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에 반일종종주의에 대한 제대로 된 반론은 거의 없다.
조국, 송호근같은 사이비들은 책을 읽지도 않고 비난하다가 망신살을 구겼고
전강수 대구가톨릭대 교수가 반일종족주의에 대한 반론을 했는데
차명수 교수는 그의 주장을 죽창경제사라고하며 반격하고 있다. (차명수 교수 페이스북 인용)
1.
"일제가 총칼로 조선 농민들의 토지와 쌀을 '약탈'하지 않았다는 것은 역사적 사실이다. 그렇다면 일제 강점기에 수탈이 없었다는 말인가? 아니, 그렇지 않다."《죽창경제사》
"일본인들은 전북, 전남, 경남, 황해 등의 곡창지대를 중심으로 농지를 매집하여 지주경영을 확대했다. 그 이면에서 조선 농민들이 토지를 상실하고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일이 있었음은 물론이다."《죽창경제사》
차교수의 반론: 이 두 문장은 모순이다. "수탈"이란 강제가 개입되어야 성립하는데 "매집"했다는 것은 자발적인 거래를 통해 일본인들이 토지를 획득했다는 말이기 때문에.
2.
"일제는 쌀 증산을 위해 수리조합이란 걸 활용했는데, 여기에 일본인들이 적극 참여하여 농지를 확대하고 개선했다. 일본인들은 강 주변 저습지나 상습 침수지를 대량 매입한 다음 주변 농지까지 편입시켜 수리조합을 설치하고는 수리시설 개선을 꾀했다. 이때 수리조합에 강제편입된 조선인 농민 중에는 과중한 수리조합비 부담으로 농지를 상실하고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죽창경제사》
차교수의 반론: 편익에 비해 비용이 더 크다고 보아 보나 수로 같은 관개시설을 지역단위로 건설하는 프로젝트(수리조합)에 참가하고 싶지 않았지만 강제로 들어간 조선인 농민들이 있었다.
개별 지주나 농민이 자기 땅에만 물을 대는 보나 수로를 건설하는 것이 지리적으로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다 하더라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넓은 지역 전체의 관점에서 수리 시설을 건설한 것이 사실이다.
요즘도 아파트 재개발이 소유주 100% 동의를 얻어 시행되지는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래서 분쟁이 발생했다. 근데 이것 때문에 일제시대에 소작지 비율이 올라간 것이 아니다. 산미증식계획은 1920년에 시작되었지만 소작지율은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 초에 집중적으로 올라갔는데 일본에서도 이 시기에 소작지율이 증가했다. 왜? 세계농업공황 때문에.
3.
"일본인 대지주들은 토지 매집으로 대규모 농장을 조성하고는 조선인 농민들에게 소작을 주었는데, 소작료는 수확의 60퍼센트에 달하는 고율이었다"《죽창경제사》
차교수의 반론: 일본인 농장의 평균 소작율이 얼마인지, 일본인 지주가 조선인 지주에 비해서 더 높은 소작료를 받았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 설사 그런 사례가 있다 하더라도 일본인 지주가 조선인 농민을 강제로 데려다 소작 계약을 맺은 것은 아니다. 소작료율이 높더라도 다른 조건을 모두 고려해 볼 때 딴 데 보다 적어도 나쁘지 않으니까 제발로 걸어 가서 일본인 농장에 가서 일한 것이다.
4.
"그들은 소작농에게서 가능한 한 많은 소작료를 수탈하기 위해 종자 선택과 비료 사용의 강제, 경작 과정 전반에 대한 감독, 소작지·관개시설 관리 강제, 수확물 품질과 처분에 관한 규제, 자금 전대(前貸)를 통한 지배, 연대 소작인 제도 적용 등 물샐 틈 없는 지배체계를 구축했다. 그 과정에서 대지주는 자꾸 더 성장하고 소작농들은 빈곤에 빠졌다." 《죽창경제사》
차교수의 반론: 이 두 문장 사이에 인과 관계를 설정할 수 있나? 아무 관계 없는 문장 두 개를 늘어 놓고 인과관계의 분위기를 풍기고 있는데 불과하다. 지주가 어떤 품종을 어떤 방식으로 재배하라고 소작인에게 요구하는 게 뭐가 잘못됐다는 것인가? 지주 말대로 하면 총산출이 늘어날 것이고 이는 소작인에게도 이익이 된다.
5.
"일제 강점기 대지주의 발달과 농민 몰락, 그리고 대지주를 매개로 한 쌀 이출을 두고 '토지 수탈', '쌀 수탈'이라는 말 외에 뭐라 표현해야 할까?"《죽창경제사》
차교수의 반론: 그냥 토지 매매, 쌀 수출이라고 하면 된다.
6.
"오늘날 한국이 부동산 문제로 시달리게 된 역사적 기원은 바로 토지조사사업이다"《죽창경제사》
차교수의 반론: 맞는 말이다. 토지등기제도가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생겼고 등기부등본이 없다면 부동산 거래가 어려울 것이고 따라서 투기하기도 어려울테니까. 근데 토지에 대한 사적 소유권 자체를 없애야 한다는 말인가?
7.
"이우연 박사에게는 10만 명이 별 것 아닌 모양이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떻게 강제동원이 허구라고 주장할 수 있는가?" 《죽창경제사》
차교수의 반론: 반일종족주의라는 책을 아직 읽어 보지 못했는데 강제 동원이 없었다고 주장한 것이 아니라 강제 연행이 없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고 있다. 오늘날 의무적으로 군대에 가듯이 징용은 1944년 당시의 법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지만 박경식이라는 조총련 계열 학자가 주장한 것처럼 아프리카 노예 사냥하듯 마구잡이로 길 가는 사람 끌어가지는 않았다는 것.
전강수같은 교수들도 책을 제대로 읽지 않거나 스스로 종족주의사고에 빠져 이따위 반론을 내놓다가 책저자도 아닌 경제사학자 차명수교수에게 조목조목 반박당한다.
정말 반일 종족주의 책에 대해 이보다는 수준높은 반론이 나와서 저자들이 논쟁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펼쳐졌으면 좋겠다.
한쪽의 수준이 심각하게 낮네. 토지조사사업 때문에 부동산 문제가 커졌다는 발언은 진성 사회주의자들이나 하는건데
09.03 0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