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알고보면 더 맛난 한식의 유래.JPG
  • ㅇㅇ(222.105)
  • 2019.07.13 15:57
  • 조회수 263
  • 추천 30
  • 댓글 9

viewimage.php?id=28a8c229f5d3&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76692e722c91d637748900ed6401cf03f6ef3a9c55476829de65067547e523d5663




1. 김치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53270ffcfa229e492817733

옛부터 한국인들은 쌀밥을 주식으로 삼았는데..

그냥 밥자체를 많이 쳐먹는 식으로 살기 위해 먹었다.


그리하여 그 밥을 목구녕으로 넘기는 것 자체가 일이었는데.. 짜고 매운 김치는
그러한 노동의 고통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였다.

2. 순대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56c77af9bf778b660b18c6b

원간섭기 때 한반도로 넘어온 음식. 몽골의 군대가 기동성을 위해 동물 내장에 곡식같은 걸 넣고 다니는 것에서

유래 됐다. 본디 고려인들은 불교 믿어서 육식 안했는데 이후로 잘만쳐먹었다고 한다.

3. 육포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ae3320aac5a079e3bb2b1c76

이 역시 순대와 같은 이유로 몽골에게 따.먹힌데서 유래.


4. 소주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f3c71a9c4a17db4bf959e04

한국인이 사랑하는 술 역시 원간섭기 때 유래.

만약 당신이 소주를 잘 받는 체질이라면, 당신의 
조상은 원간섭기 때 몽골족에게 강간당한 것이다.


5.설렁탕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f3972a399f579b34353abf3

몽골족에게서 유래. 원나라의 투항한 이성계 집안이 몽골족 음식인
'슐루'를 받아들였다. (소고기를 물에 대충 넣고 끓인 탕) 조리법이 간단한 이것이 그의 여진족
친위대가 받아들였는데, 여진말로 '실레'라고 했다. 전투식량.

이후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선농단에서 이 음식을 하늘에 바쳤는데

선농탕이라 했는데 오늘날 설렁탕이라 부르게 됨.


6. 비빔밥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c3920a9c4f32fb5c9b1d182

한양의 거지들이 배고픔에 굶주려 여러 집안에 걸식하여 얻은 잡것들을 비벼 먹은 것에서 유래.

다만 상한 음식이 많았기에, 억지로 항균을 하기 위해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 보급된 고추장을 비벼 먹는풍습이 생김.


7. 매운탕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46e77f99ff32ee3e6e0855c

625 전란후, 진수성찬이라고는 민물고기 몇마리가 전부일 떄,배불리 먹기 위하여(속칭 물배 채우기 위하여) 만들어진 음식. 그릇이 모잘라서 냄비하나에 여러 사람 숟가락 담궈먹는 풍습도 여기서 시작



8. 수제비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e3276aac8f07ee36cb977d6

가난했던 시절. 먹긴 먹어야 했는데, 적은 양에서 배부른 포만감을

주는 음식이 바로 수제비. 수제비 반죽을 해서 먹으면 적은 양으로도 
포만감이 찾아왔다.

9. 빈대떡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af392aa39fa42cb77ba156f2

빈자떡이 음 바뀌것. 조센시대 때 흉년이 들어 먹을 게 없어지면

굶주림에 허덕이는 백성들에게 세도가가 나누어 준 떡에서 유래.


10. 육개장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5392bf998f27db6961860a0



본래 쌀만 쳐먹어서 영양 벨런스가 취약했던 조선인들이
복날에 개잡아서 만든 개장국에서 유래. 

본래 쌀만 쳐먹던 사람들이 고기를 먹으면 당연히 힘이 솟는 법인데, 돼지나 소보다 구하기 쉬운
애꿎은 개새끼를 때려 잡는 바람에 
개는 인간의 몸보신을 해준다는 헬조센 특유의 토속신앙이 생김. 


11. 곰탕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f3976fcc9a778e1a2672054

조선시대 책 <몽어유해>에는 몽골에는 맹물에 고기를 넣어서 끓여먹는 '공탕'이 있다고 한다.
즉, 이것이 조센에서 곰탕으로 변형된 것. 조센에서는 뼈에 좋다는 토속신앙이 있으나
과학적 분석 결과 오히려 뼈가 약해진다 한다.


12. 청국장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7676f75b438f0af430ea26498de459193c054d4701e2aa81ea37a0

말 그대로 청나라의 국이라는 뜻.

본디 만주족 전투식량인데 병자호란 때 유입됐다.

냄새가 좆같은 게 특징이며. 나트륨은 라면 보다 훨씬 높은 수치인

2000~3000mg. 즉 쳐먹을 수록 위암, 고혈압 걸려 뒤질 확률이 높다.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a8392aa39ba42bb27bee8aa5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46c21a29ca67bb7f17637ee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53272abc9a678b66a441f51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ae3371fec4f27be3478b4636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ad3d2aa3cdae7eb294cf4bf6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ad3875f9ceae78e61cf33cb7


viewimage.php?id=2fbcc323e7d334aa51b1d3a24e&no=24b0d769e1d32ca73fee8ffa11d02831a17f4634ed1b2080eb0e1d464372fde020de9ea681b71f891a6c14b093332aa11bcbbda6e19ad45cff3f71fe9bf22bb1c4931d87


  • 30 고정닉 추천수2
  • 4
  • ㅇㅇ(59.9)

    현대의 희석식 소주는 옛날의 소주와 전혀 다르다.

    07.13 17:40
  • ㅇㅇ(59.9)

    순대는 소세지와 비슷한 음식인데 그럼 소세지를 먹는 독일같은 국가도 미개한거냐?

    07.13 17:41
  • ㅇㅇ(117.111)

    본문은 센식이랑 순대를 까는 내용인데 왜 소세지랑 독일 얘기가 나오지? 무슨 피해망상이라도 있나? 진짜 이상한 놈이네

    07.13 22:21
  • ㅇㅇ(59.9)

    117.111/순대와 소세지는 거의 같은 음식인데 피해망상과 진짜 이상한 놈은 자신에게 하는 얘기인가w

    07.14 06:41
  • ㅇㅇ(59.9)

    제대로 알고 까지 않으면 조롱거리만 될 뿐이다.

    07.13 17:41
  • 시부리(106.102)

    독일의 기원이 게르만이고
    게르만은 원래 여진족처럼
    반농반목을 하던 민족임.
    너님 말 맞다나
    알고나 짖자.

    07.13 18:04
  • ㅇㅇ(59.9)

    그 독일이 지금 세계를 선도하는 국가중 하나이고 지금도 소세지를 먹고 있다.

    07.13 18:16
  • ㅇㅇ(221.15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07.13 18:15
  • ㅇㅇ(59.27)

    몽골한테 강간당한걸까는거지 순대자체를 까는건 아니잖아

    07.14 02:00

파워링크 광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