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정부 WTO 제소해도…“시간 오래 걸리고 승소 장담 못한다”

PDF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1일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수출상황 점검회의에서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한 대응책을 밝히고 있다. 성 장관은 ’수출제한 조치는 WTO 협정상 금지되고, 일본이 개최한 G20 정상회의 선언문의 합의 정신과도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1일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수출상황 점검회의에서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한 대응책을 밝히고 있다. 성 장관은 ’수출제한 조치는 WTO 협정상 금지되고, 일본이 개최한 G20 정상회의 선언문의 합의 정신과도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반도체 소재 제품에 대한 ‘사실상의 금수’ 조치를 취하면서 정부와 업계는 충격에 빠졌다. 반도체 소재 제품에 대한 일본의 수출 규제는 국제적 비난을 받을 수 있는 소지는 있지만 국제 무역 사회에서 법적·절차적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느냐에는 의견이 엇갈린다.
 

전문가들이 본 해법·전망
국내 기업들 부품 다 끊겨 큰 타격
일본 조치 위법 여부 해석 엇갈려
정부가 나서 외교로 문제 풀어야

그럼에도 일본의 조치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보호무역주의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데 무게가 실린다. 김흥종 KIEP 선임연구위원은 “무역에서 가장 중요한 게 비관세 장벽인데 (수입 제한이라는) 이번 조치는 비관세 장벽을 높이는 것으로, 결국 보호무역주의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며 나타나는 현상이 외교 문제와 경제 수단의 연계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외교적인 문제를 경제적인 것으로 ‘교차 보복’하는 것”이며 “외교안보 문제를 경제 제재로 연결시키는 것이 새로운 협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설치를 둘러싸고 중국과 빚어졌던 마찰이 대표적인 예다. ‘경제 제재’ 카드를 쓸 때 미국이 국내법이나 국제법상의 이유를 댔던 것과 달리 일본이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지 않고 ‘양국의 신뢰’ 때문이라고 밝힌 점은 논란을 남긴다. ‘노골적인 조치’라는 것이다. 그 때문에 다툼의 여지가 생길 수 있다.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의 대응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효영 국립외교원 경제통상연구부 교수는 “외교적 이유로 수출을 통제하는 행위는 WTO 규범상 위반사항인 만큼 논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이 보복에 동원한 3가지 소재

일본이 보복에 동원한 3가지 소재

관련기사
반면에 절차상 문제가 없다는 시각도 있다. 최병일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그동안 한국 정부를 백색 국가로 지정해 제공했던 혜택(수출 절차 간소화)을 앞으로 제공하지 않겠다는 의미인 만큼 한국을 차별대우하는 것이 아니라 절차상 문제는 없다”고 설명했다. 백색 국가에서 제외되면 수출 제한 품목을 수입할 때마다 일본 정부의 허가와 심사를 받아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WTO에 제소하더라도 승소는 어려울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김범수 KL파트너스 변호사는 “그동안 (한국에) 혜택을 주다가 규제하겠다고 하는 것을 위반이라고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제소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나온다. WTO 제소까지 가게 되면 소송 절차에 걸리는 시간과 2심까지 이어지는 과정까지 국내 기업의 손실이 막대할 수밖에 없어서다. 김흥종 연구위원은 “3개월 정도 지나면 국내 반도체 업체의 부품 조달이 어려워지는 만큼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결국 문제를 해결하는 길은 꼬인 양국 외교를 푸는 데서 시작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이야기다. 온기운 숭실대 교수는 “이번 금수조치는 양국 간 외교적 마찰로 인해 산업이나 경제적 측면에서 일본이 한국에 대해 구체적으로 보복하는 첫 단계”라며 “그동안 우리 정부가 너무 선을 넘었던 만큼 정부가 나서서 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명섭 성균관대 교수는 “정무적으로 해결해야지 WTO 제소를 하면 일본이 더 세게 나올 수 있고, 관련 규제를 계속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정용환·신혜연·윤상언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Rita**** 2019-07-02 10:50:34 신고하기

    뭘로 제소하는데? 이런 생각안하니!! 저들이바보겟니.. 이미 일본이 WTO에 로비를 햇을거란 생각안하니!!! 니덜도알거야 일본의 로비는 미국조차도 두손두발 다든단다!! 일본이 로비하면 세게를 뒤흔들수잇다 라고 하는 소리도잇어!!.. 저들을 상대로 이길수잇을거같니 .. 지금봐 외교무능에 국제무대에서 패싱 당하고 온갖수모는 다당하는데 과연 아나라 문정부 로비가 먹힐까!!.. 어림 반푼없어!! 모르지 미국이 한일 개싸움 그만해하면 WTO가 중재자 역할이나하겟지!!.. 해봐야 백전 백패야 지금의 현상황에선.. 변수는 일본내 반도체 원재료 업체에서 일본정부를 향해 반기를 든다면 모든게해결 되겟지만은 말이지!!... 결국 두나라 이싸움은 미치짓이지!! 두나라 손잡고 낭떠러지기행으로 가는거지머!!!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0 댓글 반대하기0
  • hans**** 2019-07-02 10:29:12 신고하기

    우리가 선을 넘어?? 진짜 논조 미쳤네 여기 댓글다는 토착왜구들이야 항상 보이는 정신분열증이라 그렇다처도;;참나 기가막힌다 정작 일본 내 기업과 협의조차 하지않고 저런 자신의 목에 칼을들이미는 멍청한 짓을 하는 국가를 앞으로 어텋게 신뢰함? 미친 흑자국이면서 하청놈들이 적자국 본청한태 무역으로 으름장 놓는건 어떤 코메디인지? 어텋게 봐조 ㅈ망하게 생긴건 일본인데 신났다고 한국 망하라고 기우재 지내는 놈들은 제발 고향인 열도로 좀 돌아가면 안되냐? 왜 한국에서 난리인걸까 그렇게 싫으면 떠나면 그만일텐데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 댓글 반대하기0
  • cywh**** 2019-07-02 10:15:01 신고하기

    문재인.. 빨리 아베한테 가서 빌어라. 니 자존심 때문에 싸우면, 개돼지들은 괜찮지만, 국민들만 고생이다. 애초에 예상하지 못한 것은 아니지않느냐?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0 댓글 반대하기1
  • 박**** 2019-07-02 08:41:06 신고하기

    멍청한 정부야 그리고 이에 동조한 일부 멍청한 대한민국 국민들아 일본욕하면 애국인양 생각하게 만든 교육이나 생각이 문제여 그러면서 일본 물건좋다고 하고 일본여행 좋아하고 일본은 세계가 인정해주는 나라고 국민이다 그러면 이유가 있을것 아니냐 그런점을 배우고 본받고 과거의 과거의 지배당한 이유와 원인과 분석해서 두번다시 그런 치욕스러운 일을 안당하게끔 할생각은안하고 반세기 휠씬넘게 일본 니 탓만 하고있어니 세월 다 간다 그리고 일본은 대한민국보다 더 더 더 앞서가는데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6 댓글 반대하기0
  • 이**** 2019-07-02 07:54:15 신고하기

    꼴깝한다..무슨 제소냐 당장 몇배로 보복해야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 댓글 반대하기5
  • kyds**** 2019-07-02 07:17:05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댓글 찬성하기0 댓글 반대하기4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