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코 앞에 닥친 일본 4일 규제…삼성ㆍSK하이닉스, 시간과의 싸움 돌입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전자 등 국내 업체들이 시간과의 싸움에 돌입했다. 일본 정부가 한국 기업들이 반도체·휴대전화·OLED TV를 만드는데 쓰는 3대 품목에 대해 수출 규제에 돌입한다는 4일이 코앞으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3대 품목은 불화수소·포토레지스트·불화폴리아미드다. 이들 품목을 수입하는 절차가 까다로워지거나, 최악의 경우 수입이 여의치 않을 수 있다. 
 
업체들은 일본 현지 공급 업체에 직원을 급파해 구체적인 규제 품목이 뭔지를 알아보는 한편, 규제 전 최대한 해당 품목 재고를 확보하기 위해 나섰다.
 
한 반도체 업체 직원은 “같은 포토레지스트라도 한 군데 업체에서 소재 하나를 수입해오는 게 아니다”며 “일본이 뭘 규제하려 하는지, 어디부터 어디까지 허가제로 바꾸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1일 구매 담당 직원을 일본 내 반도체 재료 공급 업체에 보냈다. 같은 날 삼성전자 메모리반도체 사업부 역시 같은 목적으로 현지 직원에게 상황 체크를 지시했다고 한다.  
 
포토레지스트(감광액)만 하더라도 불화아르곤(ArF), 불화크립톤(KrF), 극자외선(EUV) 등 종류가 다양해 종류에 따라 규제에 따른 영향이 다르다. 반도체 업계 안팎에선 3D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할 때 필요한 불화수소(에칭가스)는 일본제 없이도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솔브레인,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등 국내 업체에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이런 기대가 반영돼 2일 솔브레인의 주가가 전일 대비 4.6% 오른 5만1700원에 장을 마치기도 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대일 수입 의존도가 91.9%(무역협회 추산)인 포토레지스트(감광액)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 감광액은 웨이퍼 위에 회로를 인쇄하는 작업에 쓰이는데, JSR·TOK·신에츠 등 일본 기업이 주요 공급업체다. 업계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감광액 중에서도 삼성전자가 의욕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차세대 노광장비인 ‘EUV(극자외선·Extra Ultra Violet)’용 제품을 규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 최첨단 EUV 공정용 소재 규제 나섰다
삼성전자는 EUV 공정을 앞세워 파운드리 세계 시장 1위 TSMC를 위협하려던 차였다. EUV 공정을 적용하면 반도체 회로 선폭을 줄일 수 있고, 선폭이 좁을수록 더 많은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다.
 
반도체 웨이퍼를 자르는데 들어가는 식각액 관련 소재를 만드는 업체인 솔브레인의 최근 3개월 주가 추이.

반도체 웨이퍼를 자르는데 들어가는 식각액 관련 소재를 만드는 업체인 솔브레인의 최근 3개월 주가 추이.

 
"이번에 포함되지 않은 반도체 필수 소재도 있다"  
이번 사태가 꼭 한국 업체에 불리한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 반도체 업체가 수요를 독과점(특정 생산품을 1개, 또는 2~3개 업체가 다 소비하는 시장)하고 있는 '수퍼 을'이기 때문에 소재를 공급하는 일본 회사와 비교해 협상력(바기닝 파워)이 월등하기 때문이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이 D램 공정에 필요한 ArF 레지스트, 3D 낸드플래시 공정에 주로 사용하는 KrF 레지스트는 이번 규제 대상에서 포함하지 않았고, 불화수소나 폴리아미드는 상당 기간 국내에서 대체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다음 달 1일까지 첨단재료 품목의 수출 허가신청을 면제하는 ‘화이트 국가’ 대상에서 한국을 제외할지를 결정하는 의견 청취를 한다. 다음 달 1일에 앞서 일본은 오는 21일 참의원 선거를 한다.
 
김영민 기자 bradkim@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