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일본 vs 한국. 기와지붕 공정 비교.
  • 실라(118.43)
  • 2019.05.02 13:22
  • 조회수 196
  • 추천 21
  • 댓글 0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d4a802fadad7b373ada88249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8ff908a88e81e772ada8b713


반듯 반듯 규격 맞춰서 잘 배열해 놓은 일본 기와지붕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8ef75fa8dcd8b071ada87be8


일본은 특수 기와나 지붕 장식이 잘 발달함.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89a85cfb8bd6b124ada84ee3


정교한 기와 장식 (그만큼 기와 수요가 많았다는 의미)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88ac0eaa8fd4b076ada840d7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ed210dbd7162229872f6855687786133a1c3a803d4cdae95b7cc9f


촘촘하고 반듯한 기와 배열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dcf603ad88d4e07bada81481


막새(동그란 원 형태의 기와) 의 문양이 매우 섬세.


섬세한 막새가 사실 힘든 작업도 아니다.


틀 하나 만들어서 찍어내는 게 기와니까.



vs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8cad0aaddad1b624ada880d5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89ff5fae86d2b526ada83431


반면 한국은 섬세한 막새는커녕 막세 자체가 실종되기도..


회반죽 ( 하얀색 시멘트처럼 보이는 거 ) 로 대충 때워놓았다.


참고로 여기 경복궁 담벼락.. 무려 궁궐 건축.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ed210dbd7162229872f6855687786134f6c1ae528776774a242a90


배열 규격 엉망인 모습.. 국가의 권위와 힘을 보여주는 궁궐 건축이 이 정도 수준.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d8f70cfed884b77aada84270


조잡한 기와 문양. 조형미가 없다고 생각해도 무방.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8ff75bf5da83e771ada8ab24


저 하얀 새똥 같은 게 회 칠이라고 일종의 마감 역할을 하는 건데


일본 중국에서도 동일하게 사용.


그런데 중국 일본은 저 회에 색을 섞어서 티가 안 나게 하던지


아니면 긁어내서 안 보이다시피 하게 만듦. 한국은 그냥 내버려 둔다.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dafa5ea888d3b671ada8579f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아도 매우 더러워 보인다.


아무 한국 기와 장인도 이것에 문제의식을 가지지 않고 개선하지 않았다는 게 놀라울 따름.


일본 기와 시공 영상, 보면 알지만 저 줄이랑 철사(?)같은 거 이용해서 배율 규격을 반듯하게 위치시킴.
안전모 및 복장 준수는 당연. 섬세한 작업이 보임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ab7d57d075a778abce6518d4f859fe8fd9b227ada84168


조선 시대 김홍도의 기와이기 그림 ㅋㅋ


규격, 질서 그게 뭡NIKKA ? 대충 손으로 쌓아놓음 ㅋㅋ



viewimage.php?id=2eb2dc29ebdb39aa67acdb&no=24b0d769e1d32ca73fee80fa11d028315a8efe524a7018c72c9aa2b29c1a9789fae5828145e604bc93a09fed210dbd7162229872f6855687786131a7cbac50801d530faf3975


전통 한옥 시공업자 발언.


작업 현장에서 안전모는커녕 대충 모자 눌러써놓고 '정교니 작업이니 마감'이니 하는 단어들을 뻔뻔하게 발언하고 있다.



-----


한국에서는 지금도 기와지붕은 일종의 부의 상징. 양반들이 누리던 문화인데


일본에서는 도시라고 일컬어진다면 80% 이상 기와 보급이 기본.


19세기 기록에는 조선 전체의 기와 생산량이 일본 일개 번의 기와 생산량만도 못 하다는 기록도 있다.


  • 21 고정닉 추천수1
  • 0

파워링크 광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