    24%60대↑
댓글 쓰기
댓글 입력
/
댓글 정렬 옵션 선택
  • 최신순
BEST댓글 운영 기준 안내안내 레이어 보기
클린봇이 악성댓글을 감지합니다.
설정
  • 프로필 이미지
    ksw8****옵션 열기
    인간이..외국에 나갔다.하면.. 부부간에 국격을 떨어트리고..부끄럽다..부끄러워.내가 차단한 이용자의 댓글입니다.
    2021.06.14. 10:06:57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0비공감0
  • 프로필 이미지
    bwle****옵션 열기
    조작의달인 정부?내가 차단한 이용자의 댓글입니다.
    2021.06.14. 10:06:53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0비공감0
  • 프로필 이미지
    gus-****옵션 열기
    클린봇이 부적절한 표현을 감지한 댓글입니다.내가 차단한 이용자의 댓글입니다.
    2021.06.14. 10:06:38
  • 프로필 이미지
    lkh_****옵션 열기
    얼마나 실무능력이 없으면 저런 실수를 하냐??...진짜 문정부 외교는 개망신이 따로 없다내가 차단한 이용자의 댓글입니다.
    2021.06.14. 10:06:37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0비공감0
  • 프로필 이미지
    kimm****옵션 열기
    한심하다 아무리봐도 문재인 대통령은정말 측근복은없는것같다 어떻게 하나같이 인간들이 저렇게 상식이하의 행동들과 말을 하는지내가 차단한 이용자의 댓글입니다.
    2021.06.14. 10:06:36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1비공감0
  • 프로필 이미지
    jhie****옵션 열기
    조작은 아무튼 ...과정은 어떠하든 어떠하리 어쩔꺼야 불법이라도내가 차단한 이용자의 댓글입니다.
    2021.06.14. 10:06:36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0비공감0
  • 프로필 이미지
    moon****옵션 열기
    남아공대통령이 항의해야할듯.ㅋㅋㅋㅋ내가 차단한 이용자의 댓글입니다.
    2021.06.14. 10:06:31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0비공감0
  • 프로필 이미지
    lnj1****옵션 열기
    문재인끼면 위상까짓거곤두박질이야내가 차단한 이용자의 댓글입니다.
    2021.06.14. 10:06:22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4비공감0
  • 프로필 이미지
    hi13****옵션 열기
    클린봇이 부적절한 표현을 감지한 댓글입니다.내가 차단한 이용자의 댓글입니다.
    2021.06.14. 10:06:18
  • 프로필 이미지
    ramo****옵션 열기
    도대체 진짜 왜 이럴까? 제발 정신 좀 차리세요내가 차단한 이용자의 댓글입니다.
    2021.06.14. 10:06:15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0비공감0
댓글 더보기

속보 기사목록 전체보기

  • 유준상 "250억 '비틀쥬스' 상상 초월, 저세상 텐션 보여줄 것" [엑's 인터뷰②]포토
  • 산림과학원, '수목 관리이력 정보화 시스템' 개발...가로수 스마트폰으로 관리포토
  • “이것이 대한민국 위상” G7사진서 남아공 대통령 잘라낸 정부포토
  • G7에 '핵심 이익' 공격당하고도 침묵하는 중국, 이유는? 포토
  • "너무 올랐다"···주택 매입 계획 3기 연속 감소 포토

조선일보 랭킹 뉴스

바로가기

오후 5시~오후 6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 1
    “이것이 대한민국 위상” G7사진서 남아공 대통령 잘라낸 … 6시간전
  • 2
    유토피아 꿈꾼 현자인가, 집단난교 즐긴 재앙인가 [왓칭] 8시간전
  • 3
    오스트리아서 ‘I ♡ MOON’ 팻말, 윤건영 “文 지켜달 … 2시간전
  • 4
    네덜란드 공주, 21억원 세금 용돈 거절 “아무것도 안 하 … 10시간전
  • 5
    이준석 “8월 대선 버스 출발” 윤석열 측 “택시 타고 직 … 5시간전

분야별 주요뉴스

  • ‘윤석열 35.5% VS 이재명 27.7%’ 오차 밖 격차…박용진은 또 범여권 3위
  • 이준석 "홍준표 복당, 늦출 이유 없어"…홍준표 "단칼에 풀어야"
  • 軍, 올해 첫 독도방어훈련 내일 실시
  • 文, 스가 총리와 짧은 인사… 한·미·일 정상회담은 없었다
  • "아무 것 안하고 돈 받는 건 불편" 왕실 특권 포기한 네덜란드 공주
  • 쌍용차 노사, 자구안 조인식…“기업회생절차 조속 마무리”
  • SK, 유럽에 최대 규모 유전자·세포 치료제 생산기지 구축
  • HMM, 26번째 임시선박 미주 노선에 투입
  • CJ ENM vs IPTV 콘텐츠 사용료 '비방전'은 OTT 시대 후폭풍
  • [단독]카카오, 카카오커머스와 합병…3년만에 재결합, 왜?(종합)
  • 광주 운암3단지 재건축 현장도 '밑동파기식' 철거 적발
  • "어라, 잘못 놨네" 백신 오접종 벌써 105건
  • 박형준 시장 “분권·균형발전 최고 권력자 의지 없으면 공허”
  • 필립스 '화학물질 흡입 우려' 양압기·인공호흡기 리콜
  • 오늘밤 경기 내륙 소나기…내일 출근길 우산 챙기세요

언론사별 가장 많이 본 뉴스

각 언론사의 가장 많이 본 기사 1건을 제공합니다.

오후 5시~오후 6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 김용호, 한예슬 또 저격 "원진 부회장 화났다…긴 싸움 해 … 머니투데이
  • 얀센 맞고 39.5도 고열…응급실 달려가니 "부루펜 드세요 … 중앙일보
  • 손정민父 "A에게 직접 듣고 싶다"…A씨측 "만남 거부한 … 노컷뉴스
  • ‘아내만 38명’ 인도 남성 76세로 사망…자녀 89명· … 헤럴드경제
  • 머스크가 또…비트코인 결제 중단 번복에 비트코인 11% 상 … MBN
네이버 메인에서 바로 보는 언론사 편집뉴스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 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이젠 페이지 맨위로
언론사 목록열기로딩 중
분야별 목록열기로딩 중
마이스크랩

  • 이용약관
  • 서비스 안내
  • 기사배열 원칙 책임자 : 유봉석
  • 청소년 보호 책임자 : 이희만
  • 개인정보처리방침
  • 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
  • 뉴스 고객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 또는 네이버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조선일보 All Rights Reserved.
NAVER Copyright © NAVER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