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치적 경호실장'으로 불렸던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8일 시국강연 중단을 선언했다.
유 전 장관은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경북대 강의와 다른 대학, 대학원의 정규교육과정 일부로 편성돼 있는 비정치적인 특강을 제외한, 불특정 다수의 시민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시국강연이나 ‘후불제민주주의’ 저자 강연회, 저자 사인회, 저자 간담회 등을 모두 취소했다”고 밝혔다.
유 전 장관은 “저를 믿고 강연 준비를 했던 여러 대학 학생회 임원들과 서점의 관계직원 여러분께 충심으로 사과드리며 너그러운 양해를 청한다”고 밝혔다.
유 전 장관은 “노무현 전 대통령 내외분과 관련한 뉴스를 모두들 알고 계실 것”이라며 “신문·방송이 그 뉴스로 뒤덮이고 검찰이 소환 날짜를 고르고 있는 상황에서 내가 시민과 대학생들에게 시국강연을 하고 다니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나는 이번 사건의 진실을 알지 못한다. 정책이나 정치에 관련된 것이 아니라 노 전 대통령 내외분의 개인적인 일이어서 정확한 사실관계를 알지도 못하며, 따라서 아직은 어떤 규범적 판단을 내릴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서 “앞으로 검찰 수사와 재판을 통해 모든 진실이 드러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전 장관은 “그때까지는 노 전 대통령과 참여정부 관련 내용이 포함된 강연은 자제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예의요, 참여정부 국무위원을 지낸 사람의 도리라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시국강연을 중단하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유 전 장관은 “많이 아프다”고 심경을 토로한 뒤 “그러나 그 분(노 전 대통령)과 함께 최선을 다해 한 시대를 살았다는 자부심은 버리지 않겠다”며 “한 점 잘못도 없는 성인군자인줄 알고 존경했던 것이 아니므로, 내가 모르던 흠이 더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할지라도 특별히 서운한 마음을 가질 일은 아니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 모든 일들에는 무슨 뜻이 있을 것이라 믿으며, 노 전 대통령이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의연하게 이 풍파를 헤쳐 나가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앞서 노 전 대통령은 7일 자신의 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에 올린 사과문을 통해 부인인 권양숙 여사가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은 사실을 시인한 뒤 “더 상세한 이야기는 검찰의 조사에 응해 진술할 것이며, 응분의 법적 평가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