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만난 가와무라 전 장관
“일본 피고 기업이 일단 배상하고
한국 측이 같은 액수 추후 변상”
“지소미아 파기라지만 11월 23일까진 집행유예, 그 전에 한·일 관계 풀어야”
가와무라 다케오 일·한 의원연맹 간사장은 지난 3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정부가 징용 문제 해결을 위한 ‘1+1+알파’ 안을 8월 15일께 일본 측에 비공개로 제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8월 이낙연 국무총리(오른쪽)가 방한한 다케오 간사장과 대화하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배상 과정에 참여하는 이 방안이 가와무라 간사장의 말대로 일본 측에 전달됐다면 지금까지 “정부는 관여할 수 없다”며 ‘한·일 기업에 의한 위자료 지급’을 고수했던 우리 정부의 입장이 유연해진 것으로 해석돼 주목된다. 단, 도쿄의 한국 정부 소식통은 “적어도 실무 차원에서는 그런 제안이 있었다는 얘기를 들어보지 못했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실무 차원과는 별도로 8·15를 전후해 양국의 고공 외교 채널은 열려 있었고, 실제로 가동됐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지난달 23일 지소미아 관련 브리핑에서 “8·15 광복절에도 우리 고위급 인사가 일본을 방문했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취소되긴 했지만 광복절 직후인 16~17일 조세영 외교부 1차관과 아키바 다케오(秋葉剛男)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필리핀 마닐라 등 제3국에서 비공개 만남을 추진하기도 했다.
21일엔 베이징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도 열렸다. 이런 고위급 채널에서 한국 측 제안이 일본 측에 전달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뜻이다. 가와무라 간사장은 일본 측 반응은 소개하지 않았다.
다만 8·15 1주일 뒤인 22일 한국 정부가 지소미아 종료를 결정했다는 점에서 외교가에선 “일본 정부가 한국 제안을 거부했고, 이에 한국이 지소미아 종료 결정을 내린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일본 기업이 배상에 응하는 모양새 자체가 “징용 문제는 65년 청구권협정으로 모두 해결됐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과 배치된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쿄의 일본 정부 소식통은 4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징용 문제 해결 없이 양국 관계는 풀릴 수 없기 때문에 여러 아이디어를 놓고 양국 간 물밑 논의를 하고 있다”면서도 “뚜렷한 진전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가와무라 간사장은 기자들에게 “한국 측이 (지소미아) 파기 결정은 했지만 (실제 협정이 종료되는) 11월 23일까지는 어찌 보면 ‘집행유예’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며 “그 기간 내 해결책을 찾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이낙연 총리도 ‘지금 같은 상태가 계속되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sswook@joongang.co.kr
게시판 관리기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댓글 서비스입니다.
일본에게 해결책으로 우리가 부담하는 방안은 제시 하면 안된다 지금의 한국에 대한 조치는 상식적인 국가에서 할수 있는 조치가 아닌 전쟁정 선전 포고때나 할수 있는 행동으로 여기서 일본의 정신자세를 고치지 못하면 다음에 또 이런일 일어난다
답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