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군산 소재 일제시대 일본식 사찰.
  • 실라(211.230)
  • 2019.08.11 21:57
  • 조회수 72
  • 추천 4
  • 댓글 2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e7ec919e1bbde2232c0af1b67c994e62116db40f3f4bd10281aa3369b4b4bb676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e7ec919e1bbde2232c0eb4b30a396e32312d340dc695dd7ee21583d7eb98d299884ba872c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e7ec919e1bbde2232c0af1b67c994e62116db40f3a1bd4c7c49ab37c64b4bb676


viewimage.php?id=27bcc027ebc1&no=24b0d769e1d32ca73ced87fa11d028316059171f52f1b44ff514cd48de7ec919e1bbde2232c0eb4b30a396e32312d340dc695dd7ee240e3f2cb48879c584ba8744



일본 조동종(曹洞宗) 승려 우치다[內田佛觀]가 1909년 8월 군산의 외국인 거주지 1조 통에 세운 금강선사[금강사]에서 출발한다. 


당시 금강사는 '포교소'였다. 


우치다는 1913년 군산 지역 대농장주 구마모토[熊本利平]와 미야자키[宮岐佳太郞] 등 29명의 신도에게 시주를 받아 지금의 자리에 대웅전과 요사를 신축하였다. 


1945년 해방과 함께 미군정에 몰수됐다가 1947년 불하받아 사찰 기능을 재개하였다.


1955년에는 '불교 전북 종무원'에서 인수하여, 김남곡[1913~1983]이 이제부터는 ‘우리나라[海東國] 절이다’는 뜻으로 '동국사'로 등기를 내고, 1970년 대한 불교 조계종 제24교구 선운사에 등록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등록 문화재 제64호인 대웅전은 건축 자재를 일본에서 가져와 지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 사찰과 달리 승려들의 거처인 요사와 복도로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정면 5칸, 측면 5칸의 정방형 단층 팔작 지붕 홑처마 형식의 대웅전은 일본 에도 시대 건축 양식으로 외관이 무척 단조롭다. 


지붕 물매는 75도의 급경사를 이루고, 건물 외벽에 창문이 많으며, 용마루는 일직선으로 한옥과 대조를 이룬다.



http://www2.gunsan.go.kr/tour/index.gunsan?menuCd=DOM_000005408003013000

  • 4 고정닉 추천수0
  • 0
  • 킴취(121.133)

    진심으로 한국에 있는 모든 절 중에 제일 이쁘다 ㅋㅋ

    08.11 22:20
  • 킴취(121.133)

    국까 빼고 봐도....ㅋㅋㅋ

    08.11 22:21

파워링크 광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