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일본 금수조치에 WTO간다는 정부…전문가 "실효성 없다"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일본 정부가 반도체 소재의 한국 수출규제를 발표한 1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출상황 점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일본 정부가 반도체 소재의 한국 수출규제를 발표한 1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출상황 점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일본 정부가 반도체 소재 제품에 대한 ‘사실상의 금수’ 조치를 취하면서 정부와 업계는 충격에 빠졌다. 반도체는 한국 수출을 이끄는 주력 상품이다. 문제는 반도체 소재에 대한 해외, 특히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한 데 있다. 한국의 ‘약한 고리’를 겨냥한 일본의 정밀 타격인 셈이다.
  

외교와 경제 결합한 '교차 보복'
WTO제소하면 시간ㆍ절차 복잡
외교적 해결 통해 실마리 찾아야

 반도체 소재 제품에 대한 일본의 수출 규제는 국제적 비난을 받을 수 있는 소지는 있지만 국제 무역 사회에서 법적·절차적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느냐에는 의견이 엇갈린다.
 
 그럼에도 일본의 조치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보호무역주의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데 무게가 실린다. 김흥종 KIEP 선임연구위원은 “무역에서 가장 중요한 게 비관세 장벽인데 (수입 제한이라는) 이번 조치는 비관세 장벽을 높이는 것으로, 결국 보호무역주의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며 나타나는 현상이 외교 문제와 경제 수단의 연계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외교적인 문제를 경제적인 것으로 ‘교차 보복’하는 것”이며 “외교안보 문제를 경제 제재로 연결시키는 것이 새로운 협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설치를 둘러싸고 중국과 빚어졌던 마찰이 대표적인 예다.
 
 ‘경제 제재’ 카드를 쓸 때 미국이 국내법이나 국제법상의 이유를 댔던 것과 달리 일본이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지 않고 ‘양국의 신뢰’ 때문이라고 밝힌 점은 논란을 남긴다. ‘노골적인 조치’라는 것이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 때문에 다툼의 여지가 생길 수 있다.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의 대응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효영 국립외교원 경제통상연구부 교수는 “외교적 이유로 수출을 통제하는 행위는 WTO 규범상 위반사항인 만큼 논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에 절차상 문제가 없다는 시각도 있다. 최병일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그동안 한국 정부를 백색 국가로 지정해 제공했던 혜택(수출 절차 간소화)을 앞으로 제공하지 않겠다는 의미인 만큼 한국을 차별대우하는 것이 아니라 절차상 문제는 없다”고 설명했다. 백색 국가에서 제외되면 수출 제한 품목을 수입할 때마다 일본 정부의 허가와 심사를 받아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WTO에 제소하더라도 승소는 어려울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김범수 KL파트너스 변호사는 “그동안 (한국에) 혜택을 주다가 규제하겠다고 하는 것을 위반이라고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제소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나온다. WTO 제소까지 가게 되면 소송 절차에 걸리는 시간과 2심까지 이어지는 과정까지 국내 기업의 손실이 막대할 수밖에 없어서다. 김흥종 연구위원은 “3개월 정도 지나면 국내 반도체 업체의 부품 조달이 어려워지는 만큼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결국 문제를 해결하는 길은 꼬인 양국 외교를 푸는 데서 시작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이야기다. 온기운 숭실대 교수는 “이번 금수조치는 양국 간 외교적 마찰로 인해 산업이나 경제적 측면에서 일본이 한국에 대해 구체적으로 보복하는 첫 단계”라며 “그동안 우리 정부가 너무 선을 넘었던 만큼 정부가 나서서 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명섭 성균관대 교수는 “정무적으로 해결해야지 WTO 제소를 하면 일본이 더 세게 나올 수 있고, 관련 규제를 계속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정용환·신혜연·윤상언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tick**** 2019-07-02 00:04:27 신고하기

    재앙이 토꼈다. 수출1위 품목들 곧 망할각인데 긴급 경제회의 안열고 휴가를 핑계로 토껴따.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 댓글 반대하기0
  • tota**** 2019-07-01 23:03:20 신고하기

    정부가 너무 순진하고, 대책이 없는 것 아니냐!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7 댓글 반대하기1
  • 박**** 2019-07-01 23:03:16 신고하기

    이런일 원인 제공한 자가 누군가요. 문재인씨 아닙니가? 문재인한테 책임지라고 하세요. 삼성도 감원 태풍 예고입니다. 한국교회는 죽었는지 기도를 하지 않습니가? 나라 급속히 망해 가고 있는데 모두가 못 느끼십니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9 댓글 반대하기2
  • nano**** 2019-07-01 22:59:13 신고하기

    국내 과거 타령도 지겨운데 일본이라고 과거 타령을 들으라고 떼거지를 쓰면 좋겠나?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7 댓글 반대하기1
  • sami**** 2019-07-01 22:10:11 신고하기

    문 이,김정은 밑구멍 만...혀로 핦고. 일본과는 적대로 대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1 댓글 반대하기1
  • mi**** 2019-07-01 21:36:39 신고하기

    일본 정부의 성명을 보니, 이건 강제징용 판결 대항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그리고 이건 수출 규제가 아니라고... 양국간 신뢰관계 상실에 따른, 그러니깐 일종의 군사안보적 조치라는 것... 이건 타협의 여지가 없음을 뜻한다. 말하자면 동맹이 더 이상 아니라는 것... 이러면 타협의 여지도 없다. 그리고는 중의원 선거 후 개헌을 추진한다고 한다. 군대를 갖는, 전쟁을 할 수 있는 보통 나라로 만들겠다고... 이제 이렇게 됐으니, 한국민의 입장에서 우리 정부가 이 상ㅎ항을 잘 다뤄 나가길 바랄 수밖에 없다.., 경제는... 큰 일 났다. 세계의 제조업이 식고 있어서 수출여건이 극히 안 좋은데...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1 댓글 반대하기1
  • sssh**** 2019-07-01 21:02:10 신고하기

    죽은 뒤 약 먹기 한심하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4 댓글 반대하기1
  • peak**** 2019-07-01 19:51:43 신고하기

    일본도 중국의 희토류 금수조치 때 납작 엎그렸다, 한국도 그렇게 하고 문무능의 역량으론 불가능 하겠지만 국민을 가열차게 일하게 하면 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0 댓글 반대하기3
  • peak**** 2019-07-01 19:49:22 신고하기

    모든 국민이 WTO제소 기사가 나올 때 고개를 가우뚱 할 정도인데 왜 문재인 부하들만 모르냐 이 것을 알고싶다, 제발 알려다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6 댓글 반대하기2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