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1965년 국교 정상화만큼 큰 변곡점… 양국관계 이전으로 되돌리기 어려워"
외교·안보

"1965년 국교 정상화만큼 큰 변곡점… 양국관계 이전으로 되돌리기 어려워"

조선일보
입력 2019.08.03 03:00

[日 2차 보복] 한일관계 전문가들 우려 목소리 "한미일 3각 공조 체제까지 위협"

일본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 나오기까지

외교 전문가들은 2일 일본이 수출 심사 우대국 명단에서 한국을 제외한 것에 대해 "지난 54년간 한·일 관계를 지탱해온 '1965년 협정 체제'가 흔들릴 정도로 사태가 심각하다"며 "한·일 관계가 파국으로 치달으면서 동북아의 안보를 책임진 한·미·일 3각 공조 체제까지 위협받고 있다"고 우려했다.

라종일 전 주일(駐日) 대사는 이날 본지 인터뷰에서 "이번 일본의 조치는 '한국은 이제 믿을 수 없는 국가'로 규정하고 우방으로 삼지 않겠다는 뜻"이라면서 "이번 사태는 1945년 해방, 1965년 국교 정상화에 비견되는 한·일 관계의 중대 변곡점으로 양국 관계가 이전과 같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신각수 전 주일 대사는 "양국은 지난 50년간 역사 문제 등으로 갈등을 겪으면서도 '정경(政經) 분리 원칙'만큼은 '레드라인'으로 삼고 지켜왔다"며 "양측 상호 불신이 쌓이다 이번에 터지면서 결국 '정경 분리 원칙'마저 깨져 버렸다"고 말했다. 그동안 한·일은 과거사·영토 문제 등 민감한 이슈들로 인해 정치적으로는 첨예하게 대립하면서도 '경제·무역 분야는 건드리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켜왔다. 유흥수 한·일 친선협회중앙회장은 "한·일 관계가 완전히 틀어지면서 한·미·일 3각 안보 협력 체제에도 큰 차질을 빚을 우려가 커졌다"고 했

다.

양기호 성공회대 교수는 "이번 사태는 역사 문제로 촉발되긴 했지만, 동맹보다 국익을 우선하는 세계적 풍조의 확산과도 맞물려 있다"며 "앞으로 한·일뿐 아니라 다른 국가 간에도 노골적 힘 대결이 벌어질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미국이 한·일 중재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고 방관적 태도를 보이는 것도 동맹 관리를 이전보다 중요시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


100자평

57
전재영(mani****)
모바일에서 작성2019.08.0411:39:24신고
세월이 그르친 나라 소녀가 한번더 나락으로 떨어트리는구나. 지지율 보며 축배를 들고있을 문재대원군. 증오스럽다.
이진용(jyl****)
2019.08.0323:07:41신고
대한민국 외교안보 경제정책 전반적 수정과 한일간의 갈등 조속히 풀어 정상화시키려면 이번 사태를 저지른 문재인 탄핵 퇴진 밖에 없다.
김재현(wag*)
2019.08.0319:55:09신고
보세요 양양반 정신 차리십시요. 이번일은 정확히 더도 없이 덜도 없이 인기몰이를 위한 문대통령의 즉흥적인 관제 민족주의의 결과입니다. 유사이래 어느시기도 각국가간의 국익 경쟁이 없었던적은 없었고 국가의 이익을 위해서 각국간에 치열하게 다퉈왔다는거 이제 초등학생도 다 아는 팩트입니다. 문제는 국익을 위하는 것이 무언지를 모르는 멍텅구리 대통령보다 멍텅구리를 대통령으로 뽑은 민족은 희망이 없다는 것 입니다. 양양반 역사 공부 쫌 하시구례
최병남(c****)
2019.08.0319:40:42신고
오늘의 한일 관계를 만든 것은 한국의 어용 해바라기 법원이었다 일제시대의 징용자들을 위해서 일본 기업을 망치게 하는일이 과연 잘한 일인지 반성해야 한다 원인을 제공해 놓고 힘도 없어 해결 못하고 죽창가만 부르는 불쌍한 정권과 백성들 이제 얼마나 많은 고통을 백성들이 당해야 할지 모르겠디.
변재홍(bulg****)
2019.08.0317:20:11신고
항상 국민들은 바보짓만 하게 돼 있다. 나라가 왕따 당하고 있지 않은가? 자기 이기심을 억제하지 못하고 정치인이나 고위 공작자들은 국가보다 자기 가정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애국이 무엇인가?왜 애국해야 하는가를 이제야 알겠는가? 그래서 민주국가일수록 투표는 심사숙고해서 해야 하는 것이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