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1주택 비과세 폐지' 91%가 반대하자···기재부 돌연 설문 삭제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기재부가 5일부터 9억원 이하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혜택 유지 여부에 대한 대국민 설문을 진행하다 11일 돌연 삭제해 구설에 올랐다. [국민생각함 캡처]

기재부가 5일부터 9억원 이하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혜택 유지 여부에 대한 대국민 설문을 진행하다 11일 돌연 삭제해 구설에 올랐다. [국민생각함 캡처]

 
기획재정부가 5일부터 “1세대 1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유지해야 할까요?” 설문을 진행하다 11일 돌연 삭제해 논란이 일었다. 올해 1~4월 국세 수입이 지난해보다 5000억원 감소한 상황 등과 맞물려, 야당에서는 “증세를 위한 사전 작업을 하다 급히 발을 뺀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기재부가 진행한 설문은 지난 5일 정부의 국민참여 플랫폼인 국민권익위원회 ‘국민 생각함’ 홈페이지에 올라왔다. 현행 제도는 1세대 1주택자가 매매가 9억원 이하 주택을 2년 이상 보유(투기과열지구는 2년 이상 실거주)할 경우 양도소득세를 면제해준다. 기재부 설문은 이 정책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찬반 여부를 물었다.
 
기재부는 게시글을 통해 “①과도한 양도차익으로 무주택자의 상대적 박탈감이 커지고 ②다주택자는 양도세를 부과받는데 1주택자는 면제해주는 게 조세형평성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있다”고 밝혔다. 현행 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설문에 들어간 것이다. 설문은 두가지, 즉 "국민의 주거생활 안정을 위해 현행 양도소득세 체계를 유지할 것인지"와 "1세대 1주택자에 대한 비과세 체계를 전면 개편해 양도세를 부과할 것인지"를 나누어 진행했다.
 
설문 중간 결과는 326명의 참여자 가운데 298명(91.4%)이 현행 세법을 유지해야 한다(11일 기준)고 응답했다. 게시글 아래에는 “1주택자에게 양도세를 걷으면 아예 이사하지 말라는 거냐" “또 세금을 올리겠다는 거냐” 등 기재부의 이번 설문을 비판하는 댓글이 달렸다.
 
기재부는 11일 오후 해당 설문을 갑자기 중단하고 게시글을 삭제했다. 원래 12일까지 진행될 예정이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실무자가 상부 보고 없이 글을 올린 것이라 뒤늦게 확인 후 삭제를 지시했다. 파장이 클 수 있는 데다 내용 역시 말도 안 되는 내용”이라며 “상부에서 큰 질책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실제 1주택자 양도세 비과세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은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 향후 검토 계획도 없다”며 “해프닝성 사건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하지만 기재부가 설문을 삭제한 뒤에도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는 설문 캡처본이 떠돌며 기재부를 비판하는 의견이 잇따랐다. .
 

이와 관련 국회 기재위 자유한국당 간사인 추경호 의원은 “총선 전에 여론을 살피기 위한 설문으로 의심된다"며 "재정만능주의에 빠진 현 정부가 총선 이후에는 본격적인 증세 움직임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가 포퓰리즘 정책에 중독돼 세금을 마구 뿌려대다 보니 착실하게 돈을 모아 간신히 집 한 채를 마련한 서민·중산층에게도 이젠 세금을 거두려는 것"이라고 했다. 
 
기재부의 월간 재정동향 6월호에 따르면 실제 올해 1~4월 국세 수입은 109조4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000억원 감소하는 등 세수확보에 적신호가 켜졌다.  
 
또 다른 기재위 한국당 관계자는 “일주일 가량 설문을 진행하다 온라인 등에서 반발 여론이 높아지자 허겁지겁 설문을 중단하고는, 뒤늦게 실무자 잘못으로 몰아가는 게 지난해말 신재민 전 사무관 사건과 판박이”라며 “끈끈하면서도 엘리트 의식이 강했던 기재부가 언제부터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한 조직으로 전락했는지 안타깝다"고 전했다. 

 
한영익 기자 hanyi@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chle**** 2019-06-13 15:34:56 신고하기

    빠ㄹ갱이, 좌파, 부역자는 씨까지 죽여야 대한민국이 산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0
  • shmc**** 2019-06-12 17:50:17 신고하기

    웃기는 얘기 집값 푹푹 떨어지는 데 무슨 양도 차익. 소수의 투기꾼을 위한 이 제도는 폐기해야한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9 댓글 반대하기8
  • lees**** 2019-06-12 17:39:40 신고하기

    ㅎ 웃기군 세금 전재산 다가져가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1 댓글 반대하기1
  • jijy**** 2019-06-12 16:22:37 신고하기

    절대 반대입니다. 집 사는데 정부가 도와준것도 없고 열심히 일해 세금 낼거 다 내고 모은 돈으로 겨우 평생에 집하나 장만해서 밑천삼아 노후를 보내려 하는데 또 뜯어가면 이제 일할 수 있는 나이도 아니고 도대체 어떻게 살라는겁니까? 국민 호주머니가 뭐 봉인가요?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74 댓글 반대하기1
  • wonk**** 2019-06-12 16:13:19 신고하기

    참고로 미국에서는 양도이익의 20% 정도를 세금으로 냅니다. 단, 일정기간 이상 해당주택에서 산 경우에는 개인인 경우 25만불, 부부인 경우 50만불까지 감면해줍니다. 유럽에서도 양도소득세는 있습니다. 수입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습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0 댓글 반대하기22
    • wonk**** 2019-06-12 17:23:01 신고하기

      미국의 취득세는 평균 약 2%, 유럽은 2-4%, 보유세는 미국은 1.2~4% 로 무척 높습니다. 유럽도 보유세가 그정도입니다.

      댓글 찬성하기8 댓글 반대하기1
    • spar**** 2019-06-12 17:02:43 신고하기

      한가지만 들고 떠들지 말고 우리가 내고 있는 모든 세금을 같이 비교해야잖소?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 등등. 미국은 취득세가 어떻게 되요? 보유세는요? 있기는 있어요 이런거?

      댓글 찬성하기23 댓글 반대하기0
  • Sain**** 2019-06-12 15:53:11 신고하기

    세금을 늘리려고 악을 쓰는구나? 화장실 갈때마다 화장실세를 받지 그래?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60 댓글 반대하기0
  • 권필성에**** 2019-06-12 15:50:18 신고하기

    직장생활의 경험으로 미루어 확실한 간보기요! 가난하고 빽없는 국민을 가지고 놀지 마시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66 댓글 반대하기0
  • koo6**** 2019-06-12 15:45:19 신고하기

    그 실무자와 결재라인 책임자들 파면하라. 기재부 장관도 책임지고 물러나라.청와대 책임자도 찾아내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62 댓글 반대하기2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