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정보] 일본도 학력사회입니다.
  • MMA
  • 2020.04.30 21:46
  • 조회수 644
  • 추천 25
  • 댓글 84
viewimage.php?no=24b0d769e1d32ca73fed81fa11d0283146878605f8ff89cb706fda048768f60c79024a6b5d25a145495f01f283b921c23d1b3208002b4360a885a8109f90a490ca6dbc5c82090c3275122a51a03550e4497d


몇몇 역갤러분들 혹은 제갤러분들은 한국이 학벌차별이 심하다라고 일본은 학벌차별이 없다라고 하신분이 계십니다.

그래서 제가 제 경험에 입각해서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일단 알아주셔야할것은 학력도 기회의 평등중에 하나입니다. (학교제도 자체가 사회를 구성하는 요소중에 하나이기도 하고요) 아무리 못사는 사람이라도 괜찮은 대학 즉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적어도 자기 세대에 한두단계의 경제적인 신분상승이 가능하죠.

일단 저의 입장은 4년제 대졸자들은 학력에 맞게 대접을 해야하며 2,3년 대학 혹은 고졸이라도 사회에서 필요한 기술을 가진사람 혹은 자신만의 고유한 기술,능력을 가진사람역시 거기에 맞게 대접을 해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즉 대학을 나오든 안나오든 자신의 분야에 특화되고 노력하는 사람에게 그만한 대우를 해줘야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즉 위의 생각은 일본사회에서 통용되는 거나 마찬가지죠. 다만 한국은 안그렇다는 게 문제입니다. 한국은 뛰어난 무술 사범이나 뛰어난 요리사라도 일단 대학이 아니면 뒤에서 "그래도 대학은 좋은 델 나와야지....."라고 말하는 사람의 비율이 꽤 되고 그런걸 권장하는 사회입니다.

참고로 한국에서 대학레벨을 따지는 "학벌"이라는 뉘앙스는 일본에서는 "학력(学歴)"이라고 합니다. 일본에서 "학벌(学閥)"이라고 말하면 출신대학 파벌을 칭합니다.

1.일본 기업에서의 학력

일본기업에서도 제가 전에 글을 썻듯이 초일류기업,대기업들은 학력을 엄연히 따집니다. 심지어 장학금을 줄때도 대학레벨을 따지고 일본의 "고도인재비자"에서도 일본의 일류대학에게는 가산점을 줍니다.

전 기본적으로 旧帝一工神早慶(도쿄대,교토대,오사카대,히토츠바시대,도쿄공업대,고베대,나고야대,도호쿠대,큐슈대,홋카이도대,게이오대,와세다대) 레벨이면 취업활동하는 데 제한이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엄청 깐깐한 기업은 도쿄대,교토대,히토츠바시대,도쿄공업대,오사카대만 필터링하는 기업도 있었다고 기억합니다.(게이오,와세다의 상위학부 포함)

그리고 일본에서는 학력도 지역차가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관서에서는 고베대학이 게이오대학보다 강세를 띄지만 관동에서는 게이오대가 더 강세를 띄는 편입니다.(대략 레벨은 비슷하지만)

그런데 엄청 깐깐하게 필터링하는 기업은 거의 없는 지라 제가 위에 언급한 구제일공신조경 라인이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요코하마국립대,도쿄외대,츠쿠바대등 그외 상위국립대들에대한 필터링은 잘모르겠네요.

2.일본 대학생들 사이에서의 학력
이건 1.과 다르게 제가 직접 경험하고 눈으로 본것만 몇개의 예를 들어서 써봅니다.

일단 일본 대학생들중에서도 학력을 보는 사람이 있습니다. 몇몇 PC를 제외하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데요. 기본적으로 친구 혹은 아는 사이인 정도인 여자랑 얘기를 해봤는 데 기본적으로 "어느정도 머리에 든게 있어야 얘기가 통한다"라는 말을 할정도였습니다. 좀 학력을 보는 케이스는 MARCH나 関関同立와 같이 일본인들이라면 어느정도 공부를 해야 들어갈수있는 대학도 그닥 인정해주지않은 사람도 있었습니다.

물론 그정도 학력차가 있어도 남녀간 커플도 많이 봤고 심지어 결혼을 한 선배도 꽤 있으니 그것도 심하게 따지나 라는 생각은 안하셔도 됩니다. 위엣글은 어디까지나 좀 학력을 보는 사람을 예시로 든거니까요.

그리고 대학생들도 가끔 자신의 입시생때 얘기를 하는 데 국립대학생들 끼리 모였을 때(당연히 구제국급 혹은 상위권 국공립 라인끼리) "게이오,와세다는 스베리도메겠지ww(早慶は、滑り止めでしょう笑)"라고 인식하는 사람도 봤습니다. 혹은 제 대학교 후배는 関関同立、MARCH에 대해서 "그 대학은 내가 그냥 시험봐도 붙어w(○○大って俺がただ受けても受かるところだよ)"라고 말하는 애도 봤고요.(물론 그  대학 다니는 애 앞에서는 안말하겠지만)

라는 식으로 확실히 국립대가 사립대보다 강세인게 있습니다.(물론 관동이라면 또 달라지겠지만)

심지어 동아리에서 운영에 관한 얘기를 할때 "최소한 어느정도 같이 활동할수있는 실력을 가진 애를 데려와야해. 대학 라인은 日東駒専、産近甲龍급을 최저로 하자"라는 얘기를 들은적도 있습니다. 위의 대학은 각 지방에서 MARCH,関関同立다음가는 사립대학들이긴한데 그 대학 밑에 라인의 대학에 다니는 애는 별로 받고 싶지가 않다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도 있다는 걸 알수있죠.

솔직히 쓰고 싶은 얘기는 많은 데 엄연히 개인적인 대화에서 알게된거라 많은 예시를 들고 싶지 않네요ㅎㅎ

3.대학원 학력일 경우?
대학원 학력은 거의 무의미합니다. 일본은 학부학력을 봅니다.
한국에서 "학벌세탁"이라는 말이 존재하듯이 일본에서도 "学歴ロンダリング"라는 단어가 존재합니다. 가끔 인터넷 글을 보면 "東大院を通っている外部生が自称東大生と言うけど、あんなやつを東大生扱いしたくない"(도쿄대학원에 다니는 외부생이 자칭 도쿄대학생이라고 말하는 데 그런녀석을 도쿄대학생 취급하고 싶지않다)라는 글도 보이는 걸 보면 대학 레벨이 크게 차가나는 곳에서 온 학생에 대해서 조금은 안좋은 취급을 하는 곳도 존재하긴합니다.(제 모교의 연구실은 그런게 없었지만)

그리고 애초에 외부생에 대해서는 좀 혜택이 적기도 합니다. 상식적으로 학부생때부터 같이해온 내부생이랑 다른 대학 학부생이었다가 석사때부터 온 학생에 대한 지도교수의 애정도 많이 다를것입니다.

물론 외부생 비율이 어느정도 되는 곳에서는 외부생이라고 차별하는 일은 없겠죠. 특히 대학원 유학생들은 비교적 그런일이 적은 것 같습니다.

이렇게 보듯이
엄밀히 일본도 학력 구별은 있습니다.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대학들끼리의 얘기이고, 고졸이나 전문학교 출신이라도 특유의 재능,기술,능력을 가진사람들도 성공할길이 많대는 점에서 일본은 그걸 어느정도 커버가능한 나라이죠.


최종적으로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어느나라에 가든 자신이 특정분야에 노력을 하고 보여줄게 있어야 인정받는 다"라는 것입니다.

물론 기술직 분야는 제가 잘모르니 다른분이 추가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밑에 스크린샷은 아무래도 도쿄에 본사를 둔 초일류 기업의 필터링일겁니다. 만약 관서 지방에 본사를 둔 기업이라면 게이오,와세다가 아닌 고베대학이 들어갔을 것입니다)

viewimage.php?no=24b0d769e1d32ca73fed81fa11d0283146878605f8ff89cb706fda048768f60c79024a6b5d25a145495f01f283b921c23d1b3208002b4134ab8aa040cdc6a4907940225db7f4a25a153eb5ba5eda1d01a863

  • 25 고정닉 추천수4
  • 10
  • ㅇㅇ(125.183)

    그런데 학력차별이 심해지면 조민 지지하는 애들이 판칠껄? - dc App

    04.30 21:49
  • MMA

    일본은 여러분야에 있어서 전문가들에게 그만한 대우를 해주는 나라입니다. 그게 대학을 안나왔더라도. 즉 성공할수있는 사회적 대접을 받을 수있는 여러가지의 길이 더욱 다양합니다.

    04.30 21:55
  • ㅇㅇ(125.183)

    자본주의는 거래인데 그래서 자본주의 사회란 말 자체가 성립할 수 없음. 그리고 님이 말한 사례만 들으면 다른 실력이 뛰어나도 학력 안좋으면 취업기회부터 원천 차단당하는 것 같은데? - dc App

    04.30 21:56
  • MMA

    그건 일반적은 취활에서는 그럴겁니다.

    04.30 21:57
  • ㅇㅇ(125.183)

    글케 원천 차단당하면 시부리 말대로 공산화의 위험은 감수하시고 - dc App

    04.30 21:58
  • MMA

    それは、結局自己責任だと認識しているのがほとんどだし、今までこうした現状なので問題ないです。

    04.30 22:01
  • ㅇㅇ(125.183)

    자기책임이란 단어가 나오는데 무슨 뜻? - dc App

    04.30 22:04
  • MMA

    기본적으로 그건 자신이 학창시절때 노력한 결과물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이미 사회적 현상이라는 거지요. 학력차별은 미국이나 영국에서도 없겠습니까? 프랑스조차도 그랑제꼴이 있는 데

    04.30 22:05
  • ㅇㅇ(125.183)

    과거의 노력으로 현재를 퉁치는게 합리적인지는 모르겠음. 딱 조선시대 과거제 마인드. 노력이 어떤 상황에서나 통하는 것도 아니고 - dc App

    04.30 22:07
  • 댓글돌이
  • ㅇㅇ(125.183)

    학교제도 자체가 사회의 구속인데 자본주의랑 뭔 상관? - dc App

    04.30 21:49
  • ㅇㅇ(125.183)

    그 대학의 레벨을 기업의 필요가 아니라 수험생입결로 정하면 전혀 자본주의적인게 아니라고 - dc App

    04.30 21:57
  • MMA

    그래서 자본주의랑 동일시한건 제 오류인것 같아서 그부분을 수정했습니다.

    04.30 21:59
  • ㅇㅇ(125.183)

    그 좋은 학력으로 직접적인 성과를 낼 수 없으면 능력주의란 명목으로 강요한 학력차별에 대한 원한은 감수하시고. - dc App

    04.30 22:01
  • ㅇㅇ(180.182)

    학력차별과 학력구별은 구분해야지

    04.30 21:54
  • MMA

    학력 차별은 엄연히 존재합니다.

    04.30 22:00
  • ㅇㅇ(180.182)

    어딜가나 존재하겠죠 근데 일본은 조센처럼 대놓고 차별은 안하죠 그런 사회였으면 노벨상이 나올리가 없죠 노벨상 수상자 중에 샐러리맨도 있는데요

    04.30 22:49
  • ㅇㅇ(125.183)

    차별과 노벨상 수상은 상관없음 - dc App

    04.30 22:52
  • 댓글돌이
  • ㅇㅇ(49.169)

    겨울이야기 같은 만화보니 일본대학생들은 써클에 타대생들도 많이 끼더군요. 그게 신기했음

    04.30 22:16
  • MMA

    네 맞습니다. 부활동은 몰라도 서클은 타대학 애들도 회원인 경우도 꽤 존재합니다. 세미나도 합동 세미나를 하는 경우도 있고요.

    04.30 22:22
  • 국말(223.38)

    요새시대에 학력이 무슨 의미가 있음

    04.30 22:24
  • ㅇㅇ(211.178)

    요즘에도 학력의 우위에는 많은 이점이 있음 위에서 언급한 학력 필터가 대표적인 예시고 상위권 명문대의 동문들은 여러모로 도움될때가 있지 - dc App

    04.30 22:28
  • ㅇㅇ(125.183)

    동문들이 크게 도움될껀 없을꺼임. 어차피 사회인들은 다 이해관계로 만나는지라. - dc App

    04.30 22:43
  • ㅇㅇ(211.178)

    내가 말해줘도 딱히 안 들을거 같으니까 참고용 링크 하나 남겨드림 https://www.redbrickresearch.com/2015/10/29/the-importance-of-the-alumni-network/ - dc App

    04.30 23:16
  • ㅇㅇ(125.183)

    그런 네트워크일수록 돈을 깐깐히 따져 - dc App

    04.30 23:19
  • 가나하(122.16)

    F란 대학 학생들이 취업때만 되면 고충을 호소하는데 학력차별이 없을리가.. 애초에 '학교에 들어갈 기회'는 평등하게 주어져 있는데 학력차별하지 말라는 건 말도 안되죠. 다만 한국처럼 적성이고 뭐고 죄다 대학보내려 하다가 낙오되면 치킨집이라는 루트가 없고 저학력이라도 먹고살아갈 길은 충분하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죠.

    04.30 22:29
  • MMA

    네 맞습니다. 다만 몇몇 역갤,제갤러분들이 일본은 학벌로 차별안한다는 말에 몇몇 분들이 현혹되서 아무 노력도 안할까봐 쓴 글입니다. 좋은 대학에 안가더라도 특정기술,언어,자격 등등 자신의 기술,능력을 강화시키는 노력은 해야한다고 이글을 통해 말하고 싶은 것도 있었습니다.

    04.30 22:37
  • ㅇㅇ(125.183)

    기회나 노력은 수단이고 시장경제는 필요에 의한 거래다. 학교 자체가 사회에 의한 구속이구만, 학력차별이 오히려 사회주의적 - dc App

    04.30 22:41
  • 가나하(122.16)

    125.183 그쪽 말이 맞다고 쳐도 현실이 이런데 뭐 어떡해야 하나. 진짜 국영수에 아주 조금도 흥미가 없어서 학력이 없을 뿐이지 무슨 일이든 잘하는 사람도 있고, 학교만 잘나와서 일도 못 하는 사람도 있는데다가 어렸을 때 놀았다는 걸로 낙인찍는 것도 억울할 수는 있지만 안타깝게도 기업은 그 매년 넘쳐나는 취준생들을 하나하나 검증할 여력이 없음. 인사과에서 일하는 친구조차도 뭐 좋으나 싫으나 학력 필터를 쓸 수밖에 없다고 말하는데.

    04.30 23:12
  • ㅇㅇ(125.183)

    그러니까 해고자유화를 하면 학력필터가 의미 없고 인사과는 인사문제에 권한 없어 - dc App

    04.30 23:17
  • ㅇㅇ(125.183)

    가나하 너 직장인 아니지? 인사과에서 일하는 친구? 인사과는 결정권이 있는게 아니라 서류처리하는 사무기관이다. 그래서 인공지능 시대에 인사과 먼저 사라진다는거고. - dc App

    04.30 23:22
  • 가나하(122.16)

    해고자유화가 갑질이나 열정페이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쯤은 알지? 그리고 설령 그런 방식으로 고용을 한다 치면 진짜 만명단위로 모이는 기업체도 있을텐데 걔넨 어떤 방식으로 거를 셈이야? 굉장히 효율이 나빠보이는데? 인턴조차도 아무나 안 뽑는게 현실임.

    04.30 23:24
  • ㅇㅇ(211.178)

    가나하님 힘 빼지 마십쇼 이 야밤에 이런 비생산적인 논쟁에 힘 쓸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그냥 무시하고 지나가시게 좋을듯합니다 - dc App

    04.30 23:28
  • ㅇㅇ(125.183)

    인턴도 기본적으로 한국은 돈을 준단다. 학력차별도 갑질인데 해고 자유화도 찬성해야 일관적이지. 일 못하는건 바로 눈에 보이는데 대규모로 뽑아도 학력보다 더 효과적으로 거를 수 있는데? 대규모로 뽑는 직장이 학벌 엘리트들만 뽑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 dc App

    04.30 23:28
  • 123(220.76)

    멍청한 인간하고는 말을 하지 말라고 했음. 이겨봐야 님만 피곤하다. 그냥 아 저런 인간인가 보구나 하고 넘어가셈. 내가 설마아닌 제갤에서 자기 학력낮다고 민주당 지지한다는 인간은 처음봤다. wwwwwww

    04.30 23:30
  • ㅇㅇ(125.183)

    설사 만명 단위로 지원해도 학력필터 적용도 사람 뽑기 힘든건 마찬가지인데? 그냥 임원들 아는 사람 뽑는게 시간 돈 다 절약됨 - dc App

    04.30 23:32
  • 댓글돌이
  • ㅇㅇ(182.209)

    중견기업에 들어가기 위한 학력은 무슨랭크부터인가요??? - dc App

    04.30 22:30
  • MMA

    그건 취업활동때 자연히 아시게 될겁니다. 다만 적어도 모든 국공립대학이면 웬만한 중견기업 들어가는 데에는 문제가 없을 것 같네요.

    04.30 22:34
  • ㅇㅇ(49.169)

    요새 취미삼아 차트식 수학, 리카이 야스이 교재들 사서 한번 읽어보는 중인데 옛날 생각나고 참 재밌더라구요, mma님도 이책들로 공부하셨나요?

    04.30 22:30
  • MMA

    저는 수학은 차트식으로 공부했고 종합과목은 理解しやすい말고 다른교재로 공부했어요. 애초에 종과는 저에게 너무 상식으로 알고있는 부분이 많아서 가장 쉬웠네요.

    04.30 22:34
  • ㅇㅇ(49.169)

    혹시 한국 수험서로 대자면 기출? 문풀?식 교재로 유명한게 있을까요?

    04.30 22:35
  • MMA

    제 갤로그에 글남겨주세요.(비밀로)
    상담 해드리겠습니다.

    04.30 22:35
  • ㅇㅇ(49.169)

    아 참고로 전 eju치를 나이도, 처지도 아닙니다. 여기서 그냥 직장다니는데 그냥 호기심차원에서 사본거라서 .

    04.30 22:37
  • MMA

    아하 그렇군요. 기출문제식은 EJU홈페이지에 있을 겁니다.

    04.30 22:38
  • ㅇㅇ(125.183)

    종과면 문과인것 같은데, 죄송하지만 문과면 학력우위와 그에 따른 가치를 인정하고 싶지 않음. 명문대 이과가 학력차별을 정당화하면 이해는 하겠는데 - dc App

    04.30 22:45
  • ㅇㅇ(211.178)

    왜 계속 학력 차별을 인정하지 않으려 하시는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문과더라도 분명히 학력차별은 존재합니다 - dc App

    04.30 22:54
  • ㅇㅇ(125.183)

    이과는 능력을 인정하지만 문과는 별로 능력을 인정해주기 싫으니까. - dc App

    04.30 22:54
  • 123(220.76)

    학력이 갖는 첫번째 의미는 일종의 스탯같은거임. 현실이 코에이 게임마냥 스탯이 나와버리면 학력은 의미가 없음. 근데 현실에 그런게 어딨음? 스카우터가 있는것도 아닌데. 결국 첫번째 척도 중 하나로써 학력이 쓰이는거임. 학력이 의미가 없어지는걸 원한다면 스카우터 개발하면 됨.

    04.30 22:49
  • ㅇㅇ(125.183)

    그 척도중 하나가 절대지표가 되는건 사회주의적이지. 해고 유연화되면 못하면 짜르면 되니 학력 따질 필요도 없겠지만 - dc App

    04.30 22:54
  • 123(220.76)

    그러니깐 원하면 스카우터 개발하라고. 대체제도 없는데 마냥 빼애엑 거리는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데? 대체수단이 없으니 가장 봐야될 여러가지중 하나가 학력이란거임. 학력말고 그 사람의 능력을 정확히 평가할수있는 스카우터를 만들면 됨. ㅇㅋ못만들면 그에 준하는 방법이라도 찾든가 해야지. 학력이 좋다라는게 아니라 현실적인 기준에서 어쩔수없다라는 말을 하는거임.

    04.30 22:56
  • ㅇㅇ(49.169)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olonialism&no=77925&s_type=search_all&s_keyword=%EC%97%B4%EB%93%B1&page=3

    04.30 22:56
  • ㅇㅇ(125.183)

    해고 유연화(자유화)란 대안을 제시했잖아. 과거 전근대 귀족식 추천제도 좋고. 공부머리와 일머리가 다른게 현실이란것도
    인정하지? - dc App

    04.30 22:58
  • ㅇㅇ(125.183)

    49.169/과거 글로 인신공격이라도 하시게? - dc App

    04.30 23:00
  • 123(220.76)

    그리고 엄연히 회사는 해고라는걸 좋아하지 않음. 고용 유연화가 현실화 된다고 해도 여전히 학력은 강력한 무기가 될 거임. 뒷날의 세상은 학력을 대체해 능력을 증명할만한 것들을 만들어 내겠지만 그거는 또다른 스탯중 하나이고 학력을 대체한다는 점에서 결국 크게 바뀌는게 없음. 어차피 본질은 고용이란 부분은 능력과 그 잠재력을 보고 뽑는 것이므로 무언가의 척도는 반드시 필요하고 지금 현재 그 중 하나가 학력임. 님이 바라는 그런거는 그냥 희망사항 같은거고 현재 현실에서는 맞지 않는 얘기임. 그리고 이 분은 그걸 말하는것 뿐임.

    04.30 23:00
  • ㅇㅇ(49.169)

    아 너가 이 게시글에 쓴 댓글들에 대한 수수께끼가 모두 풀려서.

    04.30 23:00
  • ㅇㅇ(125.183)

    학력도 스카우터가 될 수 없고 능력이란게 직접 시켜봐야 아는거구만. - dc App

    04.30 23:01
  • 123(220.76)

    시켜보기 전에 고용을 해야되는데 결국 그 첫번째 기준이 뭐가 될건데? 뽑기전에 일을 시켜보고 뽑아보겠다 뭐 이거임? 그것도 아무나 대상으로 막 잡고? 그게 막말아님?

    04.30 23:02
  • ㅇㅇ(125.183)

    회사가 해고라는걸 좋아하지 않는다는게 망상이네. 못하면 짜르고 싶어하는게 회사다 - dc App

    04.30 23:02
  • 123(220.76)

    그래서 못하는 새끼는 애초에 뽑아내는걸 원하지 않는다고 회사라는 집단은. 인사과는 그냥 아무나 막 뽑아도 되는줄 암?

    04.30 23:03
  • ㅇㅇ(125.183)

    아무나 대상으로 막 잡고 시켜보는게 거래의 본질인데? - dc App

    04.30 23:03
  • ㅇㅇ(125.183)

    해고자유화되면 고용위험이 줄어드니까 사회보증인 학력을 따질 필요성이 줄어드는게 사실 - dc App

    04.30 23:04
  • 123(220.76)

    그건 거래고 이건 고용임.

    04.30 23:04
  • 123(220.76)

    고용과정에서 결국 비용이 들어가는거고 아무나 막 뽑는다면 비효율적인 인간도 그만큼 많이 뽑히겠지. 그러면 회사차원에서는 막무가내로 불어나는 손실을 그냥 감당하라고?

    04.30 23:05
  • ㅇㅇ(125.183)

    인사과 운운하는거 보니 학생 마인드인거 같은데 회사의 모든 인사권은 사장에게 있단다. 플러스로 추천한 사람에게도 책임 물으면 학력이 아니라 순수한 능력만 따지지. - dc App

    04.30 23:05
  • ㅇㅇ(125.183)

    고용도 거래란다. 아무나 막뽑아도 돈 안주는인턴이면 비용 없어 - dc App

    04.30 23:06
  • 123(220.76)

    니가 말하는 고용유연화는 결국 기본전제를 하나 깔고 가야되는데 고용전 일을 시켜보는 과정에서 무급으로 일을 진행시킬수 있어야됨. 그리고 해당결과에서 도출된 내용에 따라서 사람을 고용함 이거임.

    04.30 23:06
  • 123(220.76)

    그건 인턴이란 이름의 노예 아니냐? 인턴에 돈을 안준다는건 진짜 괴랄한 발상인데?

    04.30 23:07
  • ㅇㅇ(125.183)

    인턴이 못하면 결과가 없는데 회사가 왜 돈 줘야 하냐? 내가 말한게 그거임. 뽑기전 일시키는 과정에서 인턴과 고용주의 자율계약으로 인건비 협상을 맡기는거 - dc App

    04.30 23:09
  • 123(220.76)

    니가 말한 세상은 아마 곧 지옥일거다. 모든 노동에는 어찌되었든 그 값을 지불해야됨. 다만 최대치를 지불할 의무가 없을 뿐이지. 니가 말한 세상은 정말 끔직할거같다. 왜 민주당 지지하는지 알거같으니 그만함.

    04.30 23:10
  • ㅇㅇ(125.183)

    회사이익을 위한 학벌차별을 지지하는 분이 왜 인턴무급고용과 추천책임,해고자유화는 반대하지? - dc App

    04.30 23:15
  • 해당 댓글은 삭제되었습니다.
  • 이 댓글은 게시물 작성자가 삭제하였습니다.
  • ㅇㅇ(180.182)

    어딜가나 기업입장에서 학력 보는건 당연하지 그게 나쁜게 아님 오히려 블라인드채용이 공산주의 사회주의나라에서나 하는 개좆같은 제도지 근데 조센징들은 사람대 사람끼리도 학력으로 차별하고 뭐 학력뿐인가 뭐하나 모난거 있으면 그걸로 사람 차별하고 무시하고 하는 혐오주의가 문제라는거지

    04.30 23:03
  • 123(220.76)

    정확히는 줄세우고 라인세워서 능력과는 무관하게 그 연에 따라서 움직이는게 잘못된거임. 시작은 차별이 섞이더라도 이후에는 섞이면 안되지만 한국은 그냥 계속 정치질임.

    04.30 23:04
  • ㅇㅇ(125.183)

    정치질이 오히려 능력평가로는 정확해. 학력차별은 당연시하는 123이 정치질 욕하니까 웃기네 - dc App

    04.30 23:07
  • 123(220.76)

    정치질이 왜 능력이야? 인텔이 그래서 그꼴났냐? 미쳤네

    04.30 23:08
  • ㅇㅇ(49.169)

    123님 야밤에 왜 쓸데없는데 힘을 빼십니까ㅋㅋ

    04.30 23:08
  • 123(220.76)

    아직도 이런새끼 있는 줄 몰랐음. 진짜 심각하다. 왠만하면 편견안가질려고 해도 가질수밖에없음. 요즘 느끼는건데 차별과 편견이 잘못된게 아니라 본래는 인간의 생존을 위한 아니 생물의 생존을 위한 기능이라고 생각됨.

    04.30 23:09
  • ㅇㅇ(49.169)

    글마다 시비걸다가 차단당하더니 또 기어와서 엉뚱한 걸로 시비네. 갤질 설치면서 하지 맙시다?

    04.30 23:11
  • 123(220.76)

    진짜 제갤도 왔다안왔다 하다가 계속 안오고 있었는데 역시 올 이유가 없는듯. 지난번에는 왠 욕설이라면서 차단이 박히질 않나 했는데 이런애가 설치는걸 보면 그냥 안오면 될듯 ㅇㅇ 옛날같으면 계속 죽자고 싸웠겠지만 너무 시간 낭비라 내 직감이 맞은걸 확인해줘서 한편으론 땡큐

    04.30 23:12
  • 댓글돌이
  • ㅇㅇ(58.143)

    좋은 글이네요. 참고로 탈센하고 싶으신 분들 중에 아직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이신 분들은 이글 잘 봐두셨다가 아예 학부부터 일본으로 가시길 바랍니다. 한국에서 연고대 나와도 일본에서는 MARCH보다도 훨씬 아래로 취급 당합니다.

    04.30 23:09
  • MMA

    너무 논쟁이 리플이 많아서...
    부디 도움되기를 바랍니다. 그런데 연고대가 일본에서 마치보다 못한취급이라니... 충격적이네요. 한국서 연고대갈애들이면 (외국인 전형이라면)오사카대,히토츠바시대정도는 갈 실력일텐데(도쿄공업은 이과입시라 전 잘모름)

    04.30 23:12
  • ㅇㅇ(211.178)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 dc App

    04.30 23:21
  • MMA

    감사합니다(´∀`)

    04.30 23:49
  • ㅇㅇ(217.78)

    님이 능력이 돼서 일본에 사신다면 축하드립니다. 하지만 굳이 기생충 증식을 돕진 마세요. 결코 일본을 돕는 일이 아닙니다

    05.01 00:32
  • MMA

    제갤,역갤러분들은 기본적으로 사상이 괜찮은 분들이 많다는 판단하에 써봤습니다.
    다만 어짜피 제가 추천한 레벨의 대학들은 노력해도 될까말까한곳이라서...

    05.01 00:39
  • 대일본제로센

    어느나라나 학력차별은 존재하죠. 다만, 자신의 학력이 모자른 대신 본인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거나 성공을 해내면 인정해주고 대우해주는 사회분위기가 일본>>>>>한국일 뿐

    05.01 01:59

파워링크 광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