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단독]"日보복카드만 100개…수차례 경고, 文정부 무반응"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일본 통상 전문가들은 반도체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에 이어 일본 정부가 여러 보복 카드를 준비하고 있다고 경고한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달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담 기자회견에 참석해 질문을 기다리는 모습. [EPA=연합뉴스]

일본 통상 전문가들은 반도체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에 이어 일본 정부가 여러 보복 카드를 준비하고 있다고 경고한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달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담 기자회견에 참석해 질문을 기다리는 모습. [EPA=연합뉴스]

지난해 11월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고위관계자에게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전화를 건 사람은 두 부처를 두루 거친 전직 고위관료였다. 그는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일본 기업의 배상책임을 인정한 대법원 판결 이후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두 부처에선 “알았다”고만 답했다.
 
이 전직 고위관료는 2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여러 채널을 통해 일본 정부의 보복 징후를 포착했고 이를 알려줬다”고 말했다. 그는 “민간·정부 부문의 지한(知韓)파 인사가 귀띔해줬고 이를 전달했다”며 “정부가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lan·비상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말했다.
 
그는 “문제는 일본 정부가 준비한 여러 보복카드 중에 이제 겨우 한 개가 나온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도체 핵심소재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에 이어 단계적 보복카드가 준비돼 있다는 의미다.  
 
통상 전문가는 예상 가능한 카드로 ▶농·수산물 수입제한(농림수산성) ▶전략물자 수출제한(방위성) ▶단기 취업비자 제한(법무성) ▶송금 제한(재무성) 등을 지목한다. 한국 정부의 대응에 따라 더 강력한 경제보복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다.
 
지한파 경제학자인 후카가와 유키코(深川由起子) 와세다대 정치경제학부 교수는 이날 전화 인터뷰에서 “일본은 복수의 정부부처가 공동으로 전략을 짜왔다”며 “보복 조치를 취했을 때 한국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큰 카드를 장기간 검토했다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이 단계적 경제 보복 조치에 나설 경우 한국 경제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사진은 삼성전기 부산공장의 클린룸. [사진 삼성전기]

일본이 단계적 경제 보복 조치에 나설 경우 한국 경제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사진은 삼성전기 부산공장의 클린룸. [사진 삼성전기]

후카가와 교수는 이어 “중국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에 대해 국제법 위반 소지가 있는 경제적 보복을 했지만, 일본은 법적 문제가 없는 ‘그레이 존(grey zone·회색지대)’을 검토한 후 카드를 꺼내 들었다”고 분석했다.
 
일본이 공식·비공식 채널을 통해 여러 차례 경제보복 가능성을 내비쳤음에도 대비가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신각수 전 주일대사는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한국에 대해 190여개 이상의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며 “사전에 차분하게 대응했어야 했는데 이런 사태까지 이르게 된 게 안타깝다”고 말했다.
 
지난 3월 일본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는 의회에 출석해 “일본 기업에 대한 피해가 현실화하면 한국에 대해 송금 중단, 비자 발급 중지 등 여러 보복 조치가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가 사태의 심각성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관련기사
 
또 다른 전직 관료는 “올 초 해외 포럼에서 일본 경제산업성 한국 담당 관료가 ‘보복 조치 가능성이 있다’고 귀띔해 줬고, 일본 기업 초청 투자설명회(IR)에서 민간 부문 관계자가 ‘이런 (한·일 관계) 상황에서 일본 기업의 투자를 요청하다니 정신 나간 것 아니냐’고 말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후카가와 교수는 “한국 대법원 판결을 전후로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에 여러 방식으로 경고했지만 한국 정부는 피드백(반응)이 없었다”며 “일본 정부가 잠잠해지기를 기다렸거나 사태가 심각해지면 대응하겠다는 한국 정부의 태도가 지금의 사태를 야기한 것 같다”고 말했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지난 3월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 가능성을 내비쳤다. 한국 정부가 일본의 경고를 너무 가볍게 본 것 아니냔 비판도 나온다. [EPA=연합뉴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지난 3월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 가능성을 내비쳤다. 한국 정부가 일본의 경고를 너무 가볍게 본 것 아니냔 비판도 나온다. [EPA=연합뉴스]

정치·외교 채널을 통해 이번 문제를 해결하되 충분한 준비를 통해 양국 정상이 담판을 지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박영준 국방대 안보대학원 교수는 “일본 스스로 시장경제·자유무역을 부인하는 과도한 조치를 한 게 맞지만, 9월 UN총회·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등 일정에 맞춰 양국 정상이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베, “WTO 규칙에 맞다”=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일자 요미우리신문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한 조치는 WTO 규칙과 정합적이지(맞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자유무역 (원칙)과는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와 국가의 신뢰관계로 행해온 조치를 수정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베 총리의 이번 발언은 이번 조치가 지난해 10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후속 조치임을 스스로 인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일본 정부는 전날 디스플레이·반도체 핵심소재 3개 품목의 한국 수출절차 간소화 우대조치를 없앤다고 밝히면서 ‘대항 조치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동현·문희철 기자 offramp@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jinm**** 2019-07-02 19:30:57 신고하기

    일본의 보복은 에고되어 있는데, 문재인은 오로지 김정은에 환심사서 남북정상회담 개최하고 사진찍는데만 정신이 팔려서 ,방관하고 있단다. 아베의 상대는 한국에서는 문재인 밖에 없는데, 이것은 직무유기 아닌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0 댓글 반대하기0
  • saju**** 2019-07-02 19:29:54 신고하기

    한일관계가 악화되는 것이 붉은무리들의 목표임을 알라. 이걸 알면 모든 것이 설명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 댓글 반대하기1
  • rhdu**** 2019-07-02 19:28:36 신고하기

    문씨는 조언을 해줘도 귀구녕에 말뚝을 박아놔서 듣지도 못하고 이해도 못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 댓글 반대하기1
    • rhdu**** 2019-07-02 19:30:22 신고하기

      그 밑에 외무부 장관은 통역이나 할줄 알았지 뭐 개뿔이나 아는것있냐? 뭐가 심각한지도 모른다.. 그저 정은이 대변인의 대변인 역할하기 바쁘다..

      댓글 찬성하기1 댓글 반대하기1
  • mmkk**** 2019-07-02 19:28:30 신고하기

    뭉가가 노리는 것은 정치적 이득이다. 즉 반일감정을 자극해서 한국을 일본,미국과 떼어내서 북한 중국에 붙여 놓기 위해서는 일본이 무슨 액션을 취해 주어야 하는데 이번에 일본이 그 액션을 취해서 반일감정이 폭발할 것을 기대하고 있는듯 하다. 그래야 뭉가가 바라던 그림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중동등 전언론을 동원한 반일감정 부추키기에 집중을 하고 있는듯 하다. 그러나 지금 예상외로 반일감정은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뭉가의 무능과 무책임으로 화살이 꽂히고 있으니 적지 않이 당황하고 있는 듯 하다. 바라던 그림이 아닌 것이다. 잔머리가 빗나가고 있다는 뜻이다. 오히려 일각에서는 일본정부가 더욱 가열차게 조여서 뭉가를 박살내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이 많다. 계산착오였다는 것이다. 여기서도 반일감정을 부추키는듯한 댓글이 있지만 별 호응이 없는 듯 하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1
  • chei**** 2019-07-02 19:28:17 신고하기

    문제인 할줄 아는게 한개도 없당께 평생 남탓이나하면서 길바닥에서 데모질이나 해처묵은 놈들이 대갈통에 머가 들어있겠어 저런 양아치들 한테 국정을 맡겼으니 말아처묵을 밖에 니에 미 십이다 디졋부러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1
  • chei**** 2019-07-02 19:24:36 신고하기

    그걸아는 문제이니 라면 첨부터 욕지껄이 안했다 멍청하고 대책없는 문제인 양아치 패거리들 국민들 묵고 사는 문제 고통스럽다는데 오로지 정으니 똥 꾸녕만 빨생각만 해서 나라더말아처묵으면 안된다는 취지에서 문제인 사퇴하라고 한거랑께 능력도 깜도 안되는것 이미 판명됏잖여 뭘더~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6 댓글 반대하기3
  • ocea**** 2019-07-02 19:21:29 신고하기

    지지난 대선때 어느 누가 박근혜가 대통령이 되면 보수를 말아 먹고 문재인이가 대통령 되면 나라를 말아먹는다 했다 그분 이름이 기억 안나지만 이런 기가막힌 예언이 어디있냐.문재인 정권의 무능함을 낮낮이 보여주는 쪽이 김정은과 일본이라는게 더욱 놀랍고 자존심마져 상한다.나라가 이 모양 이꼴인데도 김정은에게만 메달리며 국민을 현혹시켜 바보로 만들어 버리는게 더 상 참을 수가 없을것같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7 댓글 반대하기4
  • Sppi**** 2019-07-02 19:19:57 신고하기

    관련공무원들. 직무유기로.검찰에고발해야합니다. 자유한국당이나서야합니다. 이건은대한민국의국익에반하는. 큰직무유기임. 반듯이 담당공무원을고발해야. 다시는공무원들의무사안일.직무태만등이. 발생하지않습니다. 반듯이 검찰에조사해야합니다. 청와대.외교부. 모두고발조치해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5 댓글 반대하기3
  • 권**** 2019-07-02 19:19:26 신고하기

    이것도 신문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2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