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일본은 1951년부터 전후 국가 노선을 제대로 설계했어야 했다
  • 시티즌(59.16)
  • 2019.08.10 17:53
  • 조회수 70
  • 추천 4
  • 댓글 0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d87fa11d02831d60f24b7b88547ae241c932214c4f7334613397faf8db52d8008d0b6cea853fe5fac460a41c6a5fe7e607102b76f6e555e7a0770d9





미국이 평화헌법 강요했으니 일본더러 쭈~욱 군대도 가지지 말고 종속국가로 살으라고 강요했습nida!! <-요렇게 망상 착각하는 센징들이 많은데..


센반도 전쟁을 치루는 와중에도 대서양주의-유럽 중심주의 사고관이 지배하던 당시 미국 행정부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무식한 소리밖엔 안 됨.

오히려 일본의 신속한 경제 회복과 재무장을 견인해 국제 무대로 복귀시킨 후 호주와 뉴질랜드, 필리핀까지 끌어들여 나토를 모방한 안보기구를 창설시켜

아태지역 안보의 코너스톤으로 삼고, 센반도 전쟁도 조기 휴전으로 매듭지은 다음 나머지 여력을 유럽 방면에 투사한다는 것이 이상적인 전략 목표였지.


이같은 구상은 48년 후반 로얄 성명에 따른 대일점령 정책의 소위 '역코스' 전환으로부터 제기되어 미 국무부에서 심도있게 논의되었고,

6.25가 발발하기 직전인 1950년 6월 존 포스터 덜레스가 강화조약 교섭차 방일했을 당시 요시다 수상에게 구 제국군의 가용 자원을 감안해

30~35만 규모의 병력을 소집-양성시켜 일본의 주권 회복과 보조를 맞추어 재무장과 아태지역 안보기구 참가를 촉구하면서 쟁점으로 떠오르기 시작함.


정작 미국의 재무장 요구에 직면한 요시다는 '국내의 염전 여론이 만만치 않다'는 핑계(사실 51년 여론조사에선 재무장 찬성 여론이 더 높았음)를 대면서

아태지역 안보기구 창설 구상에 대해서도 아무런 감흥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듬해 초까지 거듭된 미국측과의 실랑이 끝에 국내 좌익을 단속하기 위한

경찰 예비대를 확충해 자위대로 승격시킨 선에서 재무장 압력을 완화시켜 강화조약 조기 체결에 여력을 집중했고, 결국 그대로 주권 회복을 맞이한 거임.


적어도 51~54년 시점에서 요시다가 제대로 마음만 먹었더라면 아시다 히토시, 기시 노부스케 같은 보수 야당계 인사들과 타협해 개헌이 성사되었을텐데,

공산주의 팽창에 맞선 안보 동맹의 긴요성과 자유 진영간의 유대를 간과한 채 넓은 시야를 바라보지 못한 고집불통 수상의 한 순간 판단 미스 때문에

전후 일본은 국제 무대에 나와 제 덩치에 걸맞는 행동거지를 보여주긴 커녕 돈벌이에만 관심을 쏟으며 장사꾼 주식회사란 비아냥만 듣게 되었던 것이다.


만약 미국의 처음 의도대로 ANZUS의 확장 버전이 되었을 아태지역 안보기구가 제대로 출범해 일본이 정상적인 행보를 걸어갔다고 가정할 때

이 기구에서 처음부터 논외 대상이었던 남센의 떼쓰기 비위를 맞춰가며 거액의 차관을 제공하면서까지 호구처럼 굴 필요 따윈 당연히 없었을테고,

나아가 라오스 내전과 월남전, 인도네시아 쿠데타를 대처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외교적-군사적 발언권을 행사해 對중공 견제가 훨씬 용이했을 수도 있음.


뿐만 아니라 미국을 매개삼아 유럽의 나토 회원국들과도 자유세계 방어의 연대 의식을 공유하면서 통상 마찰을 조금이나마 융화시킴은 물론,

군수물자 개발에 있어서도 서유럽과의 기술 및 정보라던지 장교단 파견 교환을 통해 무시못할 레버리지를 누렸을 가능성이 충분했으리라 사료된다.

만약 저런 스토리대로 역사가 진행되었을 경우 남센은 지금도 기껏해야 국민소득 1천불 내외의 원조물자 확보하는데 급급한 개도국으로 남았겠지만.ww



  • 4 고정닉 추천수0
  • 0

파워링크 광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