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7.25 08:01 | 수정 2019.07.25 08:53
정부 성장기여도 10년 3개월 만에 최대…민간은 -0.2%P
순수출은 3분기째 성장률 깎아먹어…민간 투자부진 심화
올해 2분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전기대비 1.1%를 기록했다. 재정지출이 대폭 늘면서 정부의 성장 기여도가 10년 3개월 만에 최대치인 1.3%포인트(P)에 달했다. 민간의 성장기여도는 -0.2%P로 반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수출은 3분기째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은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기대비 1.1% 성장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는 2017년 3분기(1.5%)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은 2.1%로 집계됐다.
순수출은 3분기째 성장률 깎아먹어…민간 투자부진 심화
올해 2분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전기대비 1.1%를 기록했다. 재정지출이 대폭 늘면서 정부의 성장 기여도가 10년 3개월 만에 최대치인 1.3%포인트(P)에 달했다. 민간의 성장기여도는 -0.2%P로 반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수출은 3분기째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은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기대비 1.1% 성장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는 2017년 3분기(1.5%)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은 2.1%로 집계됐다.
2분기 성장률은 시장예상치(1.0% 안팎)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우려했던 0%대 성장은 면했다.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보면 1.07%로 나타났다. 1분기 성장률(-0.4%)을 감안했을 때 2분기 성장률이 전기대비 1% 이하에 머문다면 또 한 번의 쇼크로 해석될 수도 있었다. 다만 한은은 2분기 성장률을 1.2%로 예상했는데 그에는 다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전년대비 1.9%로 2%를 밑돌았다.
2분기 성장은 정부가 이끌었다. 정부의 성장기여도는 1.3%P로 2009년 1분기(2.2%P)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 예산(470조원)은 지난 5월까지 재정집행률이 54%에 달해 상반기 재정집행률이 60%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1분기 정부의 성장 기여도가 -0.6%P를 기록하자 정부가 재정 집행을 가속화해 성장률을 끌어올린 것이다.
반면 민간은 성장률을 깎아먹는 요소로 전락했다. 민간의 성장기여도는 -0.2%포인트로 지난해 4분기(-0.3%P) 이후 반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특히 투자(총고정자본형성·0.4%P)에서 민간의 기여도가 -0.5%P를 기록, 5분기째 마이너스를 나타내 민간의 투자 위축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에서 정부의 기여도는 0.8%P를 기록했다.
순수출 역시 성장기여도가 -0.1%P로 나타나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지난해 2분기 2.0%P로 성장에 크게 기여했던 순수출은 3분기째 마이너스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2분기 수출은 전기대비 2.3% 증가해 수입(3.0%)보다 증가율이 낮았다.
설비, 건설투자는 1분기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가 2분기에는 각각 1.4%, 2.4% 늘면서 플러스로 전환됐다. 다만 전년동기대비로는 -7.8%, -3.5%를 기록해 여전히 회복세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설비투자에서는 반도체, 건설투자에서는 주거용 건물이 여전히 부진한 것으로 한은은 설명했다.
경제활동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1.8%, 건설업은 1.4% 성장한 반면 서비스업은 0.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서비스업의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0.5%)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성장률은 -0.6%로 지난해 2분기(-0.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은 -0.5%로 2009년 1분기(-2.5%) 이후 10년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실질 GDI가 낮아진 건 구매력이 줄었다는 것으로, 수입물가가 수출물가 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한 영향이 컸다.
2분기 성장은 정부가 이끌었다. 정부의 성장기여도는 1.3%P로 2009년 1분기(2.2%P)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정부 예산(470조원)은 지난 5월까지 재정집행률이 54%에 달해 상반기 재정집행률이 60%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1분기 정부의 성장 기여도가 -0.6%P를 기록하자 정부가 재정 집행을 가속화해 성장률을 끌어올린 것이다.
반면 민간은 성장률을 깎아먹는 요소로 전락했다. 민간의 성장기여도는 -0.2%포인트로 지난해 4분기(-0.3%P) 이후 반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특히 투자(총고정자본형성·0.4%P)에서 민간의 기여도가 -0.5%P를 기록, 5분기째 마이너스를 나타내 민간의 투자 위축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에서 정부의 기여도는 0.8%P를 기록했다.
순수출 역시 성장기여도가 -0.1%P로 나타나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지난해 2분기 2.0%P로 성장에 크게 기여했던 순수출은 3분기째 마이너스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2분기 수출은 전기대비 2.3% 증가해 수입(3.0%)보다 증가율이 낮았다.
설비, 건설투자는 1분기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가 2분기에는 각각 1.4%, 2.4% 늘면서 플러스로 전환됐다. 다만 전년동기대비로는 -7.8%, -3.5%를 기록해 여전히 회복세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설비투자에서는 반도체, 건설투자에서는 주거용 건물이 여전히 부진한 것으로 한은은 설명했다.
경제활동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1.8%, 건설업은 1.4% 성장한 반면 서비스업은 0.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서비스업의 성장률은 지난해 4분기(0.5%) 이후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성장률은 -0.6%로 지난해 2분기(-0.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은 -0.5%로 2009년 1분기(-2.5%) 이후 10년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실질 GDI가 낮아진 건 구매력이 줄었다는 것으로, 수입물가가 수출물가 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한 영향이 컸다.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
- 상반기 재정집행률 65%, 역대최고…정부·여당 "추경 조속히 통화돼야" 세종=정원석 기자
- [경제포커스] 어서 와, 1%대 성장률은 처음이지? 이진석 사회정책부 차장
100자평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