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16년 1월 이후 최악의 수출 급감…日 금수조치까지 덥쳐 커지는 불확실성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부산 남구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이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부산 남구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이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지난달 수출액이 7개월 연속 감소한 근래 들어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다. 원인은 반도체 등 주력 제품 수출이 부진한 탓이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가 1일 한국에 대한 핵심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을 규제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6월 수출액 441억 달러…전년동기 대비 13.5%↓ 
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 등에 따르면 지난 6월 잠정 수출액은 441억79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5% 감소했다. 전년동기 대비 수출액 감소 폭은 2016년 1월 이후 가장 컸다. 수출 실적은 지난해 12월부터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지난달 감소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석유화학·석유제품의 수출액 감소가 두드러졌다. 반도체는 전년 대비 25.5%, 석유화학과 석유제품은 각각 24.5%, 24.2%씩 수출액이 감소했다. 관련 제품의 업황이 부진한 데다 제품 단가가 급락하다 보니 이 같은 결과가 빚어졌다. 지난달 25일 기준 반도체 단가는 33.2% 하락했고 석유화학과 석유제품 단가도 각각 17.3%, 11.6% 내렸다.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로 불확실성 커져
주력 제품들의 수출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이유는 장기전으로 치닫는 미·중 무역분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6월 중국으로의 수출은 24.1% 줄어 금융위기(2009년 5월) 이후 최악을 기록했다. 미국으로의 수출 역시 2.5% 감소했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무역전쟁을 멈추기로 합의했지만, 시장에선 일시적인 '휴전'일 뿐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글로벌 보호주의 확산으로 세계교역 환경이 악화하고 있는 것도 한몫했다. 한국과 함께 중국(-2.7%)·미국(-2.5%)·독일(-9.1%)·프랑스(-1.6%) 등 주요국 수출(지난 4월 기준)도 모두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 반도체 소재 금수조치로 업계 '불안' 증폭 
'엎친 데 덮친' 격은 일본 변수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이달부터 한국에 대한 핵심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수출을 금지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업계의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다. 수출 금지 품목은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리지스트·에칭가스 등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요한 필수 소재다. 이들 소재는 대일 의존도가 높다. 일본 현지 언론들은 일본 정부의 이 같은 조치를 놓고 일제 징용 피해자 배상 소송을 둘러싼 한일 간 대치와 관련된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정부, 하반기 수출총력지원방안 발표…"무역금융 공급 확대"
정부는 이날 오후 성윤모 산업부 장관 주제로 '수출상황점검회의'를 열고 하반기 수출총력지원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올 하반기 수출 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을 확대하고 신남방·신북방 등 발굴하지 못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겠다는 전략이다.

 
성 장관은 "정부는 수출 부진 상황에 대한 위기의식을 갖고 모든 수출 역량을 총동원할 것"이라며 "기업들도 적극적 시장 개척으로 수출에 활력을 더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관련기사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mi**** 2019-07-01 15:24:41 신고하기

    세계 경기 안 좋다지만, 그것만으로 우리 경제의 부진이 다 설명되는 건 아니다. 경제 지표가 유난히 부진하다. 예를 들어 물가는 20년 제로 성장의 일본보다도 낮다. 이대로 가면 하반기에 무슨 사단이 나도 날 것이다. 한국의 글로벌 기업들, 마음 놓고 흔들어대도 아무 문제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0 댓글 반대하기0
  • Jong**** 2019-07-01 14:46:55 신고하기

    “절반 이상 뚝 떨어진것도 아니고 겨우 13.5% 가지고 뭘 그런디? 북남 관계만 좋으면 경제가 망가지는건 상관 없당께. 쩝쩝.”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 댓글 반대하기1
  • kkac**** 2019-07-01 14:38:42 신고하기

    기업과 국민들은 정부가 없다는 생각으로 자기 살 길 찾아 나서야 할 판입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0
  • kjh1**** 2019-07-01 14:01:43 신고하기

    금방 끝날끼라 문제앙 사주 2019년 하반기 부도(가계 부채 폭발 부동산 폭락 은행 파산 경제 폭망) 2020년 깜빵 남조선 빨 개 이스키들 빠이빠이라 카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 댓글 반대하기1
  • chun**** 2019-07-01 13:51:05 신고하기

    이런 정부는 없는 게 훨씬 낫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2 댓글 반대하기0
  • Case**** 2019-07-01 13:32:49 신고하기

    세계소비시장축소로 이런 수출하락은 계속될것 같음, 정권탓 아님. 일본은 베네수엘라 스타일로 초인플레이션으로 멸망함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0 댓글 반대하기14
  • anyc**** 2019-07-01 13:26:42 신고하기

    선대 정부에서 합이본 사항을 계속들고 나오는데 일본의 반응은 이해가간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6 댓글 반대하기0
  • lee2**** 2019-07-01 12:09:11 신고하기

    좌파에서 파산 전문가 나온것 같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4 댓글 반대하기0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