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오바마 “한국, 중국이 국제법 어길 땐 목소리 내야”

PDF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박근혜 대통령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18일 새벽 귀국했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순방 결과 브리핑에서 “양 정상 간 개인적 친밀감과 신뢰가 돋보이는 자리였다”며 “당초 예정된 시간을 초과하면서 밀도 있는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30분간으로 예정됐던 단독정상회담은 1시간10분으로 늘어났고, 오찬 확대회담과 기자회견을 합쳐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3시간을 함께했다.

정상회담·공동회견 뒷얘기
오바마 ‘한·중 우호 지지’ 밝혔지만
남중국해 문제엔 한국 외교 부담
한민구, 정상회담 배석 못하고
대통령보다 하루 전날 귀국


 두 정상은 회견에서 중국 경사론을 직접 거론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과 좋은 관계를 갖는다고 해서 중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며 “가끔은 박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면 그것이 미국에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으나 한국이 중국과 좋은 관계를 갖기를 미국은 원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은 ‘한·미 관계와 한·중 관계가 양립이 가능하다’고 말했고, 또 우리 정부의 대중국 정책을 지지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남중국해 문제에선 압박했다. 그는 “박 대통령에게 유일하게 요청한 것은 중국이 국제규범과 법을 준수하기를 원한다는 것”이라며 “중국이 그런 면에서 실패한다면 한국이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에겐 외교적 부담이 될 수 있다.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도 지난 6월 워싱턴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남중국해 분쟁에 대해 “한국이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고 했었다. 기자회견 전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통역 없이 백악관 경내를 함께 산책했다고 청와대 측이 전했다.

 주 수석은 브리핑에서 통일 문제와 관련,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에 이어 이번 오바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도 통일 문제를 주요 의제로 거론했다”며 “한·미 정상 간 공동인식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미 고위급 전략협의 강화 등 후속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두 번째 워싱턴 방문은 흠도 남겼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지난 15일(현지시간)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 이전 문제를 놓고 펜타곤(미 국방부 청사)에서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과 담판을 했으나 면전에서 거부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한 장관은 하루 뒤 열린 정상회담에도 배석하지 못하고 박 대통령보다 하루 먼저인 17일 귀국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KF-X 사업과 관련해 방위사업청이 제대로 못한 것을 한 장관이 해결하려다 실패해 모양새만 구겼다”고 말했다.

 
◆해외 반응=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일본의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 신문은 “박 대통령은 최대 현안인 북핵·미사일 문제에서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결속을 연출했다”면서도 “대중 관계에서는 미국과의 온도 차가 엿보였다”고 전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미국과 한국이 북한을 6자회담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박 대통령이 최근 한·중, 한·미 양자회담을 펼치는 건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고만 보도했다.

신용호·정원엽 기자 novae@joongang.co.kr

◆관련기사

오바마 “한국, 중국이 국제법 어길 땐 목소리 내야”
“펜타곤 사열, 천안문 열병식 이미지 많이 상쇄했다”
동북아평화구상 … 한·일관계가 숙제
[단독] “미, 한국을 경쟁자로 생각해 AESA 기술 안 줘”
AD

J팟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kjaz**** 2015-10-20 02:48:38 신고하기

    중국편인지 . .우리편인지 확실히 하라 . . .라고 하는 말이다 . ..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0
  • inyo**** 2015-10-19 10:04:51 신고하기

    우리 독자들은 중앙일보에 댓글 달지 맙시다! 댓글 달기도 어렵게 해놓고,귀찮게 만들어놨습니다. 댓글이 무서운 모양이군! 찌라시신문이 하는 짓이 퇴보하는게 고작인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 댓글 반대하기3
  • aunt**** 2015-10-19 09:18:10 신고하기

    싱거운 롬이군. 중국이 국제법을 어기면 우리가 알아서 목소리 낼것은 내고 모른척 할것은 한다. 니들이 이래라 저래라 할 사항아니다. 니들것이나 잘해라. 일본이 국제 관행을 무시하고 마구잡이 화폐 발행할때 니들은 모른척 했지. 한국이 그랬으면 오만상 간섭했을 것이다. 엔화 남발 때문에 한국은 죽을 지경이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 댓글 반대하기8
  • Suki**** 2015-10-19 08:07:44 신고하기

    미국이 중국을 너무 모르는것이 문제다. 저번 시진핑 만났을때 남 중국해 자유 항행을 협의하다 시진핑이 분명히 노우 했지. 그걸로 끝난거니 공연히 호랑이 건드려 무슨일을 당할라고 미국이 핵 미사일 한국에 제공하면 한국도 북한처럼 할말 다하고 살수 있지. 2만기 있다는 핵을 100기만 팔아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2
  • 그 냔의**** 2015-10-19 08:00:08 신고하기

    목소리내다 메르스때처럼 중국관광객 안 오면 앉아서 죽으라고??ㅋㅋ 괜히 가서 오바마한테 지시사항이나 받아오고ㅋㅋ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 댓글 반대하기5
  • Anna**** 2015-10-19 05:19:22 신고하기

    약소국 한국이, 강대국 중국한대 어떻게 할말을 하나? 미국한태는 할말 다 하고 사는줄 아나? 미국이 한국한태 중국에 할말하길 원한다면, 최소한 한국의 핵보유를 인정한 후에나 요구하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7 댓글 반대하기2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

미리보는 오늘

미리보는 오늘'일촉즉발' 국회 본회의…열릴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