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적병이 강기슭에 나뉘어 주둔해서 10여 개의 주둔지를 만들고 짚으로 막을 짓고 여러 날 강을 건너지 못하고 있었다.
윤두수ㆍ김명원이 성 위에서 바라보고 밤을 타서 엄습하면 가능하겠다 여기고 장사 4백여 명을 뽑아 고언백(高彦伯) 등을 시켜 인솔케 하고
능라도로부터 가만히 건너 삼경에 거사하기로 약속했으나 시간을 놓쳐 건너고 보니 벌써 새벽이었다. 적진에서 놀라 요란하였다.
아군이 많이 쏘아 죽이고 말 3백여 필을 빼앗았다.
조금 뒤에 여러 둔의 적이 크게 이르러 아군이 물러나 배를 타려 하나 배 안에 있던 사람들이 적이 중류(中流)에 닥친 것을 보고 배를 대지 못하니
우리 군사 중에 빠져 죽은 자가 많았다. 남은 군사가 왕성탄(王城灘) (대동강 상류에 있다.) 으로 어지럽게 건너오니 적이 비로소 그곳이
물이 얕아 건널 수 있는 것을 알고 해가 저물 때 적병이 전부 건넜다. 왕성탄을 지키던 군사는 살 하나 쏘아보지 못하고 다 흩어져 도망하였다.
이때 장사 임욱경(任旭景)ㆍ민여호(閔汝虎) 등이 퇴각하여 대동강변에 이르러 왜적을 잡아 거꾸로 쥐고 좌우로 마구 휘두르니
적이 감히 가까이오지 못하였고, 왜적을 10여명 쳐 죽였으나 마침내 그들도 빠져 죽었다. 명원 등이 연광정에서 목격하고 애통해 하고 애석하게 여겼다.
이날 저녁에 적이 청은여울[靑銀灘]ㆍ백은여울에서 그 군사를 갈라 보내 건너려는 모양으로 시험하니 여울 지키던 장수
김억추(金億秋)ㆍ허숙(許淑)ㆍ이윤덕(李潤德) 등이 한꺼번에 도망쳐 흩어지고 위와 아래에 있는 여러 진이 따라서 흩어졌다.
적이 건너고 나서도 방비가 있을까 의심하여 주저하며 들어오지 못하고 성밖에서 진을 치고 모란봉에 올라 한참동안 관망하다가 성이 비고
사람이 없음을 알고 이튿날 비로소 성에 들어왔다.
윤두수 등이 일이 글렀음을 알고 드디어 성중 사람들을 먼저 나가게 하고 이어 군기(軍器)는 풍월루(風月樓) 못 가운데 넣어버렸다.
종사관 김신원(金信元)은 잠깐 안악(安岳) 등지에 가서 군사와 백성을 불러모아 다시 무슨 계획을 하자고 청하였다. 두수는 울면서,
“이미 성도 지키지 못하고 또 임금의 행차도 따르지 못하고서 해변에 떨어져 있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나.” 하고 보통문으로
나와 순안으로 향하였다. 명원 등은 모두 성을 버리고 달아나고 신원은 배를 타고 달아나 성이 드디어 함락되었다.
이날 저녁에 평양이 함락되었다는 급보가 이르렀다. 임금과 중전이 급히 떠나니 밤이 이미 이경이었다. 비는 많이 내려 길은 질척거리며
시위하는 인원은 수십 명에 지나지 못하였다. 대신이라야 오직 원임대신 정철뿐이었다. 호종하고 가던 이항복이, “앞에 있는 시위 인원이 매우 적으니
내가 병조의 장관으로 뒤에 있을 수 없다.” 하고 드디어 병조 좌랑 박동량과 더불어 말을 빨리 몰아 앞에서 인도하려고 어마(御馬)를 스치고
지나가니 임금이 더욱 든든하게 여겼다. 밤 오경에 가산에 이르렀다.』
---
위 내용은 정사 기록이 아니라 야사 기록인 연려실기술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일명전쟁 초기에 있었던 왕성탄 전투-평양성 전투 부분임.
『낮에 박천군에 이르니, 평양에서 온 사람이 말하기를, “어제 윤두수ㆍ김명원이 장사 4백여인을 얻어 밤에 강을 건너 적의 병영을
돌파하여 들어가 적을 많이 죽였습니다. 다만 새벽녘에 싸움을 돋워 일진일퇴하면서 정신없이 싸우고 있을 적에 날이 이미 밝았고,
적의 대군이 밀려들어와서 우리 군대는 질서없이 배를타고 건너는데 적이 추격하여 왔습니다. 그래서 장사 임욱경(任旭景), 민여호(閔汝虎) 등이
대동강변에 이르러서 적 한 놈을 거꾸로 잡고 좌우로 마구 휘두르니, 적은 감히 가까이 오지 못하였습니다. 격살한 적이 10여명이나 되었는데,
끝내 물에 빠져 죽었습니다. 도원수는 연광정 위에서 이것을 목격하고 통탄하면서 대대적으로 밤을 무릅쓰고 강을 건너가지 못한 것을
한스러워하고 있습니다.” 하였다.』
---
위 내용은 일명전쟁 당시 의병장이었던 김종의 일기책인 임진일록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조선군 정예의 백병전 능력을 찬양한
그 사학도 블로거가 인용한 기록이기도 함.
위 일기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임욱경과 민여호라는 헐크(웃음) 2명이 일본군을 붙잡고 둔기처럼 휘두르면서 10명 넘게 처죽였다는 내용은
김종 본인이 직접 목격한게 아니라 평양에서 온 구라쟁이 조센징의 일방적인 보고 내용임을 알 수 있음.
덧붙여서 두 기록 모두 임욱경과 민여호가 결국 대동강 물에 빠져 죽고 사이좋게 염라대왕 만나러 갔다고 기록되어 있음.
저 내용이 사실이라면 한마디로 두 헐크?는 끝까지 처절하게 싸우다가 전사한게 아니라 빤스런하다가 대동강 물에
빠져 죽었다는 소리임.
뭐야 정사도 아니고 야사였어?
09.22 04:20애초에 최소 50kg은 될 거기다 갑옷 무게도 합치면 더 나갈텐데 이걸 둔기처럼 휘두른다는게 말이 안됨 관우가 49kg 청룡언월도 썼다는것도 구라로 판명나는데 실제로 무기로 쓰는 둔기도 무거워봤자 2kg 4kg정도인데
09.22 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