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글

④일제 강점기 우리 도시의 모습<대구(大邱)>

프로필

2014. 7. 22. 17:47

이웃추가

대구(大邱)

 

대구는 구한말까지 경상감영 소재지로서 경상도의 행정, 경제, 문화를 총괄하였던 전통적인 지역 거점 도시였다. 1895(고종 32)의 지방관제 개혁으로 대구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는데 이 개혁으로 경상감영이 폐지되고 경상도가 대구부·안동부·진주부·동래부의 4부(府)로 나뉘게 됨에 따라 대구는 부청 소재지가 된다. 이후 경부선 철도의 개통(1905)은 대구가 근대 도시로 성장하는 큰 전환점이 된 사건이었다사실상 일본의 군사시설이었던 조선 철도는 근대화나 진보의 상징이라기보다는 수탈의 상징이었지만 편리해진 교통으로 대구에는 많은 일본인과 일본 자본이 유입되어 근대 도시로의 발전이 가속화되었고, 대구가 내륙 거점 대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다. 국권침탈 이후 1910년에는 대구이사청(大邱理事廳)과 대구군을 폐지하여 대구부()라 부르고, 191111월에는 시가지의 일부 동명을 변경·개칭하였다. 19143월 부제(府制)를 실시하여 시가지만 부()의 행정구역으로 정하고, 그 외는 달성군에 속하게 하였다. 대구의 근대도시로의 발전은 앞서 살핀 부산의 경우와 전혀 다른 양상이었다. 전통적 지역거점 도시였던 동래부(東萊府)를 놔두고 일본의 필요에 의해 신도시 부산을 개발했던 것과는 달리 대구의 경우 전통 도시 대구의 인적, 물적 토대를 그대로 온존시킨 가운데, 그것을 기반으로 근대 도시로의 발전을 모색했기 때문이다.

 

청라언덕이 있는 동산(東山)에서 바라본 대구 시가지의 모습. 멀리 팔공산이 희미하게 보이고 우측 끝에 계산성당이 있다. 아마 지금의 제일교회 위치에서 찍은 사진 같다. 계산성당(1902년 건립)이 사진에 나온 것으로 보아 적어도 1902년 이후에 찍은 사진이다. 

 



1906년 대구읍성이 허물어지기 전의 영남제일관 모습. 당시에는 대구 중구 남성로에 있었다.


 

달서문은 대구읍성의 6개 문 중 하나로 대구 중구 서성로에 있었다.

 

 읍성(邑城) 철거 이전 대구시 지도


 


위 지도에서도 보이듯 대구는 다른 조선의 전통 도시와 마찬가지로 동서남북이 읍성(邑城)으로 둘러싸인 성곽도시였다. 대구에는 삼한(三韓)시대부터 이미 달성(達城)이라는 토성이 존재하고 있었고(달성공원), 대구라는 지명도 이 달성에서 유래된 달구벌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처음 대구 읍성이 축조된 것은 임진왜란이 한창이던 선조34(1601) 대구에 경상감영이 자리 잡으면서부터다. 영조 12(1736) 많이 훼손된 읍성을 석성(石城)으로 다시 쌓았다.

 

 

이런 대구 읍성이 헐린 것은 1906년도였는데, 그 사연이 기막히다. 당시 경상북도관찰사 서리 겸 대구군수로 있던 친일파 박중양(朴重陽)이 일본 거류민단의 철거 건의를 받아들여 조정의 허락도 받지 않고 성을 훼철시켰다. 19061112일 자 대한매일신보에는 박중양이 읍성을 허물고 나온 성돌 하나에 엽전 한 냥씩을 받고 일본인에게 팔았다."라는 기사가 나온다. 읍성의 존재를 자신들의 시가지 개발의 방해물로 여긴 일본인들의 이해관계와 친일파 관료의 탐욕이 만난 결과였다조선 병합 후 일제는 이렇게 어이없이 헐린 성곽 자리에 길을 냈다. 지금의 동성로, 서성로, 남성로, 북성로가 생기게 된 연유다

 

지금은 대구의 최고 번화가가 동성로이지만 일제강점기 대구 최대의 상권이자 가장 화려한 번화가는 일본인들이 밀집해서 살던 북성로였다. 화려한 미나카이(三中井)백화점과 일본식 건물들이 줄지어 있던 북성로는 밤이면 대낮처럼 불을 밝힌 가로등과 화려한 네온사인으로 대구의 긴자(銀座)’로 불렸다







대구 서문(西門)시장(1910)


서문시장은 조선 중기부터 형성된 시장으로, 서문시장의 옛 이름은 대구장(場)이다. 대구장은 원래 대구읍성 북문 밖에 자리 잡은 소규모 장이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1669(현종 10) 낙동강을 경계로 좌·우도로 분리되어 있던 경상도가 하나로 통합되어 단일한 행정권을 형성함에 따라 대구의 경제적 위상과 역할이 매우 커지게 되었고, 대구장의 거래량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대구장은 이러한 상황 변화에 발맞춰 북문 밖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전한다. 면적이 넓고 인구가 많은 경상도 내륙의 상업 중심지로서 대구의 위상에 걸맞게 대구장(서문시장)은 조선시기 평양장, 강경장과 함께 전국 3대 장터 중 한 곳이 된다.  대구 사람들이 통상 '큰 장'이라고 부르는 서문시장은 1980년대까지는 대구의 주력 산업인 섬유산업의 호황과 맞물려 전국에서 손꼽히는 재래시장으로 존속하였고, 지금은 빛바랜 감이 있지만 여전히 대구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시장이다. 

 


대구 약전(藥廛)골목의 약령시 모습(1910). 선교사로 보이는 성장(盛裝)한 양복 차림의  부부와 자녀들 모습이 흰 도포에 갓을 쓴 조선 사람들의 모습과 대조된다. 


대구 약령시(藥令市)는 조선 후기부터 열리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대구의 한약재 시장이다. 조선후기에는 경상감영 내 객사 주변에서 열렸고, 대구읍성이 철거된 후인 1908년 지금의 약전골목(남성로)으로 이전하였다. 지금도 많은 약재상들이 약전골목에 모여 영업하고 있다. 약전골목은 대구시가 공들여 기획한 문화 관광사업인 대구 골목길 투어의 주요 콘텐츠의 하나이기도 하다



좌판을 펼쳐 놓고 잡화를 파는 노점 상인. 지금의 남문시장 근처로 보인다.



계산성당 전경(1915년)


조선 말 천주교 박해(4대 박해)가 일어나자 많은 교인들이 박해를 피해 수도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충청도나 경상도의 오지 산골로 들어가 숨어 살았다. 대구 인근의 칠곡, 의성, 성주, 고령 등지에도 이 같은 천주교인들이 많았는데, 자유로이 종교활동을 할 수 있게 된 구한말부터 대구는 이들 가톨릭 교인들의 중심 도시로서 큰 교세를 형성하고 있었다. 1902년 완공된 계산성당은 천주교 대구 대교구의 주교좌성당으로 대구 경북지역 가톨릭의 중심이다

 




계산성당 사제관(1910). 한옥 사제관이 이채롭다. 지붕 위에 신부님과 아이들이 있고, 아래층은 흰색 도포 차림의 어른들이 이채로운 재미있는 사진이다.

 19351014일 교황사절 마렐라 주교 방문 당시의 대구성당(현 대구 대교구 계산주교좌성당)과 인근 모습.


팔공산 동화사 봉황문(鳳凰門)




팔공산 동화사(1929년)

 

 1893년 창립된 대구 최초의 교회인 제일교회 구건물. 이 건물은 1933년도에 지은 것이다. 현재는 계산성당 맞은편 청라언덕으로 이전했다.

 


1933년 대구 제일교회에서 개최된 전국 주일학교대회

1913년 준공된 대구역. 엽서에는 "남선(南鮮) 유일의 상도(商都, 상업도시)의 현관인 대구정거장"이라고 쓰여 있다. 르네상스 양식이 돋보이는 건축물이었다. 

 







 

대구역 앞 조철(朝鐵)자동차주식회사. 의성(義城), 군위(軍威), 영양(英陽), 청송(靑松), 안동(安東), 내성(乃城, 봉화의 옛이름) 등지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정류장이다.

 


대구 동산동에서 본 대구 북성로 원경. 앞의 초가집 뒤로 보이는 일본식 기와집의 행렬이 북성로다.



대구부청(大邱府廳) 원래 이 자리는 통감정치 시절 대구이사청(大邱理事廳)이 있던 자리였다. 










 현재 감영공원 자리에 있던 경상북도 도청. 'ㄷ'자 형태의 2층 목조 건물이다. 

 

 


중앙통(1920년)

 

대구역 앞에서 시작하여 남북으로 대구시를 관통하고 있는 메인 스트리트, 중앙통이다. 멀리 대구의 남쪽의 속칭 ‘앞산(원 명칭은 대덕산)'이 보인다. 사진에 보이는 차량은 버스로 1920년 당시 대구시에는 모두 3대의 버스가 운행되었다고 한다.  

 

 

 

 좌측 자동차 뒤로 모서리만 보이는 건물은 조선은행 대구지점이다. 멀리 정면으로는 북쪽에 위치한 대구역이 보인다. 

 


북성로 야경(1930). 우측 구두 가게의 '학생 구두, 어린이 구두, 새로 입점'이라는 광고 문구가 재미 있다.

 

사진에는 중앙통 야경이라고 나와 있지만, 다른 사진과 대조해 본 결과 이 사진은 중앙통이 아니라 당시에는 모도마치(元町)라고 불린 북성로 사진이다. 길이 중앙통에 비해 좁고 길옆의 건물들과 상점도 북성로와 일치했다. 북성로는 일제강점기 대구 최고의 번화가로 일본인들의 백화점(미나카이백화점, 엘리베이터 설치)과 상점들이 즐비한 쇼핑 거리이기도 했다고 한다.   



이 사진 역시 북성로를 중앙통으로 오인한 사진이다. 아래 사진과 대조해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 





북성로 야경



오른쪽에 있는 4층 건물은 미나카이(三中井) 백화점으로 대구의 쇼핑 명소였고, 대구 최초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그걸 타보러 오는 사람들도 많았다고 한다.


1920년의 대구 시가 모습. 우측 상단에 보이는 큰 규모의 건물은 대구법원이다. 



일제는 우리나라 전국 곳곳에 신궁을 만들어 놓고 신사참배를 강요했다. 대구에도 달성공원에 신궁을 조성했는데, 광복 후 철거되었다. 

 

 오른쪽 타원형 돔 지붕의 건물은 구 영남일보 사옥이다. 중앙에 희미하게 보이는 건물은 대구우편국이다. 이 거리는 일본인이 경영하던 양화점과 시계점 거리로 유명했다고 한다

 


대구 대봉동에 있던 영선 못 근처에  처음으로 만들어진 공설운동장. 왼편은 축구장, 오른 편은 야구장이다. 

 




대구 사람들에게는 극장의 대명사, '한일극장'의 일제 시기 모습이다. 당시에는 '키네마'극장으로 불렸고, 현재 CGV가 그 자리에 들어섰다. 


대구상업회의소(1930)



대구부립도서관



 사진의 설명은 잘못된 설명이다. 일제강점기에는 고등학교라는 학제가 없었다. 현판의 '대구공립고등여학교'는 현 경북여고의 전신이다. 

 

일제는 조선교육령(제1차)과 개정교육령(제2차~4차)에 입각한 전형적인 식민지 교육을 통해 조선의 교육을 그들의 구미에 맞게 통제했다. 식민지 교육정책의 기조는 일본인과 조선인을 분리하는 차별교육이었다. 중등교육 기관으로는 중학교(5년제) 고등보통학교(고보), 고등여학교(고녀) 등이 있었는데, 중학교는 일본인이 재학하는 학교인데 반해 고보와 고녀는 주로 조선인 학생이 입학하는 학교였다. 이 당시 조선 내의 고등보통학교 졸업은 일본에서 소학교 졸업으로 인정되었기 때문에 일본의 대학이나 고등전문학교로 유학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중학교에 다시 입학하여야 했다. 이러한 정책은 개정교육령 시기에 다소 완화되지만 일제강점기 내내 존재했다. 한편 조선에서는 고보를 졸업하는 것만으로도 매우 희소성 있는 케이스였으므로 고등보통학교 졸업자는 보통 사회의 인텔리로 대우받았다.

 


대구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현 경북여고의 전신)



대구고등보통학교(현재의 경북고등학교 전신)


대구사범학교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중등교육기관인 사범학교는 사립을 허용하지 않고 반드시 관공립으로 하고 수업연한은 6년으로 하되 보통과 5, 연습과 1년으로 나누었다(1922, 2차 조선교육령). 사범학교에는 조선인과 일본인이 공학(共學)했다. 

 

대구사범학교는 현재 대구교육대학이 계승한 것으로 보이지만, 대구사범학교의 본관 건물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에서 최근까지 사용해왔다.

 

대구상업학교(1943)



대구 중구 대봉동에 있는 구 대구공립상업학교의 본관 건물이다. 대구공립상업학교는 해방 후 대구상업고등학교로 유지되어 오다가, 2004년 상원고등학교로 교명을 바꾸고 일반계 고등학교로 전환하였다.  

 

 


교문 현판에 대구중학교라고 쓰여있는 걸로 보아 일본인이 다니던 중학교인 것 같다.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인 `대구의학강습소`. 1933년 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된 대구의학강습소의 졸업생은 별도의 의사 자격시험 없이 의사면허가 부여되었는데 당시 의학전문학교의 입학 경쟁률은 평균 9대 1을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본관)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은 1933년 일제가 대구지역 의료인 양성을 위해 지은 건물이다. 외관은 정면 중앙에 현관 포치(Porch)를 두고, 그 위에 사각탑(Turret)과 옥탑을 설치하였다. 기초는 붉은 벽돌을 쌓아 벽체를 구성하였다. 수직성을 강조하면서 안정감과 웅장함을 느끼게 한다.

 

일제강점기 사진은 아니지만,  1950년 한국전쟁 당시의 경북대 의대 본관 건물



현재의 경북대 의대 본관



경북대병원의 전신인 `대구자혜의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의 전신 대구제중원(大邱濟衆院)



동산의료원 구관(舊館), 근대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대구 계산성당에서 행사를 마치고 기념촬영을 한 조선인들과 주교단을 포함한 신부님들. 왼쪽에 흰색 도포 차림에 망건을 쓴 분이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한 서상돈 선생이다. 그리고 중앙에 있는 분이 초대 대구 교구장을 역임한 안세화(한국이름) 플로리앙 드망즈( Florian Demange) 주교다.  


현재는 동성로가 대구의 최고 번화가이지만 일제강점기에는 상대적으로 한적한 가로였다. 반면 당시 최고로 번창했던 북성로는 이제는 퇴락한 채 공구상가 거리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성 유스티노 신학교, 성 유스티노신학교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글 뒤에서 따로 할 예정입니다.



대구 남산초등학교와 강당
 

왼쪽 기와집들은 옛 경상 감영(監營)에 속한 건물로 좌측의 큰 기와집은 감사가 집무하던 선화당(宣化堂)이다. 우측의 건물은 옛 대구우편국 건물이고, 길 위쪽 끝 부분의 건물은 조선은행 대구지점이다. 

 


위와 같은 곳이 크게 찍혔다.


 본정통(本町通·현 대구시 중구 서성로). 당시 간선도로였던 본정통에 자동차와 자전거, 수레가 함께 지나다니고 있다. 중앙에 영남일보사 사옥도 보인다. 







 조선은행 대구지점. 조선은행은 조선과 대륙 경제를 수탈하기 위해 일제가 세운 중앙은행이다.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 현재는 대구 근대역사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건물 뒷면

 


중앙통(中央通)


 주교관(오른쪽)과 성 유스티노 신학교. 주교관은 191312, 성 유스티노 신학교 본관은 191410월 완공됐다.


성유스티노 신학교는 대구 천주교회 초대 교구장이었던 플로리앙 드망주(한국명 안세화) 주교가 중국인 벽돌공을 동원하여 1913년에 착공, 1914년에 완공한 신학교 건물이다.  드망주 주교는 1912년 신학교 건립을 위해 서울 명동성당의 건축에 참여했던 프와넬 신부를 초청하여 건립 계획을 세우고 세계 각 지역에 재정적 지원을 호소하였다. 그리하여 19139월 중국 상해에서 이름을 밝히지 않은 신자가 신학교에 성 유스티노를 모시는 조건으로 거액의 헌금을 보내오고, 대구의 민족운동가이자 천주교 신자 서상돈(徐相敦)이 땅을 기증하여 공사를 시작하였다. 공사는 중국인 기술자들이 담당하였으며, 책임 목수는 프랑스 영사관을 지을 때 참여한 사람이 담당하였다대구의 천주교 역사를 담고 있는 역사적 건물로, 로마네스크 양식과 고딕 양식에 가까운 서구식 건물로 벽돌이 정교하게 쌓여진 우수한 건물이다

 

 페트렐리 교황청대사 대구 방문 기념사진(1917530).


 휴식을 즐기고 있는 대구 성유스티노신학교 신학생들(19194).


 1922년 당시 대구 교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지금의 모습. 대구 남산동에 있다.





대구 샬트르 성바오로 수녀원(1915)

 

 대구 샬트르 성바오로 수녀원의 지금 모습.


 

 

1918년 건립된 성 유스티노 신학교 내의 성모당.  “EX VOTO IMMACULATAE CONCEPTIONI”라는 문구의 뜻을 알아보니 성모님과의 약속대로라는 라틴어였다 좌측의 1911은 대구 대교구가 설립된 해이며 우측의 1918은 교구 주교인 드망즈 주교가 교구를 위해 청한 3가지 소원이 다 이루어진 해(1918년)를 가리킨다고 한다


성모당의 지금 모습.

 


대구 지방법원/복심법원

 

일제는 1912년 '조선총독부재판소령'의 전면 개정을 통해 43심제(四級三審制)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경성(서울)에 고등법원을, 서울·평양·대구에 복심법원을, 그 외 11개 도시에 지방법원을 두었다. (일본제국헌법하의 최고 법원은 동경의 대심원<大審院>이었기 때문에 일제의 법원체계는 4級이었다.)

  

 대구부 경찰서(현 중구 경찰서)


 일본군 보병 제80연대 병영. 이곳은 지금 주한미군의 주둔지(Camp Henry)이다.

 

상당히 큰 규모로 볼 때 아마 금호강에 놓였던 다리인 듯하다.  


아래의 사진들은 6.25 전쟁 초(1950년) 미국 잡지 "LIFE"에 실린 항공사진으로 대구의 옛 모습들이다. 대구 출신 어르신들에게는 추억을 상기시키는 사진이 아닐까 한다.

 

가창 쪽에서 흘러오는 대구의 신천(新川). 좌측에 수성못의 일부가 보인다. 정면에 우뚝 솟은 산은 앞의 대덕산(속칭 앞산’)과 그 뒤의 최정산(最頂山)이다. 다리는 중동교로 보이는데 확실치는 않다.

  

  


대구역 구내



정면에 보이는 첨탑과 건물은 성 유스티노 신학교인 듯하다. 멀리 정면으로는 지금 수성구 뒷산인 용지봉이 보인다. 



사진 중앙에 구 제일교회와 우측 하단에 계산성당이 나와 있다.


 대구 신천이 금호강에 합류하는 지점쯤에서 찍은 사진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일제강점기 대구의 다양한 모습이 담긴 사진들을 통해 당시 대구의 모습이 어떠했는지를 피상적으로나마 살필 기회를 가졌다. 이제 겨우 대구 시민 4년차에 접어든 필자는 지역에 오랫동안 살아온 분들만큼 대구에 대해 알지 못 한다. 그래도 대구가 고향인 어머니를 비롯한 여러 지인들의 자문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을 다행스럽게 여기면서 이 긴 글을 마치고자 한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은 경성(京城, 서울)입니다. 

☞ To be continued 

나무
나무

어느날 나는 나무에게 '꿈꾸는정신'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