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닫기

'기생충' 뒤에 조국 있다? 외신도 韓특권층 꼼수 꼬집었다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진 연합뉴스TV 제공]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진 연합뉴스TV 제공]

54년만에 칸 국제영화제와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을 동시 석권한 영화 ‘기생충’에 대한 해외 언론의 시선은 호기심으로 가득하다.
‘기생충’은 양극화 사회에서 벌어지는 사회적 계급화에 이에 따른 인간 군상의 뒤틀림을 묘사한 블랙코미디다. 그러다 보니 ‘기생충’ 같은 수작(秀作)이 나오게 된 한국 사회의 배경에 대해서도 분석하는 기사가 늘고 있다. 
이와 함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의 의혹과 전개 과정이 재조명받고 있다. 한국 사회가 불평등에 대한 뿌리 깊고도 민감한 정서를 설명하는 소재로 활용되는 것이다.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의 영예를 안은 '기생충' 봉준호 감독. [로이터=연합뉴스]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의 영예를 안은 '기생충' 봉준호 감독. [로이터=연합뉴스]

뉴욕타임스는 아카데미 시상식이 끝난 직후인 10일 “‘기생충’은 서울의 과도한 집값과 불결한 환경으로 빈곤층이 직면하는 불안감, 그리고 신분 상승의 사다리를 오를 수 없는 계급의 깊어지는 체념을 다뤘다”고 묘사했다.  
이어 뉴욕타임스는 “소위 금수저와 흙수저(gold spoon and dirt spoon)의 간극과 소외감은 자신의 자녀를 유명 대학에 들어가도록 영향력을 발휘한 의혹으로 조사받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의혹을 부채질했다”며 “격앙된 여론에 밀려 사임한 조국 전 장관과 문재인 대통령은 심화하는 경제적 불평등에 대해 한국의 젊은층에 사과했다”고 소개했다.
 
영화 '기생충'과 조국 전 장관 사태를 연결해 설명한 워싱턴포스트

영화 '기생충'과 조국 전 장관 사태를 연결해 설명한 워싱턴포스트

워싱턴포스트 역시 지난달 18일자 영화 ‘기생충’ 관련 기사에서 조국 사태를 다뤘다. 
이들은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에 대해선 “한국은 상위 10%가 66%의 부를 소유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한국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나 브라질은 아니다. 또한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나 미국에 비하면 훨씬 양호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다만 직업은 혈연이나 지연에 따라 좌우된다”며 조국 전 장관 가족을 예시로 들었다. 이들은 “한국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딸의 불공정한 의대 입학을 비롯해 각종 부패에 대한 혐의로 여론이 악화하자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소개했다.
 
 영화 '기생충'과 조국 전 장관 사태를 연결해 설명한 이코노미스트

영화 '기생충'과 조국 전 장관 사태를 연결해 설명한 이코노미스트

영국의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10월 영화 ‘기생충’에 대한 분석 기사 제목을 “대통령은 한국 사회에 실력으로 인정받는 공정사회를 약속했다(The president promised South Koreans a meritocracy)”고 달았다. 이어 부제목으로 “그래서 그들(한국인)은 법무부 장관을 집어삼킨 스캔들에 격분했다”(Which is why they are so incensed about the scandal engulfing the justice minister)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인구는 5200만명이지만 ‘기생충’은 지난 5월에 개봉한 뒤 1000만명의 관객이 들었다”며 “불평등을 다룬 풍자영화에 대한 (한국사회의) 반향은 놀라운 일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2017년 임명됐을 때보다 공정한 사회를 약속했다”며 “하지만 그가 조국 장관을 임명하자 그의 딸이 학업 과정에서 비정상적인 이익을 받았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AD

J팟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전체댓글135

게시판 관리기준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이**** 2020-02-12 07:48:05 신고하기

    편가르기의 대가들???표 표 표 표를 주이소???ㅋㅎ 굿굿굿

    답글달기
    찬성하기1 반대하기0
  • 김**** 2020-02-12 07:35:49 신고하기

    빈부의 격차를 다루어 있는자와 없는자의 갈등을 부추겨 진작 영화사와배우들이 돈을 싹슬이 하는군.

    답글달기
    찬성하기4 반대하기0
  • 김**** 2020-02-12 07:31:03 신고하기

    기생충이 상받은 뒤배경에 CJ회장이 지원했고 CJ영화사에는 중국공산당의 주식이 2대주주로 있기에 반사회적인 영화만 골라 만드는 이유

    답글달기
    찬성하기3 반대하기0
  • Dobi**** 2020-02-12 07:30:09 신고하기

    기생충의 후편은 조생충이 되면 대박칠 것이다. 부부교수면 사회 상위급인데 강남에 빌딩 하나더 가지려고 온갖 범법 다 하는 작태 그걸 주욱 나열해 가면 시청자들이 모두 공감 할 것임, 대통령이란 자 까지 동원되는 이야기이니 대 힛트 칠것이 분명하다. 조생충 패밀리 죽기 전에 개봉되면 좋겠지만 쉽지 않겠지요? 일단 고발 당하면, 소문을 탈것이고, 유명해 질 것이고, 그래서 아카데미 상을 한번 더 수상할 지도 모른다.

    답글달기
    찬성하기6 반대하기0
  • puj2**** 2020-02-12 07:29:37 신고하기

    쫓썬이 일본 언론과 합작하여 한국인을 한국을 폄하하더니 쫑양은 미국 이냐? 홍석현이 미국통이니 가능하겠지~ 더한 나베 일가족 ㆍ최순실일가족ㆍ방가네 일가족 그리고 쫑양 일가족도 만만치 않을것 같은데 어디 조국을 소환해? 재벌사주에 놀아나는 언론이 언론이고 기자냐?

    답글달기
    찬성하기3 반대하기1
  • Dobi**** 2020-02-12 07:24:18 신고하기

    사유 재산이 인정되는 국가에서 부의 편중을 어찌 일개 대통령에게 책임지라 하는고? 그가 할수 있는 일만 하게 하라. 부의 편중이 한국등 특수국가만의 문제인가? 중동 산유국이나, 일본, 미국, 유럽의 자유 민주주의 국가보다 한국이 더 심한가? 아니다 그들이 더 심하다. 단지 한국에도 기생충에 나오는 사람들 같은 가난한 계층이 있다는 것 뿐이다. 그쪽 나라에는 더 많다. 북한은 전 국민이 저 기생충 가족보다 더 심하다. 중국은 전 국민의 절반 정도가 저 기생충 가족 수준이다. 기자는 기사로 사회주의 사상 유포하지 말라.

    답글달기
    찬성하기3 반대하기0
  • 문**** 2020-02-12 07:10:16 신고하기

    조국을 끝까지 대통령으로 밀고있는 조중동 ... 본인들만 모리는 ...ㅁ...ㅈ...ㄹ 들...

    답글달기
    찬성하기3 반대하기0
  • vsau**** 2020-02-12 03:24:46 신고하기

    조중동이 빈부격차와 특권층 비리등을 비판하는게 웃긴다. 지들이 비호하는게 특권층이면서. 언제부터 지들이 사회정의를 지켜왔다고. 기레기들이. ㅋㅋ

    답글달기
    찬성하기12 반대하기3
  • ryu_**** 2020-02-12 01:34:31 신고하기

    오히려 그걸 비꼴 수단으로 삼는 외국쓰레기언론

    답글달기
    찬성하기9 반대하기3
  • tnt5**** 2020-02-11 23:48:10 신고하기

    문얼간이. 취임 초기에는 공정한 사회를 국민에게 약속했지만, 뒤에서는 반칙을 즐겼다. 음.. 제대로 평가한 이코노미스트로군. 그런데 한국의 언론사는?

    답글달기
    찬성하기128 반대하기1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