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일본 브랜드 아닙니다”…해명 나선 기업들, 지분구조 살펴보니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각사]

[각사]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확산하며 '일본계 기업'이라고 지목된 일부 기업들의 실체를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기업들은 "우리는 일본 기업이 아니다"라고 하지만 각 기업마다 지분 관계 등이 복잡하게 얽힌 경우가 많아 오해가 풀리지 않는 상황이다. 특히 국가 간 자본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며 기업 국적을 따지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기업의 국적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게 유통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불매운동을 하더라도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일본 불매운동과 함께 '일본계 기업'으로 오해받는 기업 세 곳의 지분 구조와 각 기업의 입장을 정리했다. 
 

세븐일레븐 

세븐일레븐.

세븐일레븐.

편의점 세븐일레븐은 1927년 미국에서 태동한 세계 최초 편의점 브랜드다. 이후 1974년 일본 대형 마트 기업인 이토요카도가 미국 기업 사우랜드와 합작으로 개업했고, 1991년 이토요카도가 사우스랜드 본사를 인수하며 지분 70%를 매입했다. 
 
국내 세븐일레븐은 1988년 코리아제록스와 사우스랜드가 합작해 설립한 코리아세븐이 운영한다. 코리아세븐은 1989년 미국 세븐일레븐과 라이선스를 체결해 서울 송파구에 1호점을 냈다. 이후 코리아세븐은 1994년 롯데지주에 인수돼 현재는 롯데 계열사에 속한다. 코리아세븐의 대주주는 79.66%를 보유한 롯데지주다.
 
코리아세븐 측은 "한국 세븐일레븐은 미국 세븐일레븐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세븐일레븐은 글로벌 브랜드"라고 강조한다. 지난 1일 전국 9700여개 점포 가맹점주들에게 "(세븐일레븐 운영 업체인) 코리아세븐은 대한민국 기업입니다"라는 긴급공지문을 발송하는 등 세븐일레븐 브랜드의 국적, 정체성 등을 알리고 있다.
 

다이소  

다이소.

다이소.

생활용품 업체 다이소는 샐러리맨 출신 박정부 (주)아성다이소 대표의 손에서 순수 국내 회사로 시작했다. 1997년 5월 서울 강동구 천호동에서 연 '아스코이븐프라자'라는 생활용품 가게가 출발점이다. 이후 2001년 11월 일본 균일가 상품 유통회사인 대창산업과 합작해 상호를 다이소아성산업으로 변경했다. 2002년에는 외국인투자기업으로 등록했다.
 
지분 보유 현황은 박정부 회장이 최대주주인 아성에이치엠피가 50.02%, 일본의 대창산업이 34.21%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다이소는 대창의 일본식 발음으로 일본에서는 대창산업이 동일한 상호로 균일가 생활용품 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일본 내 점포는 2900개 이상이다.
 
아성다이소 관계자는 "일본 다이소와는 지분 투자 이외에 로열티 지급, 인적 교류, 경영 참여 등 관계가 없다"고 말한다. 외국인 지분이 높은 삼성전자도 외국기업은 아니지 않느냐는 입장이다.
 

쿠팡  

쿠팡.

쿠팡.

전자상거래 업체인 쿠팡은 비상장 기업으로 정확한 지분율이 공개된 적 없다. 다만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비전펀드(SVF)가 지분 투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계에서는 SVF의 쿠팡 지분율이 30%가 넘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쿠팡은 구체적인 지분율 공개는 하지 않았지만, 외국계 지분이 높다고 외국계 회사라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nag.co.kr
 
AD

J팟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kjmo**** 2019-08-06 14:55:49 신고하기

    한국에 투자한 기업들은 한국에 일자리를 만들기 때문에 적극 보호해야하는데 이게 뭐하는 짓인지? 정부가 이런일이 생기면 제일 먼저 해야할 일은 “한국에 투자한 기업에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라고 안심시키는 일이 아닌가요. 일본이 아니더라도 어느 나라와도 정부간 분쟁은 생ㄱㄹ 스 있는데 그때마다 투자한 기업이 보복을 당하면 어떤 기업이 한국에 투자하겠어요?

    답글달기
    찬성하기10 반대하기0
  • kimd**** 2019-08-06 14:01:54 신고하기

    새븐일레븐의 대주주가 롯데라면 그 수익은 일본으로 대부분 가는 것 아닌가? 그렇다면 결국 일본기업이지...

    답글달기
    찬성하기6 반대하기1
  • kb**** 2019-08-06 13:52:09 신고하기

    일본기업이라고 다 외면할 필요가 있나 싶다. 미운짓 하는 회사만 골라서 패도 된다. 위안부 비하 발언한 사주가 있는 기업이라든지, 전범기업이라든지...

    답글달기
    찬성하기5 반대하기0
  • Case**** 2019-08-06 13:37:43 신고하기

    롯데 일본 지주회사. 일본으로 이익금이 빨려나감!

    답글달기
    찬성하기3 반대하기3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