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는 한글을 탄압하긴 커녕 재발견하고 맞춤법도 정립하는데 도움을 주고 직접 연구도 하며 쓸수 있게 하였다
1912년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을 만들어서 교과서에 반영했다. 시행하다가 문제점이 있자 1921년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대요를 시행한다. 그리고 다시 1930년에 언문철자법을 만듬
여기서 표음주의 학자들과 형태주의 학자들이 이견이 갈려서 형태주의 학파들이 따로 만든게 조선어학회다.
그래서 언문철자법과 거의 같지만 조금더 형태주의쪽으로 기운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라는것을 1933년에 발표했다.
그러나 박승빈이 주도하는 조선어학연구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반대하며 조선어학연구회와 조선어학회가 서로 공개토론도 하며 이것에 대해서 논하였다.
그러자 보고있던 문학인들이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찬성한다는 성명서를 신문에 냈다.
첨부한 그림이 그 내용임
한글 철자법 시비에 대한 성명서라는 내용임
이런건 자료보관소지
09.14 1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