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들은 일본 현지 공급 업체에 직원을 급파해 구체적인 규제 품목이 뭔지를 알아보는 한편, 규제 전 최대한 해당 품목 재고를 확보하기 위해 나섰다.
한 반도체 업체 직원은 “같은 포토레지스트라도 한 군데 업체에서 소재 하나를 수입해오는 게 아니다”며 “일본이 뭘 규제하려 하는지, 어디부터 어디까지 허가제로 바꾸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1일 구매 담당 직원을 일본 내 반도체 재료 공급 업체에 보냈다. 같은 날 삼성전자 메모리반도체 사업부 역시 같은 목적으로 현지 직원에게 상황 체크를 지시했다고 한다.
포토레지스트(감광액)만 하더라도 불화아르곤(ArF), 불화크립톤(KrF), 극자외선(EUV) 등 종류가 다양해 종류에 따라 규제에 따른 영향이 다르다. 반도체 업계 안팎에선 3D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할 때 필요한 불화수소(에칭가스)는 일본제 없이도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솔브레인,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등 국내 업체에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이런 기대가 반영돼 2일 솔브레인의 주가가 전일 대비 4.6% 오른 5만1700원에 장을 마치기도 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일, 최첨단 EUV 공정용 소재 규제 나섰다
반도체 웨이퍼를 자르는데 들어가는 식각액 관련 소재를 만드는 업체인 솔브레인의 최근 3개월 주가 추이.
"이번에 포함되지 않은 반도체 필수 소재도 있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이 D램 공정에 필요한 ArF 레지스트, 3D 낸드플래시 공정에 주로 사용하는 KrF 레지스트는 이번 규제 대상에서 포함하지 않았고, 불화수소나 폴리아미드는 상당 기간 국내에서 대체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다음 달 1일까지 첨단재료 품목의 수출 허가신청을 면제하는 ‘화이트 국가’ 대상에서 한국을 제외할지를 결정하는 의견 청취를 한다. 다음 달 1일에 앞서 일본은 오는 21일 참의원 선거를 한다.
김영민 기자 bradkim@joongang.co,kr
게시판 관리기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댓글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