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28일 4시부터 자정까지 2·3호선 교대역과 2호선 서초역에서 하차한 사람은 총 10만2,229명으로 집계됐다. 승차한 사람은 총 10만 3,172명이다. 지하철 막차는 대개의 역에서 자정 전에 도착하기 때문에 사실상 이날 촛불집회 2시간 전부터 이 근처에서 활동하고 돌아간 사람의 수는 약 10만 명을 넘는 셈이다.
이날 승하차 승객 수는 촛불집회 시작 시간인 6시를 기점으로 바뀌었다. 촛불집회 장소인 반포대로·서초대로와 가장 가까운 서초역 하차 인원은 오후 4~5시 8,461명에서 5~6시 1만8,887명, 6~7시 2만397명으로 급속히 늘어났다. 저녁 7시~8시부터는 승차인원이 1만715명으로 전 시간 대비 약 6,000명 증가했고 저녁 8시~9시 1만2,650명 저녁 9시~10시 1만1,566명으로 꾸준히 1만 명을 넘겼다. 교대역도 유사한 양상을 띄었다. 촛불집회 시작 전후로 사람들이 지하철역에서 내린 후 다시 탑승하고 집으로 돌아간 양상이다.
이날 서초역과 교대역 주변에 차량이 전면 통제됐다는 사실을 미뤄볼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하철을 이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지방에서 촛불집회 시작 전 대절 버스로 사람들이 도착했지만 이를 다 합해도 주최측에서 추산한 200만 명은 무리일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더구나 같은 시간 집회 장소 바로 옆에서 서초구의 서리풀 페스티벌 폐막식이 열려 하차 승객이 분산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날 여야는 ‘200만 명’의 진위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29일 “어제 200만 국민이 검찰청 앞에 모여 검찰개혁을 외쳤다”며 “검찰 개혁을 향한 국민의 염원을 담아 검찰개혁·사법개혁을 반드시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이준석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은 “(집회 참가자는) 한 10만~20만명 정도 되었을 것”이라며 “애초에 지하철 처리 용량을 수십 배 초과한 수치를 제시해 놓고 검증을 피하는 것은 넌센스”라고 꼬집었다.
/변재현기자 humbleness@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X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