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웍스=고종관 기자] 청와대가 2톤이나 되는 북한산 송이버섯을 검식조차 하지 않고 이산가족 4000여 명에게 나눠줘 비판이 일고 있다. 특히 버섯류는 국내에서 방사능이 가장 많이 검출된 유통식품인데다 북한의 핵실험에 의한 방사능 오염 가능성이 높아 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은 6일 '대통령 먹을 음식만 안전검사하는 청와대'를 지적하며 이 같이 비판했다.
김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자료를 인용해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10월까지 청와대 납품 식품에 대해 모두 11번의 식품 감식이 있었다고 밝혔다. 도라지·참나물·취나물·시금치 등은 잔류농약을, 바지락·낙지·우럭 등은 방사능 검사를 실시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청와대는 이처럼 납품 식재료를 철저하게 검사하면서 '북한산 송이버섯'에 대해선 이를 생략한 것은 국민 건강을 도외시한 처사”라고 밝혔다.
특히 김 의원은 지난 6년 간 방사능 검출된 유통식품 중 버섯이 최다였다고 강조했다. 실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김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3~2018년 9월 기준 유통식품 방사능 검출 상위 10위 품목 중 버섯이 36.2%(58개 식품 중 21개)로 가장 많았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최근 5년여간 국내 반입 농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에서 요오드나 세슘 같은 방사능 물질이 가장 많이 검출된 품목이 버섯류였다”며 “북한에서 지금까지 6차례 핵실험이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민이 먹을 북한산 송이버섯을 감식하지 않고 그냥 보낸 정부의 행동은 안일하기 그지 없다”고 비판했다.
청와대는 지난 9월 20일, 이산가족상봉에서 탈락한 이산가족 약 4000여 명에게 '북한산 송이버섯 2톤'을 나눠준 바 있다.
한편, 식약처와 청와대는 이 같은 비판에 대해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에 따라 조치했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