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안보

北 "南, 특사라도 보내달라고 간청" 물밑접촉까지 공개

조선일보
입력 2019.11.22 03:01

노골적으로 文정부 무시… "판문점 약속 등 하나도 실현안됐다"
靑 두달간 초청 공들였는데… "소뿔 위에 닭알 쌓을 궁리" 비하

북한은 21일 문재인 정부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부산에 초청한 '11월 5일 친서' 이후에도 "몇 차례나 (김정은이 못 온다면) 특사라도 방문하게 해달라는 간절한 청을 보내왔다"고 했다. 우리 정부가 이번 정상회의에 북측 인사를 초청하기 위해 절박하게 매달렸다는 얘기다. 일부러 우리 정부의 '저자세 외교'를 폭로하며 공개 망신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조선중앙통신은 "남측이 (김정은의) 부산 방문과 관련한 경호와 의전 등 모든 영접 준비를 최상의 수준에서 갖춰 놓고 학수고대하고 있다는 것도 모르지 않는다"고 했다.

이 같은 북한의 '하대'는 우리 정부가 자초한 측면이 있다. 서훈 국정원장이 지난 9월 국회 정보위에서 김정은이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할 수도 있다며 먼저 분위기를 띄웠고, 탁현민 청와대 행사기획 자문위원은 최근 "(김정은 위원장이) 오시면 좋겠다. 실무 준비는 끝났다"고 했다. 청와대는 3~4일 전쯤 북측으로부터 최종 불참 통보를 전달받고, 김정은 방남(訪南)에 대비해 준비하던 경호·의전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은(가운데) 국무위원장이 북한 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저격병 구분대의 강하 훈련을 참관하고 부대원들을 격려하는 모습을 조선중앙TV가 18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1일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을 부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초청하는 친서를 보낸 사실을 공개하며 “지금 시점에 형식적인 북남 수뇌상봉은 하지 않는 것만 못하다”고 했다.
김정은(가운데) 국무위원장이 북한 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저격병 구분대의 강하 훈련을 참관하고 부대원들을 격려하는 모습을 조선중앙TV가 18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1일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을 부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초청하는 친서를 보낸 사실을 공개하며 “지금 시점에 형식적인 북남 수뇌상봉은 하지 않는 것만 못하다”고 했다. /조선중앙TV

이날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친서가 별도의 초청 서신이 아니라 조문에 대한 답신이었다고 해명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 서한에서 (김정은의 참석이)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남북의 공동 노력을 국제사회의 지지로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며 "남북 정상이 모든 가능한 계기에 자주 만나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했다. 북한의 노골적인 '남조선 무시' 기조에도 계속 '러브콜'을 보내겠다는 것이다. 여권에선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대형 남북 이벤트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조만간 '김정은 답방'을 재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북한은 이번 '방남 불발'의 책임도 우리 측에 돌렸다. 조선중앙통신은 "남조선 보수 세력들이 우리에 대한 비난과 공격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판문점과 평양, 백두산에서 한 약속이 하나도 실현된 것이 없다"고 했다. 최근 북한이 우리 정부를 향해 '민족 공조'에 나서라고 압박하는 것과 무관치 않은 얘기다. 국제사회의 '제재 스크럼'에서 빠져나오란 것이다.

통신은 또 우리 정부의 김정은 초청에 대해 '마른나무에 물내기' '소뿔 위에 닭알 쌓을 궁리'라며 "이런 때에 도대체 북과 남이 만나서 무엇을 할 수 있으며 그런 만남이 과연 무슨 의의가 있겠는가"라고 했다.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진짜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손에 넣기 전에는 절대 문재인 정부에 선물을 주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우리 정부가 측은하다는 듯이 비꼬면서 '김치 국물 마시지 말라'고 일갈한 셈"이라고 말했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남북 관계의 돌파구로 삼으려 했던 우리 정부의 전략과 상황 판단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책연구소 관계자는 "김정은이 보기에 다자회의 참석은 '수령의 권위'에 맞지 않는다"고 했다. 실제 북한은 "다른 나라 손님들을 요란하게 청해놓고 그들의 면전에서 북과 남의 어떤 모습을 보여주고 싶은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우리와 크게 인연이 없는 복잡한 국제회의 마당에서 만나 악수나 하고 사진이나 찍는 것"이라고 했다. 외교 소식통은 "이번 행사의 '진짜 손님'인 아세안 정상들은 김정은 초청 사실을 몰랐을 가능성이 크다. 이를 외교적 결례로 여기는 나라들도 있을 것"

이라고 했다.

남북 관계의 경색 국면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북한은 북·미 비핵화 협상을 근본 문제로 보고 당분간 '선미후남(先美後南)'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기조"라고 말했다. 전직 외교부 관리는 "북한은 계속 남북 관계에 기대가 없다는 메시지를 보내는데 우리 정부만 희망적 사고에 매몰돼 있다가 망신을 당했다"고 말했다.


100자평

186
우종욱(topgun****)
2019.11.2301:34:30신고
아세안 정상회담을 주최할정도의 세계경제 12대국의 대한민국의 國格이 아프리카 최하위국의 사태도 미치지못하게 전락했다. 북한만큼의 대우도 받지못하는 이 대회에 참석 각국대표들도 자존심도 상할것이며 우리 문재인대통령을 보기를 북한의 하수인이나 대변인정도로 인식할것이다. 이게 무슨 국가망신이고 이럴려고 우리가 박정희때부터 새마을운동하고 1년 365일을 일하며 경제건설 이루었나?
한경수(ha****)
모바일에서 작성2019.11.2223:13:13신고
북한에서 귀순한 생떼같은 젊은 두 목숨을 김정은 살인돼지에게 인신상납하고 되돌려받은 결과가 겨우 개망신?
김성백(ice****)
모바일에서 작성2019.11.2223:05:44신고
북한 고위층 탈북자에 따르면 그래도 김정일 때는 옆에 가려고 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포악한 살인마 인간 백정 놈이 집권 이후에는 무자비하게 죽이니까 옆에 가려고 하는 사람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 문재인 님은 이 사실을 알고 있는지 모르겠다(장성택 관련해 어린이까지(3대 멸족) 포함해서 수백 명을 처형했다고 함)
이철희(nange****)
2019.11.2221:59:34신고
아무리 청와대 너덜이 무뇌좀비라 하지만, 저 삶은돼지머리를 왜 불러! 오면 돈 뜯어가려고 걸뱅이 짓서리 하지, 아프리가 돼지열병 전염시키지... 오지마라! 네 친위대 도끼가 널 샤브샤브하려 해도. 언제까지? 너 되 질 때까지!
박영규(3927****)
2019.11.2218:19:25신고
까발리는 북개나 문디자식이나 에라이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