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북한 “남한, 북·미 관계 참견 말고 제집 일이나 챙겨라”

PDF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한국을 향해 북·미 관계에서 빠지라고 요구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권정근 북한 외무성 미국 국장 명의로 27일 나온 담화에서 “조·미 관계를 중재하는 듯이 여론화하면서 몸값을 올려보려 하는 남조선 당국자들에게도 한마디 하고 싶다”며 “조·미 대화의 당사자는 말 그대로 우리와 미국이며, 조·미 적대관계의 발생 근원으로 보아도 남조선 당국이 참견할 문제가 전혀 아니다”고 주장했다. 남북 접촉에 나섰던 청와대와 정부의 대북 라인에 대해 빈정거린 셈이다.
 

트럼프 방한 앞두고 외무성 담화
“남한 통한 미국과 연락 없을 것”
대미 직거래 또는 중국 활용 예고

담화는 이어 “조·미 관계는 우리 국무위원회 위원장 동지와 미국 대통령 사이의 친분 관계에 기초하여 나가고 있다”며 “우리가 미국에 연락할 것이 있으면 조·미 사이에 이미 전부터 가동되고 있는 연락 통로를 이용하면 되는 것이고, 협상을 해도 조·미가 직접 마주 앉아 하게 되는 것인 만큼 남조선 당국을 통하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조선 당국자들이 지금 북남 사이에도 그 무슨 다양한 교류와 물밑 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광고하고 있는데, 그런 것은 하나도 없다”며 “남조선 당국은 제집의 일이나 똑바로 챙기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담화는 성명보다는 약하지만 북한이 공식 입장을 밝히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날 담화는 향후 북·미 대화와 남북관계에 대한 북한 당국의 입장 정리로도 간주할 수 있다. 담화는 또 “미국과 대화하자고 하여도 협상 자세가 제대로 되어 있어야 하고, 말이 통하는 사람과 협상해야 하며, 온전한 대안을 가지고 나와야 협상도 열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북한의 이날 담화는 지난 20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북·중 정상회담을 통해 시 주석이 북·미 협상의 중재자로 등장한 뒤 발표됐다. 따라서 북한이 한국을 징검다리로 삼아 워싱턴을 바라보던 기존 전략을 버리고, 직접 미국과 통하거나 아니면 중국의 도움을 받겠단 예고라는 해석이 나온다. 일각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국내외 통신사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내놓은 북·미 비핵화 중재안을 놓고 불만을 표시했다는 해석도 있다. 문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과 우라늄 농축 시설을 포함한 영변의 핵시설 전부가 검증하에 전면적으로 완전히 폐기된다면, 북한 비핵화는 되돌릴 수 없는 단계로 접어든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진희관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는 “북한은 생각이 없으면 아예 대꾸조차 하지 않았던 게 지금까지의 모습”이라며 “한국은 빠지라는 이번 요구는 한국 얘기도 듣지 않을 정도이니 미국이 먼저 생각을 바꾸라는 속내가 담겨 있다”고 말했다.
 
정용수·이유정 기자 nkys@joongang.co.kr
AD

J팟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shad**** 2019-06-28 02:27:53 신고하기

    문재인이 결국 토사구팽 당한 것이다. 일개 외무성 국장놈이 대한민국 대통을 능욕하게된 원인중의 하나는 대통을 우습게 알고 쌍욕을 퍼부은 한국 사람들에게도 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0 댓글 반대하기0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