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윤상현 "스틸웰, 한·일 불화 주시하나 중재할 순 없다 했다"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데이비드 스틸웰 신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왼쪽)와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기다리며 대화하고 있다. 우상조 기자

데이비드 스틸웰 신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왼쪽)와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기다리며 대화하고 있다. 우상조 기자

방한 중인 데이비드 스틸웰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가 17일 “미국은 한국과 일본의 상황을 깊게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중재(mediate)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윤상현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이 전했다.
 
윤 위원장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이날 저녁 서울 모처에서 스틸웰 차관보와 비공개 면담을 갖고 한·일 관계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들었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스틸웰 차관보는 ‘미국이 어느 한 편을 들 수는 없다. 한 편을 들면 한 편을 잃는다. 때문에 (한국과 일본) 두 친구가 서로 이 문제를 대화로 풀 수 있게끔 격려(encourage)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스틸웰 차관보는 이날 오전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난 데 이어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 등을 잇따라 예방했다. 스틸웰 차관보는 김 차장을 만난 뒤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동맹이기 때문에 한국과 미국이 관련된 모든 이슈에 관여(engage)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뒤이어 강 장관을 예방한 후 약식 회견에서 “미국은 한국과 일본의 친구이자 동맹”이라며 “양국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하겠다”고 말했다. 때문에 미국이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격화한 한‧일 갈등의 중재 역할을 맡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데이비드 스틸웰 신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장관을 예방한 뒤 외교부를 나서고 있다. 오른쪽은 윤순구 외교부 차관보. 우상조 기자

데이비드 스틸웰 신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장관을 예방한 뒤 외교부를 나서고 있다. 오른쪽은 윤순구 외교부 차관보. 우상조 기자

그러나 윤 위원장은 “스틸웰 차관보와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의 입장은 정확히 똑같았다”고 전했다. 지난 12일 윤 위원장은 “해리스 대사가 비공개 면담에서 ‘지금은 미국이 개입할 상황이 아니며, 한‧일이 해결할 공간이 남아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윤 위원장에 따르면, 스틸웰 차관보는 “한국과 일본은 우리 친구이며, 친구들이 불화하는 것은 좋지 않다.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우리가 어떤 중재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고 한다. 윤 위원장은 “스틸웰 차관보가 한‧일 대화를 위한 양국과 미국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그게 중재 역할’이라고 했더니 ‘아니다. 그건 아니다’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치권에선 스틸웰 차관보가 정부 고위 관계자보다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한 정치인과의 독대에서 조금 더 속내를 드러낸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동시에 "외교적 표현으로 encourage와 engage를 혼용해서 쓰는 경향이 있다. 사실 어떤 식으로든 역할을 하겠다는 의미"란 반론도 있다.
 
윤상현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국회 외통위는 북한 목선을 비롯해 외교 안보 현안 보고를 받았다. [뉴스1]

윤상현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국회 외통위는 북한 목선을 비롯해 외교 안보 현안 보고를 받았다. [뉴스1]

윤 위원장은 “외교관인 해리스 대사와 군인 출신인 스틸웰 차관보의 표현 차이”란 취지로 설명하며 “기본적으로는 해리스 대사와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고 했다. 윤 위원장이 “한·일 관계에서 미국이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질문을 많이 받지 않느냐”고 묻자, 스틸웰 차관보는 “그렇다”고 답했다고 한다.


 

성지원 기자 sung.jiwon@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장**** 2019-07-18 13:36:52 신고하기

    Encourage 격려 는 그야말로 정신적인 의미이고 engage 는 관여 행동한다는 뜻 예를 들어 미국이 북한과 engage 한다는뜻은 협상 제제완화 인도적지원등의 행동을 말함 이기사는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가 안감. 두말을 다썻다면 한일 두나라가 화해하는 노력을 격려하며 그렇게 되도록 관여 하겠단 말로 들리는데요.

    답글달기
    찬성하기1 반대하기0
  • sung**** 2019-07-18 11:59:08 신고하기

    더러븐 종자들 미군철수와 사드반대를 외친 문사기가 무슨 낯짝으로 미국에 중재 요청해달라고 난리를 치냐? 뻔뻔한 것들. 일본하고 해결해라.

    답글달기
    찬성하기11 반대하기0
  • omed**** 2019-07-18 11:43:20 신고하기

    정부는 러시아와 협력 강화해서 동북아 균형 외교를 해라.

    답글달기
    찬성하기0 반대하기5
  • ys50**** 2019-07-18 11:24:44 신고하기

    언제는 사대주의라고 연병을하던 놈들이 왠 미국의 중재 일본의 행태 물론 밉다 그러나 남탓만하는 문재인의 탄핵대상이다

    답글달기
    찬성하기14 반대하기1
  • rooi**** 2019-07-18 11:18:24 신고하기

    한 놈은 해군 또 한 놈은 공군.. 저 놈들 관심은 오로지 파병이지.. 이란 최고존엄의 요청이라믄 모를까 미국의 요구는 명분이 없으니 절대 들어줄 수 없지..

    답글달기
    찬성하기0 반대하기3
  • cybe**** 2019-07-18 11:15:51 신고하기

    해리 해리스 주한 미대사도 해사출신의 태평양사령부 사령관으로 군인출신 외교관입니다

    답글달기
    찬성하기4 반대하기0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