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문 대통령, 트럼프·아베 면전서 “일본은 우리 동맹이 아니다”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지난 9월 21일 (현지시간) 미국 뉴욕 롯데 팰리스호텔에서 문재인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함께 한 한미일 3국 정상 업무 오찬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문 대통령 취임 이후 한미일 정상이 한자리에 앉는 것은 지난 7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3국 정상 만찬회담을 가진 데 이어 두 번째다. 이날 오찬에서 3국 정상은 북핵 공조와 관련해 논의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지난 9월 21일 (현지시간) 미국 뉴욕 롯데 팰리스호텔에서 문재인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함께 한 한미일 3국 정상 업무 오찬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문 대통령 취임 이후 한미일 정상이 한자리에 앉는 것은 지난 7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으로 3국 정상 만찬회담을 가진 데 이어 두 번째다. 이날 오찬에서 3국 정상은 북핵 공조와 관련해 논의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했을 때 열린 한·미·일 정상 업무오찬 때 “일본은 우리의 동맹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명확히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문 대통령이 한·미·일 정상회동에서 ‘미국은 우리의 동맹이지만 일본은 동맹이 아니다’라고 단호하게 말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말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해한다’고 대답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9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롯데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 업무오찬에서 문재인 대통령(왼쪽부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아베 신조 일본총리가 각각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9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롯데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 업무오찬에서 문재인 대통령(왼쪽부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아베 신조 일본총리가 각각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이 이처럼 한·일 관계를 두고 ‘동맹이 아니다’라고 확실하게 선을 긋고 나선 것은 한·미 동맹을 넘어 일본이 요구하는 한·미·군사동맹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3일 싱가포르 채널뉴스아시아(CNA)와의 인터뷰에서도 “한·미·일 공조가 긴밀해져야 하는 이유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응해야 하기 때문이지, 이 공조가 3국 군사동맹 수준으로 발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한·미·일 군사동맹 발전 가능성에 대한 중국 측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동시에 군사동맹이 가능할 만큼 한·일 관계가 정리된 것은 아니라는 판단을 내보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지난 9월 7일 문재인 대통령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지난 9월 7일 문재인 대통령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 전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일본이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책임을 다하지 않는 상황을 포함해 국민 일반의 정서를 생각하면 동맹은 고려할 수 없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특히 군사동맹의 핵심인 합동군사훈련을 할 경우 자위대가 한국의 영해와 영공에 들어와야 하지만 이는 한국민들이 선뜻 용납하기 어려운 데다 유사시 일본군이 한반도에 들어올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측면도 있어 보인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국민 정서상 한미동맹은 굳건히 해야겠지만 일본과의 관계는 제한적 협력관계로밖에 갈 수 없다”면서 “군사동맹으로까지 이어진다면 국민이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싱가포르 채널뉴스아시아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이 북한 핵을 이유로 군사 대국화의 길을 걸어간다면 그것도 아세안 국가들과의 관계에서 바람직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jhle**** 2017-11-06 10:06:39 신고하기

    농번기에는 강아지 손이라도 빌려야 합니다 지금 한국은 일본을 싫어합니다 하지만 일본도 좋아서 미국한테 꼬리를 치는건 아닙니다 힘이 약하고 이익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게 국제현실입니다 일본이 한국의 국방을 위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일본을 이용해야 합니다. 미개한 대한민국의 미개한 대통령입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7 댓글 반대하기12
  • mana**** 2017-11-06 03:42:36 신고하기

    요즘 댓글 심하게 다는 놈들 조선족 같음... 이놈들이 왜 이러는지는 모르겠지만 요즘 게시판마다 온갖 악플을 달고 있음. 중국에서 밀어주나? 여튼 한국인이 아닌건 분명한것 같음. 티가 너무남.ㅋㅋㅋ 자세히 읽어보면 보이스피싱 말투.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8 댓글 반대하기1
  • mana**** 2017-11-06 03:37:56 신고하기

    내 속이 다 시원하네... 일단 우리입장은 분명히 했다는데 의의가 있음. 일본이 요즘 군사대국으로 가려고 별 짓을 다하는데 그대로 놔두면 제일 먼저 충돌하는 곳이 한반도임... 역사적으로 봐도 분명함. 일본입장에선 한반도가 바리게이트이면서 꿀땅임... 여기서 욕하는 멘트 단 놈들은 그네가 졸속합의 명바기가 구걸합의 할땐 가만있던 놈들이 분명하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0 댓글 반대하기6
  • stoy**** 2017-11-06 03:18:32 신고하기

    북한보다 더더더 위험한 족속이 니뽄이니라...알고 시부려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6 댓글 반대하기7
  • cast**** 2017-11-06 02:59:57 신고하기

    실력이 안 되는 자가 큰소리를 치면 코메디가 된다. 당연히 우습게 보이게 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3 댓글 반대하기1
  • JINB**** 2017-11-06 00:49:24 신고하기

    문재인의 외교가 0점이라는 말이 이래서 나오는데.. 뜻이 그러하더라도,동맹이 아니다라고 하지말고,동맹이 되기위해 거쳐야 할 관문을 넘으면 될 수있다는 식으로 해야 옳지않나? 저 문가놈 정말 문제다.아마추어가 나라망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8 댓글 반대하기8
  • mini**** 2017-11-06 00:25:34 신고하기

    정치가가 막말을 하는 것은 세련되지도 정교하지도 못한 아미추어다. 더우기 이ㅇ은 대통령이 아닌가. 한심한 수준이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4 댓글 반대하기4
  • mshj**** 2017-11-05 23:44:07 신고하기

    나는 문통을 모든면에서 싫어 하지만, 이건 잘한거 같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3 댓글 반대하기11
  • sami**** 2017-11-05 23:25:21 신고하기

    문? 너ㅡ는 아베보다도, 갓난아기이다.영어가 돼나?외교가 돼나? 북한이 동맹국이잖아?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0 댓글 반대하기9
  • spar**** 2017-11-05 23:02:26 신고하기

    우방 일본을 까면서 중국에는 사대주의 굴욕외교 숨겨진 내막이 있겠지~ 도대체 짱-께들에게 설설매는 종북주사파들. 혹 중국의 검은 돈에 나라를 팔아먹는 제2의 이완용같은 역적들은 아닐까?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0 댓글 반대하기13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