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국, 3각 안보체제 사실상 탈퇴… 韓美동맹 파열음"
외교·안보

"한국, 3각 안보체제 사실상 탈퇴… 韓美동맹 파열음"

입력 2019.08.24 03:00

[지소미아 파기]
- 한미일 전문가들 분석
"美, 한국과 방위비 협상에서 지소미아 파기 비용 청구 가능성"
"美의 동북아 전략서 한국 소외… 日 군사대국화 날개 달아줄 수도"
"한국정부, 국익보다 국내정치 우선… 일본때리기로 정치적 이득 노려"
中 "파기는 한국의 자주적 권리"

우리 정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가 한·미 동맹 균열과 안보 불안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미 정부가 이례적으로 "실망했다(disappointed)"고 반응한 것을 놓고 외교 전문가들은 "한·미 동맹이 벌어지고 있다"고 했다. "문재인 정부가 한·미·일 3각(角) 협력의 연결고리(지소미아)를 끊은 것은 한국이 미국의 동북아 안보 전략에서 이탈하려는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파기 배경 설명하는 靑… 통보서 받으러 온 日대사
파기 배경 설명하는 靑… 통보서 받으러 온 日대사 -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23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 결정의 배경을 설명하는 브리핑을 하고 있다(왼쪽). 같은 날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는 우리 정부가 지소미아 종료를 통보하는 외교 서한(구술서)을 전달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를 찾았다(오른쪽). /연합뉴스
남주홍 전 국정원 1차장은 "지소미아 파기는 한·미 관계에 후폭풍을 몰고 올 악수(惡手) 중의 악수"라며 "지소미아 파기에 반대해온 미국은 한·미 방위비 협상에서 그 비용을 청구하면서 북한 비핵화 협상에서도 일본과만 주요 전략을 공유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미국 내 기류에 따라 전작권 조기 전환으로 우리 안보에 구멍이 생길 수도 있다"고 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미국으로선 한국이 동맹국인 미국의 안보 전략에 협력하려는 의지가 없는 나라로 인식할 것"이라고 했다.

김홍균 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 본부장은 "미국이 한국을 배제하고 동북아 안보 질서를 개편해 제2의 애치슨 라인을 그으면 한국은 외톨이가 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주미 무관을 지낸 한 예비역 장성은 "신뢰 훼손을 넘어 동북아 안보 전략을 강화하려는 미국의 역린(逆鱗)을 건드린 것"이라며 "우리는 소외되는 반면 미·일 동맹을 기반으로 한 일본의 군사 대국화에는 날개를 달아줄 수 있다"고 했다.

일본 주요 일간지들은 23일 우리 정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 결정을 신문 1면에 주요 뉴스로 보도했다.
일본 주요 일간지들은 23일 우리 정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 결정을 신문 1면에 주요 뉴스로 보도했다. /연합뉴스
이번 지소미아 파기는 북한이 미국과의 비핵화 실무 협상에 나서지 않은 채 중·러와의 밀착을 강화하는 와중에 나왔다. 미국은 중국과는 무역 전쟁을 벌이고 있고, 러시아와는 중거리핵전력(INF) 조약 파기 등을 놓고 갈등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한국의 지소미아 파기와 관련, "주권 국가의 자주적 권리"라며 사실상 지지·환영 의사를 밝혔다. 미 CNN은 "한·일 균열이 북한에 대응한 안보 협력을 악화시키고, 잠재적으로 중국에 승리를 안겨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미·일 공조가 절실한 상황에서 미 조야(朝野)에선 한국 비판론이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전직 고위 관료와 전문가들은 한국의 지소미아 파기를 '한·미·일 3각 공조의 탈퇴 선언'으로 규정하면서 "한·미 동맹 해체의 빌미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이날 빈센트 브룩스 전 한미연합사령관은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70년간 역내 번영과 안정을 이끈 한·미·일 공조 체제가 더 큰 위험에 직면했다"며 "향후 북한뿐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가 동맹의 해체를 더 적극 공략할 수 있는 빌미를 줬다"고 했다.

에번스 리비어 전 미 국무부 동아태 수석부차관보는 "이번 결정은 (한·미·일) 3각 공조 체제에서 사실상 탈퇴를 선언한 것"이라며 "북한과 중국에 (한국이) 큰 선물을 줬다고 의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특히 "협정 종료 (통보) 직전 한·일 외교장관이 중국의 중재로 베이징에서 회담을 연 점도 미국 정부의 의심과 분노를 증폭시키는 여지를 남겼다"고 했다. 문재인 정부가 중국의 영향력 아래에 있다고 미국이 의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첼 리스 전 국무부 정책실장은 "(한국 정부가) 국가 이익과 국민보다는 국내 정치를 우선시한 결과"라며 "청와대가 당장은 국내 정치적으로 인기를 얻는 방안이라고 판단한 듯하다"고 비판했다. 조국 법무장관 후보자의 각종 의혹 등으로 지지율이 흔
들리자 '일본 때리기'를 통해 정치적 이익을 노리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 내에서도 동북아 안보에 미칠 파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표적인 지한파 전문가인 오쿠조노 히데키(奧園秀樹) 시즈오카현립대 교수는 본지에 "한국의 이번 결정은 사실상 북한과 중국을 이롭게 하는 결정으로 국제사회에 한·미·일 안보 체제의 허점을 드러낸 것으로 비칠 수 있다"고 했다.



100자평

33
박상현(chui****)
모바일에서 작성2019.08.2413:42:31신고
구한말 조선이 영미편에 서지 않고 중러편에 선 결과 조선 대신 일본을 아시아 최전선으로 삼아 조선은 국가를 잃었다. 문재인의 한미일 삼각동맹파기는 일본의 군사대국화를 압당기고 한반도를 분쟁지대화로 만들 것이다. 사강에 둘러싸인 한반도가 지정학적 리스크를 벗어나는 길은 한미일영 자유민주동맹을 강화하는 것이지 결코 이들을 상대로 이겨먹으려는 무모한 오기로 북중러공산동맹에 가담하는 것은 안된다. 무모한 줄타기외교는 나라가 한번더 망하는 환란을 자초하는 짓이다.
소병운(abcde1****)
2019.08.2412:14:38신고
일본의 국력은 과거 2차대전기의 시절 미국에게 패배하기전에 전 세계를 공포의 도가니로 몰고 중국을 비롯한 전 아시아를 삼키던 일을 상기하면 엄청났던 것이다. 현재는 미국을 비롯한 유엔이 억제하여 자위대 수준의 군사력만을 유지하고 있지만 그래도 우리와 중국은 감당이 안된다. 만약에 북과 문재인일당이 합작하여 적화를 시도하고 일본을 위협한다면 과거 군국시대보다 더한 군사대국의 명분과 빌미를 주어 크나큰 댓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이상기(leesan****)
2019.08.2412:10:30신고
문재인은 더이상 대한민국의 대통령이아니다..오직 과반도 안되는 좌파지지자들만의 대통령이고 구국의 마음으로 하루속히 청와대에서 끌어내야한다..매주 서울역,광화문집회로 나가 국민의 힘을 보여주자...
임운영(k****)
2019.08.2412:02:05신고
아둔하고도 사이비교주코스프레하는 얼간 삽사리가 일본에게 커다란 선물보따리를 엥겨주었다. 무장해제당했던 대본영이 금제를 풀게 되는 것이다. 명목은 일본이 실체적으로 당면한 적과 잠재적인 적인 한국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한 자구책이니 누가 막아설수도 없다. 휴전선으로 대치하는 곳에서 고귀한 미군의 목숨으로 인계철선을 유지하는 스트레스는 미국에겐 큰 부담이었다. 공산주의와 그 삽사리와의 대치를 바다를 사이에 두고 일본이 감당한다면 미국이 바라던 바다. 애치슨라인이 그어질 위중한 상황임에도 북에 얼빠져서 거짓뿌렁이나 하고있으니 도대체 인두껍을 뒤집어 쓴 돼지새인가? 인민사원 전도사인가? 지소미아파기를 번복하던 대법원판결의 이행을 중지시키던 아베는 방아쇠를 당길 것이다. 머저리가 준 천재일우의 기회다. 일본군대의 부활이다.
Hee Bok Lee(calsuns****)
2019.08.2412:01:46신고
지난 김대중 정부 시절부터 우리 정부의 외교 노력 중 하나는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군대를 갖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김대중, 노무현의 정신을 잇는다며 호남지역을 속여온 이 정부가 북과의 관계에 미쳐 지난 정부의 노력을 헛되이 만들고 일본이 전쟁이 가능한 군대를 갖을 수 있는 구실을 만들어 버렸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