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기업들 도피하듯 '탈한국'…1분기만 16조 빠져나갔다

PDF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위기의 메이드 인 코리아 
CJ제일제당은 지난 2월 미국 냉동식품 기업 슈완스컴퍼니를 16억7800만 달러(약 1조9500억원)에 인수했다. 1952년 설립된 슈완스컴퍼니는 미국 수퍼마켓 어디서나 찾을 수 있는 냉동피자로 유명하다. 미국 내 17개의 생산시설과 전국적 물류·영업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해외직접투자 규모 역대 최대
“관세·물류비 고려 시장 가까이로”
최저임금 인상, 규제 등도 원인

내수 식품기업인 CJ제일제당의 대규모 글로벌 인수·합병(M&A) 배경은 뭘까. 이 회사 관계자는 “국내 생산시설을 늘리는 대신 해외에 진출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제조업과 유통업의 중간에 있는 회사다. 한계에 도달한 국내 시장 대신 세계 최대 식품시장인 미국에 거점을 마련하는 것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메이드 인 코리아’가 매력을 잃고 있다. 기업들의 탈(脫)한국 속도도 빨라지는 추세다.
 
한국 경제는 전통적으로 수출 제조업이 이끌어왔다. 질 좋은 노동력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섬유·신발(1970년대), 철강·기계(1980년대), 전자·자동차(1990년대), 휴대전화·반도체(2000년대) 등 주력산업을 개척했다. 제조원가 상승과 보호무역주의 강화 속에 기업들의 ‘오프쇼어링(off-shoring·생산설비와 일자리를 해외로 이전하는 것)’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 한계에 도달한 한국 시장 대신 더 큰 시장 개척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여기에 고질적인 한국의 고비용 구조, 주 52시간 제도, 최저임금 인상 등 원가경쟁력 약화와 혁신성장을 가로막는 규제도 기업의 등을 해외로 떠미는 원인이다.
 
올 1분기(1~3월) 한국 대기업의 해외직접투자(ODI) 규모는 102억 달러(약 11조8000억원)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제조업 해외직접투자(57억9000만 달러)는 전년 동기보다 140.2%나 늘었다. 반면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올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35.7%(신고 기준)나 줄었다.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조세감면제도가 지난해 말 종료된 것도 원인이지만 더는 ‘메이드 인 코리아’가 매력적이지 않다는 방증이다.
 
CJ제일제당 외에도 LG전자와 롯데케미칼이 미국 테네시주와 루이지애나주에 생산설비를 완공했다. 미국에 한국 기업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인 31억 달러를 투자한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초청으로 백악관을 방문하기도 했다.  
 
“한국 규제 많고 원가경쟁력 없다” 올 외국인 직접투자도 36% 감소
 
해외직접투자 현황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수출입은행]

해외직접투자 현황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수출입은행]

SK이노베이션은 조지아주에 자동차용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다.
 
기업이 이런 투자를 하는 건 트럼프 행정부의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에 따라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됐고, 고율 관세를 부담하는 것보단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 생산시설을 갖추는 게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지리적으로 ‘극동(極東)’ 한국보다 물류비용이 적게 드는 것도 강점이다.
 
중소기업의 탈한국도 가속화하고 있다. 올 1분기 중소기업의 해외 직접투자액은 35억3500만 달러(약 4조1900억원)로 전체 ODI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기존 최대치인 지난해 3분기(28억3400만 달러)를 넘어선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해 같은 기간(18억1100만 달러)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늘었다.
 
연 매출 350억원을 올리는 중소 가전부품업체 A사는 2017년부터 베트남 현지공장을 가동 중이다. 2003년 중국으로 생산시설을 옮겼고, 한·중 관계 불안정과 납품 대기업 이전에 따라 베트남으로 갔다. A사 관계자는 “한국의 원가경쟁력은 떨어진 지 오래됐다”며 “아세안 지역의 관세 혜택을 볼 수 있고, 급성장하고 있는 동남아 시장 접근성이 높은 것도 베트남의 강점”이라고 말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전문가는 제조업의 탈한국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분석한다. 국내 고용유발이나 연관산업에 기여할 수 없는 건 사실이지만, 경쟁력을 갖추고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선 대기업·중소기업 모두 시장에 가까운 쪽으로 옮겨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선진국으로 오프쇼어링하는 것은 시장 개척, 개발도상국으로 가는 건 원가경쟁력이 가장 큰 원인”이라며 “현지에서 만들어 팔면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고 관세 장벽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 실시로 원가경쟁력이 악화하고 각종 규제가 해소되지 않으면서 ‘기업하기 힘든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 것도 탈한국 가속의 원인으로 꼽힌다.
 
이두원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내 투자 환경이 나빠지면서 ‘도피하듯’ 해외로 나가는 게 더 큰 문제”라며 “국내에서 비교우위를 가진 신(新)산업에 투자가 몰리고, 제조업 투자는 줄어드는 투자 양극화가 국내 고용의 질과 양을 모두 악화시킨다”고 지적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원자재 비용, 공장 부지나 건설 비용까지도 해외가 더 저렴하니 한국 기업이라 해도 한국은 더는 매력적인 투자처가 아니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강성진 교수는 “한국의 FDI 지원책은 제조업 중심인데, 원가경쟁력이 없는 한국 시장에 외국 제조기업이 들어올 리 없다”며 “서비스산업과 신산업 중심의 투자 유지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동현·강기헌·오원석 기자 offramp@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전체댓글121

게시판 관리기준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유**** 2019-06-30 10:54:34 신고하기

    기업이 망가질 정도로 수사를 해대는 문정권에게 디였구만....세금도 뻑세고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 댓글 반대하기0
  • bern**** 2019-06-27 16:03:17 신고하기

    오랜만에 기사다운 기사를 봅니다. 한국을 빠져나가는 이유가 바젤3때문에 2019,2020 기업들의 투자가치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 댓글 반대하기0
  • Toda**** 2019-06-27 07:18:11 신고하기

    일본 기자로부터 감정에 우선한다고 평가받는 죠 센 징 기자 지능수준 기준, 식품에 무슨 규제가 있길래 CJ가 미국의 식품 회사를 사들입니까w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 댓글 반대하기3
  • Kyu **** 2019-06-27 02:17:17 신고하기

    시작에불과한 기업의외국투자 외국으로의이동 모든게 문재인이 작살내는 대한민국 경제실태로인해서다 무능한 적화세력에 쇠네돼어 날뛰는 젊은이들아 경제파탄과함께 배고파 보아라 그때도 문재인찾을래?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9 댓글 반대하기2
  • aurr**** 2019-06-26 20:36:29 신고하기

    나가는 것이 문제지 한번 나가서 자리 잡으면 다시 들어올 생각 안한다. 문재인이 보낸 아리까리한 기업은 다시는 한국에 일자리 만들지 않는다. 기업 퇴출 하면서 무슨 경제 성장 한다고....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7 댓글 반대하기2
  • si**** 2019-06-26 17:54:18 신고하기

    ㅋㅋㅋㅋ 최저 임금 인상은 누가 말한거도 아닌데, 그냥 지 생각을 은근슬쩍 적어놓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9 댓글 반대하기3
  • onna**** 2019-06-26 16:35:46 신고하기

    미국이 한국보다 인건비가 싸던가? 시사를 요따꾸로 쓰네, 조중동 아니라까봐, 그럼 여기 남아서 있는 회사들은 모자란 회사들이나 그런거여? 각각의 여건과 조건에 따라 유불리를 따져 투자도 하고 옮기기도 하는거지 마치 현정권이 압박하니까 한국을 떠나는 것처럼 쓰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2 댓글 반대하기22
  • SCho**** 2019-06-26 15:05:38 신고하기

    소득주도 성장이 된다는게 아니고 일단 임금은 문제가 아닙니다. 이미 임금으로 크게 위축받는 대기업들이 없어요. 이거 조사해 보세요. 별볼일 없는 문제게 최저임금문제입니다. 간혹 1,2건씩 있습니다. 그런 식으로 저임금으로 회사하는 회사는 망하는게 정상이고요 저임금으로 이득챙기려는 사람들 썩어빠진 정신개조가 필요합니다. 자영업자들 요세 중고아닌 벤츠 확 늘었어요.. 보세요. 자영업자들 잘나가는 분들은 더 많아요...벤츠 보세요. 많습니다. M클레스는 확,,E클레스 많아요.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4 댓글 반대하기37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