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조국, 국감 하루전 전격 사퇴..."국감선 거짓 증언 못해, 물러설 곳 없었을 것...
법조

조국, 국감 하루전 전격 사퇴..."국감선 거짓 증언 못해, 물러설 곳 없었을 것"

입력 2019.10.14 15:24 | 수정 2019.10.14 15:34

[조국 사퇴]
조 장관의 돌연 사퇴 배경은?
하루 앞둔 법무부 국정감사… ‘위증죄’ 부담느꼈나
아내 조사받는 도중 사퇴… 영장 청구 임박도 부담
특수부 폐지·축소 등 검찰개혁 첫단추 꿰었다 판단

조국 법무장관이 14일 오전 검찰개혁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그는 이날 오후 전격 사퇴했다. /연합뉴스
조국 법무장관이 14일 오전 검찰개혁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그는 이날 오후 전격 사퇴했다. /연합뉴스
조국 법무장관이 14일 돌연 사퇴하면서 두 달 넘게 정국을 마비시켰던 ‘조국 사태’가 일단락됐다. 그동안 대법원 확정 판결이 날 때까지 장관직을 유지할 것 같은 태도를 보였던 그가 갑자기 자진 사퇴한 배경을 두고 하루 앞으로 다가온 법무부 국정감사가 부담으로 작용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조 장관은 1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법무부 국감 출석을 앞두고 있었다. 이날 국감 역시 조 장관 본인과 가족을 둘러싼 비리 의혹에 대한 여야의 치열한 공방이 예상됐다. 이 때문에 조 장관이 심리적 부담을 크게 느꼈을 수 있다는 게 법조계와 정치권의 해석이다.

국감은 인사청문회나 대정부질문과 달리 허위 증언을 했을 경우 국회로부터 형사고발을 당할 수 있다. 국회에서의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국회증언감정법)에는 국정감사 등에서 선서한 증인이 허위 진술을 했을 경우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국회 위증죄는 5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처벌받는 형법상 위증죄에 비해 무겁게 처벌한다. 위원회 차원의 합의가 있어야 고발을 할 수 있다는 단서는 있지만 앞서 인사청문회나 대정부질문에서의 발언을 놓고 ‘거짓말’ 의혹이 일고 있는 조 장관 입장에서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다.

한 전직 검사장은 "사모펀드, 입시 비리 등 조 장관의 그간 발언이 상당부분 허위로 드러나 있는 만큼 국감에서 똑같은 질문이 나와도 (조 장관은) 함부로 대답할 수 있는 상황에 놓인 것"이라며 "더이상 물러설 곳이 없게 되자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14일 오후 전격 사퇴한 조국 법무장관이 이날 오전 정부과천청사 법무부에서 검찰개혁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14일 오후 전격 사퇴한 조국 법무장관이 이날 오전 정부과천청사 법무부에서 검찰개혁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 장관이 사의를 표명하는 시각 조 장관 아내 정경심(57)씨는 다섯번째 검찰 조사를 받고 있었다. 정씨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에 앞서 마지막 조사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검찰은 지난 12일 4차 조사 이후 "한두번 더 조사한 뒤 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했었다. 이런 상황 역시 조 장관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그는 사퇴 입장문에서 "특히 원래 건강이 몹시 나쁜 아내는 하루하루를 아슬아슬하게 지탱하고 있다"며 "인생에서 가장 힘들고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가족 곁에 지금 있어주지 못한다면 평생 후회할 것 같다"고 했다.

숱한 논란 속에서도 조 장관은 이날 오전 검찰개혁 방안을 직접 발표했다. 46년만에 검찰 특수부 간판을 내리고 ‘반부패수사부’로 바꿨으며, 수사의 범위와 규모도 대폭 축소했다. 이와 함께 피의사실공표, 심야조사, 공개소환 등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검찰의 수사관행을 바꾸기 위한 방안들을 내놓았다. 그는 이날 사퇴하면서 "행정부 차원의 법령 제·개정 작업이 본격화됐다"며 "저는 검찰개혁을 위한 ‘불쏘시개’에 불과하다. ‘불쏘시개’ 역할은 여기까지"라고 했다.

이에 대해 법조계 한 관계자는 "본인과 가족이 수사를 받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는데도 조 장관이 버텨온 명분은 검찰개혁을 위한 현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겠다는 것 아니겠느냐"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현 정부 사람들은 조 장관을 통해 ‘검찰개혁’의 의지를 보인 것만으로도 큰 성과라고 여기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

황교안 "조국 사퇴, 文대통령 책임...국민 앞에 통렬하게 사죄해야" 김보연 기자
서울대 추진위 “조국 사퇴 답 아냐...이것이 정의인가, 대답하라 문재인" 박소정 기자
[마켓뷰] 정치 테마주 '불쏘시개' 된 조국 사퇴...설움 씻은 삼성전자 김유정 기자
'조국 사퇴' 보고받은 윤석열,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최재훈 기자
취임 35일 만에, 조국 법무부장관서 '사퇴'…"제 역할 여기까지" 김지호 기자·장련성 기자
퇴임식 없이 법무부 떠난 조국…"국민께 죄송하고 감사" 박현익 기자
박지원 "조국 존중… 누구도 이루지 못한 검찰개혁 성공시켜" 김명지 기자
日 언론 "조국 임명 강행한 文대통령, 정권 타격 불가피" 김명진 기자·이정수 인턴기자
국론분열 아니라던 文, 오늘은 "국민갈등 송구" "조국 윤석열 환상조합, 꿈같은 희망 됐다" 박정엽 기자
공지영 "가슴 찢어져… 자 이제 윤석열도 물러나자" 안상희 기자
유승민 "겨우 35일 장관하려고… 檢, 끝까지 불법·부정 파헤쳐야" 김명지 기자
더 버틸 것같던 조국 전격 사퇴… 다음 총선 나설까 김명지 기자
與, '조국 사퇴' 관련 지도부 회의 소집 유병훈 기자
한국당 "조국 사퇴 사필귀정… 文대통령, 국론분열 사과해야" 김보연 기자
지지율 떨어지고 與는 재촉하고… 대통령도 어쩔 수 없었다 박정엽 기자
'조국 테마주' 급락… 이낙연·유시민 株 상승 김유정 기자
靑 강기정 "조국 사퇴, 본인 결심… 촛불집회 보며 책임감" 김보연 기자
법무장관 사퇴에 '조국 테마주' 급락 김유정 기자
조국, 법무장관 임명 35일만에 사퇴 오경묵 기자
[조국 사퇴 입장문 전문] "더는 제 가족 일로 대통령과 정부에 부담드려선 안돼" 홍다영 기자
조국, 서울대 복직할까...서울대생들 "복직 거부 운동 벌이겠다" 반발도 박소정 기자
靑 "조국, 어제 당정청 회의 후 사의 전해와" 박정엽 기자
조국 옹호해온 공지영·안도현·이외수, 與·野·檢 향해 분노 손덕호 기자
총선 급한 이해찬·이낙연이 조국에 '방울'달았나 김명지 기자
"조국 못 지킨 이해찬 사퇴하라"…與 당원들 불만 쇄도 손덕호 기자
文대통령, 조국 사표 수리⋯후임 인선 본격 나설 듯 박정엽 기자
"조국은 이 나라의 영웅" "촛불집회 다시 열자"...분노한 친문 네티즌, 조국 응원戰 김우영 기자

100자평

118
김성수(n****)
모바일에서 작성2019.10.1420:23:57신고
이제 감빵가자 그리고 재인이도 끌어내려 심판하자
박기수(gs****)
모바일에서 작성2019.10.1420:20:52신고
오늘 주변 많은 국민들이 얘기 하더군. 얍샵한 놈~ 조국아! 너 많이 들어 봤을거야. "호ㆍ로ㆍ새ㆍ끼"라고. 쓰레기놈! 저질(해충) 행위는 부정하고, 개ㆍ꿈속의 아집으로 끝내, 쓰레기장(서울대) 쓰레기통(법학전문대학원)에 기어 들어가서(복귀) 내로남불 지껄이겠지. 헐~ 나 홀로 구호나 외쳐본다. 문재인 퇴진(버티면 탄핵!), 조국 구속!
김상범(sil****)
2019.10.1420:13:51신고
조국 출국금지, 그리고 조국을 통해 문재인의 과거, 현재, 미래를 보았다. 얼렁 하야하라
최성관(su****)
2019.10.1420:12:50신고
문가가 오늘밤 잠 못하게 생겼다. 쪼ㅅ꾸ㄱ이와 동성애 카풀 같이 사랑이 깊었는데, 이렇게 빨리 떠날 줄이야... 문가야, 그러지 말고 청와대에서 나와라. 거기 있으면 제명에 못간다.
하세용(zan****)
모바일에서 작성2019.10.1420:11:38신고
조국아, 고맙다. 너가 느그들 운동권의 실체를 알게 해줘서. 야비하고 더러운 운동권 놈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