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아래 글 어느정도 수긍하는 게
  • 실라(211.230)
  • 2019.11.12 16:18
  • 조회수 20
  • 추천 1
  • 댓글 0


viewimage.php?id=27bcc027ebd730af7dabd9a70f&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20e3212bad2ca084505187145227b5e9c2361e75d71bb3f2ec6c2e155c19cdc2d941a732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36a47b6dec76e3cd4817db46e3c75ac111bb227d55655dc76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36a47b6dec76e3cd4817db46e39709c011ba262007655dc76a


카고시마현(鹿児島県)의 남쪽 섬 아마미오 섬(奄美大島)에는 자연의 염료로 염색하는 아름다운 전통 공예품이 있다.


역사만 1300년인 이 공예는 무려 진흙(泥)으로 염색하고 있다.


이를 「오시마 명주(大島紬)」를 부르는데 일본에선 페르시아 융단처럼 유명하다.


가볍고 보송 보송하고 매끄러운 촉감이 특징.



아래는 오시마 명주에 쓰이는 명주실의 제작 및 염색 과정이다.



자료 출처 : https://matcha-jp.com/ko/1983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36a43f3dbb1ce1c84a13d3464481a6b670a6685585ae9325df1bb5a290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36a43f3dbb1ce1c84a13d3464481a6b670ac665186f8c8748b1bb5a2ce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36a43f3dbb1ce1c84a13d3464481a6b670a76d55d3f39574891bafbc65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36a43f3dbb1ce1c84a13d3464481a6b670ae3a51d3fa90218a1bafbc44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36a47b6dec76e3cd4817db46e3c00c9540b3252150655dc76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36a47b6dec76e3cd4817db46e3c10c9b43e1747506655dc76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36a47b6dec76e3cd4817db46e39d0a9216b2727c5c655dc76a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d7fc919772ab7d236a47b6dec76e3cd4817db46e3905b9343e7777657655dc76a






=============




보면 알지만 진흙으로도 이렇게 천에 색을 넣는 게 가능하고.. 작업 사진들 보면 딱히 고도의 시설이 필요한 것도 아님.


물론 비단이나 고급 옷감으로 가면 좀 더 고도의 기술과 비용이 필요하겠지만


단순이 옷감에 색을 넣는다 자체는 어린 아이들도 자연에서 채취가능한 식물들만으로도 가능한 수준


구한말 조센징들이 죄다 흰옷 입은 것이..


오늘날 컨트롤 cv 유행 쫓는 센징들과 같은 이유다라는 아랫 글 주장에 어느정도 수긍된다.

  • 1 고정닉 추천수0
  • 0

파워링크 광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