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왕실장' 7개월만에 교체…靑 내부 "김수현 큰 그림 못 그렸다"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3월 26일 '소득주도성장 특별위원회 연속 토론회'에서 김상조 전 공정거래위원장(왼쪽)과 김수현 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이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3월 26일 '소득주도성장 특별위원회 연속 토론회'에서 김상조 전 공정거래위원장(왼쪽)과 김수현 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이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경제 투톱 김수현 정책실장과 윤종원 경제수석을 동시 교체했다. 후임 정책실장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경제수석은 이호승 기획재정부 1차관을 각각 임명했다.   
 
김수현 전 실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청와대 사회수석을 맡아 탈원전, 부동산 등 사회 전 분야를 관장해 ‘왕수석’으로 불렸다. 지난해 11월 장하성 초대 정책실장의 후임으로 발탁되자 "왕수석이 왕실장이 됐다"고 했지만, 7개월여 만에 물러나게 됐다.
 
그 자리를 대신한 건 ‘경제 검찰’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김상조 위원장이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김 위원장은 학계ㆍ시민단체ㆍ정부에서 활발한 활동을 통해 경제 분야뿐 아니라 사회ㆍ복지ㆍ교육 등의 시대적 소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며 “소득주도성장ㆍ혁신성장ㆍ공정경제 등 정부의 3대 경제기조 중 공정경제 부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지난해 6월 청와대 경제라인(경제수석·일자리수석)의 동시 경질 속에 ‘소방수’로 투입됐던 윤종원 전 수석도 1년 만에 물러났다. 후임 이호승 기재부 1차관은 문재인 정부 초대 일자리 비서관 출신으로, 기재부 차관으로 발탁된 지 6개월 만에 수석비서관으로 급을 높여 청와대로 복귀했다.
 
두 사람이 내각에서 청와대로 자리를 옮기면서 일각에선 ‘회전문 인사’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에 고 대변인은 “어떤 성과를 만들어내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단순히 현재 상황만을 가지고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과도한 예단”이라고 말했다.
 
세간의 관심은 문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왕실장이었던 김수현 정책실장이 왜 7개월 만에 전격 교체됐느냐다. 자연히 최근 경제악화 등과 맞물려 "경질됐다"라는 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 하지만 청와대는 경질이라는 평가에 선을 긋고 있다. 한 고위 관계자는 “김수현 전 실장은 이미 2년 넘게 청와대에서 일했는데 경질 운운은 가혹한 진단"이라며 "김수현 실장은 물론 윤종원 수석도 또 쓰임새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홍남기 경제부총리,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최종구 금융위원장 등의 총선 출마설 등이 나오면서 김 전 실장이 내각에 기용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적지 않다.
 
다만 청와대 내부적으로도 가시적 경제 성과를 내지 못한 것에 대해선 "아쉬움이 있다"라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실제 문 대통령은 비공개회의 등에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지만, 경제 컨트롤타워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대국민 메시지가 나와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몇 차례 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한 채 현안 대응에만 급급해 집권 3년 차가 넘도록 최저임금, 소득주도성장 프레임에만 갇혀 있었다는 불만이 있었다"라며 "특히 현실론자인 김수현 실장은 공격적인 행보보다 수세에 몰린 뒤 해명하는, 방어적인 모습을 연출하곤 했다"고 전했다.   
청와대 경제수석으로 임명된 이호승 기획재정부 1차관이 지난달 13일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경제 상황 및 수출 등에 대한 방안을 논의했다. 뉴스1

청와대 경제수석으로 임명된 이호승 기획재정부 1차관이 지난달 13일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경제 상황 및 수출 등에 대한 방안을 논의했다. 뉴스1

 

대신 김상조 위원장이 전격 발탁된 것엔 청와대의 이런 기류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또 다른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참신한 경제 방향성을 설계해달라는 주문이 내포된 것"이라며 “경제수석으로 관료 출신을 임명해 '설계자-실무자'의 균형을 맞췄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문 대통령은 3대 경제기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국민적 동의를 더 높여갈 수 있는 방법 등을 김상조 실장에게 맡길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econ**** 2019-06-22 12:22:50 신고하기

    소주성이 큰 그림이 필요한가?? 그냥 세금 더 걷어서 일단 돈으로 처 발라 핵심 지지층 결집시키는거 아니냐? 동시에 재벌들 해외투자 유발시켜 서서히 국내 재벌의 exposure축소시켜 노조왕국 건설한 후 연방제 피흡수통일. 그건 그림이 아니라 낙서지... 지능 지수 낮고 경제 관련 경험 없는 광우병 주사파들이 하는거 말이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0 댓글 반대하기0
  • JCun**** 2019-06-22 00:02:44 신고하기

    나는 김정숙이가 재벌회사 CEO를 비공개로 끌어모아서 일장 훈시를 하길래 정숙이가 하다 못해서 나서는 줄 알았네, ,, 정숙이기 경제 수석이나 정책실장을 하고 손혜원이 기재부 장관을 하면 그런데로 팀은 안될까 싶네, 그미들이나 그놈들이나 ,,,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1 댓글 반대하기1
  • sool**** 2019-06-21 23:03:58 신고하기

    윤종원이란 자가 경제수석 됐을 떄 언론들은 뭐라고 했었나? 전문가가 기용됐으니 이제 크게 달라질 거라고 하지 않았었나? 언론의 수박겉핥기부터 고쳐야 할 듯하다. 영혼이 없는 전문가나 공무원은 저기만 들어가면 그냥 말장난하는 끼리끼리 속에 물들어버린다. 이제는 소신을 말할 줄 아는 정책리더가 필요한 때이다. 자기가 책임져야 할 정책을 남 얘기하듯 하는 애들이 이 정권에는 유난히 많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3 댓글 반대하기1
  • tree**** 2019-06-21 22:48:47 신고하기

    결국 토착 빨궹이 문재인의 대갈이속엔 오랜 경륜과 안목을 갖춘 전문가는 단지 오래 한 분야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적폐로 규정해서 내쫒고 동네 쌩양아치 사기꾼들을 단지 경험이 없고 황당한 생각을 가졌다라는 이유만으로 불러다 그 자리에 앉힌다. 문재인 그 토착 빨궹이 자체가 정상적인 사고를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극인것이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8 댓글 반대하기2
  • Shim**** 2019-06-21 22:47:24 신고하기

    문재인 대통령님은 경제를 살려보겠다고 노력하는 것이 너무 애처롭고만. 더하기 빼기도 제대로 못 따라가는 산수 지진아가 미분 적분의 수학 문제 풀어야 하여 월매나 머리가 아플까나. 분수도 모르고 잘 나가던 경제 말아 드셨으면 여기까지 만 하셨으면 좋겠구만. 가는 숨 이라도 붙어 있는 넘 이 돌파리 저 돌파리 불러서 숨통 마저 끊어 베네주엘라 따라 황천 길 보낼까봐 걱정이랑께. 재인~ 여기까지... 그만!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3 댓글 반대하기1
  • skyi**** 2019-06-21 22:21:36 신고하기

    탈원전 주장하고 추진한 국가 미래의 웬수 놈 ㅠ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0 댓글 반대하기1
  • 미**** 2019-06-21 21:18:57 신고하기

    김밥 한줄 얼마인가부터. 보시유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1 댓글 반대하기1
  • coco**** 2019-06-21 21:14:59 신고하기

    부동산과 경제정책에 실패한 사람이 국토부장관 하게 생겼구만. 이정부는 그렇게 사람이 없나? 경질이 아니니 또 기용한다고? 정말 할말이 없네요. 답이 없는 정부입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4 댓글 반대하기1
  • scki**** 2019-06-21 20:58:39 신고하기

    김수현 이사람, 문대통령각하의 뜻을 그렇게도 못 읽었나. 한국당 수단 방법 안가리고 때려부수고 구속시키고 순회 집회 못하게 했어야지. 김정숙여사님 뛰우는 정책을 개발 못해으니 이런게 정책수석이라니. 정치 못하는 정책수석은 필요없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1 댓글 반대하기1
  • hein**** 2019-06-21 20:49:32 신고하기

    문대통렴이 개헌을 밀어부치고 적폐 청산을. 하고 조기에 퇴임했으면 역사에 남을지도자가 되었을텐뎌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8 댓글 반대하기1
shpping&life

많이 본 기사

I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