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6.16 17:42
방송인 김제동(45)씨가 과거 서울 동작구가 주최한 행사에서도 1500만원의 강연료를 받은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작년 11월 경북 예천군에서 1500만원, 2017년 4월 충남 아산시에서 2차례 2700만원 등 현재까지 확인된 김씨의 ‘지방자치단체 강연 수입’만 약 1억원에 이른다.
◇빠듯한 지자체 행사 7차례에 강연료만 1억원 육박…더 늘어날 수도
동작구에 따르면, 김씨는 2017년 12월 동작구 상도동 숭실대 한경직기념관에서 열린 ‘인문과 문화 축제’에서 ‘잘가요 2017’이라는 주제로 토크 콘서트를 진행했다. 이날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40분까지 100분간 진행 겸 강연을 한 대가로 김씨는 1500만원을 받았다. 강연료는 전액 시비(市費)로 지불된 것으로 알려졌다. 동작구청 측은 "구체적인 사항을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씨의 ‘고액 강연료’ 논란은 지난 5일 시작됐다. 김씨는 대전 대덕구에서 이달 중순 열릴 예정이던 청소년·학부모 대상 강연에 연사로 나서면서 1시간30분에 1550만원을 받기로 한 사실이 알려졌다. 대덕구는 앞서 혜민스님이나 김미경씨에게는 2시간 강연에 500만~600만원 정도를 지불했는데, 김씨 강연료를 3배 가량 높게 책정한 것을 두고 논란이 불거진 것이다. 특히 재정자립도가 16%대에 불과한 대덕구가 김씨 강연에 지나치게 많은 돈을 쓰려고 한 배경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말들이 나왔다. 자유한국당 이채익 의원은 "친(親)정권 인사를 챙기기 위한 특혜 아니냐"고 했다.
이에 대해 대덕구청 측은 "작년 8월 대덕구가 교육부 공모 사업인 '풀뿌리 교육자치 협력체계 구축 시범사업'에 선정돼 1억5500만원의 국비를 확보했고, 김씨의 강연료는 구 자체 예산이 아니라 이 공모 사업 예산으로 진행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고, 대덕구와 김씨 측은 결국 강연 일정을 취소했다.
이 일을 시작으로 김씨가 과거 고액 강연료를 받은 사실이 속속 드러났다. 현재까지 확인된 김씨의 지자체 강연 수입료만 1억원에 육박한다. 2017년 12월 서울 동작구(100분·1300만원)를 비롯, △2018년 11월 경북 예천(90분·1500만원) △2017년 4월·11월 충남 아산(총 210분·2700만원) △2014년·2017년 9월 충남 논산(총 180분·2620만원) △2017년 11월 경기 김포(90분·1300만원) 등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김씨의 지자체 강연료는 모두 7차례에, 9620만원에 달한다. 물론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동작구에 따르면, 김씨는 2017년 12월 동작구 상도동 숭실대 한경직기념관에서 열린 ‘인문과 문화 축제’에서 ‘잘가요 2017’이라는 주제로 토크 콘서트를 진행했다. 이날 오후 6시부터 오후 7시40분까지 100분간 진행 겸 강연을 한 대가로 김씨는 1500만원을 받았다. 강연료는 전액 시비(市費)로 지불된 것으로 알려졌다. 동작구청 측은 "구체적인 사항을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씨의 ‘고액 강연료’ 논란은 지난 5일 시작됐다. 김씨는 대전 대덕구에서 이달 중순 열릴 예정이던 청소년·학부모 대상 강연에 연사로 나서면서 1시간30분에 1550만원을 받기로 한 사실이 알려졌다. 대덕구는 앞서 혜민스님이나 김미경씨에게는 2시간 강연에 500만~600만원 정도를 지불했는데, 김씨 강연료를 3배 가량 높게 책정한 것을 두고 논란이 불거진 것이다. 특히 재정자립도가 16%대에 불과한 대덕구가 김씨 강연에 지나치게 많은 돈을 쓰려고 한 배경에 대해서도 여러가지 말들이 나왔다. 자유한국당 이채익 의원은 "친(親)정권 인사를 챙기기 위한 특혜 아니냐"고 했다.
이에 대해 대덕구청 측은 "작년 8월 대덕구가 교육부 공모 사업인 '풀뿌리 교육자치 협력체계 구축 시범사업'에 선정돼 1억5500만원의 국비를 확보했고, 김씨의 강연료는 구 자체 예산이 아니라 이 공모 사업 예산으로 진행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고, 대덕구와 김씨 측은 결국 강연 일정을 취소했다.
이 일을 시작으로 김씨가 과거 고액 강연료를 받은 사실이 속속 드러났다. 현재까지 확인된 김씨의 지자체 강연 수입료만 1억원에 육박한다. 2017년 12월 서울 동작구(100분·1300만원)를 비롯, △2018년 11월 경북 예천(90분·1500만원) △2017년 4월·11월 충남 아산(총 210분·2700만원) △2014년·2017년 9월 충남 논산(총 180분·2620만원) △2017년 11월 경기 김포(90분·1300만원) 등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김씨의 지자체 강연료는 모두 7차례에, 9620만원에 달한다. 물론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세금 들어갔으면 金씨 강연료 비싼 이유 명확히 밝혀야"
김씨의 ‘고액 강연료’ 논란이 쉽게 사그라들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이 돈이 모두 ‘세금’이기 때문이다. 물론 김씨가 서민이나 약자를 위한 내용을 주로 다루면서 정작 고액 강연료를 받고 있었다는데 대한 공분(公憤)도 작용했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대덕구 강연의 경우, 혜민스님이나 김미경씨 그리고 김제동씨 사이의 강연료 차이가 3배가 나는 이유에 대해 대덕구는 제대로 된 설명을 못하고 있다. 세금이 들어가는 행사이기 때문에 왜 유독 김씨만 더 많은 금액을 책정했는지, 강연료 책정 기준은 무엇인지 등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대덕구 측은 앞서 논란이 불거지자 "구민 선호도 조사에서 김제동씨가 1위를 했다"며 "김제동씨의 섭외를 요청한 한국능률협회를 통해 지난 5월 중순 쯤 1500여만원의 섭외료 확정 통보를 받았다"고 했다. 그러나 대덕구의 ‘선호도 1순위’ 설명 조차 추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명사초청 설문조사를 담당한 용역 업체는 순위를 매기지 않은 6명을 대덕구에 추천했을 뿐, ‘김제동씨가 1위를 차지했다’는 결과는 전달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논란이 된 다른 지자체들 역시 고액의 강연료를 요구하는 김씨를 선택한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논산시 측은 "시민들의 설문을 통해 김제동씨가 후보에 올랐던 것이며 강연 당시 청소년 등 지역 주민의 반응이 좋았다"고만 했다. 아산시 관계자는 "일반적인 강의보다는 일종의 공연을 하고 출연료를 받은 것이기 때문에 통상적 강연료 수준에서 많다 적다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예천군 관계자도 "유명한 강사다 보니까 단가가 세다고 생각했다"는 취지로 말했다. 이들 5개 지자체 시장·군수들의 소속 정당은 예천군(자유한국당)을 제외한 나머지 4곳 모두 더불어민주당이었다.
논란이 이어지자 지난 1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이채익·안상수·홍문종 의원은 김씨의 고액 강연료 논란과 관련해 "지자체의 특혜성 고액 강연료 실태를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김씨의 ‘고액 강연료’ 논란이 쉽게 사그라들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이 돈이 모두 ‘세금’이기 때문이다. 물론 김씨가 서민이나 약자를 위한 내용을 주로 다루면서 정작 고액 강연료를 받고 있었다는데 대한 공분(公憤)도 작용했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대덕구 강연의 경우, 혜민스님이나 김미경씨 그리고 김제동씨 사이의 강연료 차이가 3배가 나는 이유에 대해 대덕구는 제대로 된 설명을 못하고 있다. 세금이 들어가는 행사이기 때문에 왜 유독 김씨만 더 많은 금액을 책정했는지, 강연료 책정 기준은 무엇인지 등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대덕구 측은 앞서 논란이 불거지자 "구민 선호도 조사에서 김제동씨가 1위를 했다"며 "김제동씨의 섭외를 요청한 한국능률협회를 통해 지난 5월 중순 쯤 1500여만원의 섭외료 확정 통보를 받았다"고 했다. 그러나 대덕구의 ‘선호도 1순위’ 설명 조차 추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명사초청 설문조사를 담당한 용역 업체는 순위를 매기지 않은 6명을 대덕구에 추천했을 뿐, ‘김제동씨가 1위를 차지했다’는 결과는 전달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논란이 된 다른 지자체들 역시 고액의 강연료를 요구하는 김씨를 선택한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논산시 측은 "시민들의 설문을 통해 김제동씨가 후보에 올랐던 것이며 강연 당시 청소년 등 지역 주민의 반응이 좋았다"고만 했다. 아산시 관계자는 "일반적인 강의보다는 일종의 공연을 하고 출연료를 받은 것이기 때문에 통상적 강연료 수준에서 많다 적다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예천군 관계자도 "유명한
논란이 이어지자 지난 1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이채익·안상수·홍문종 의원은 김씨의 고액 강연료 논란과 관련해 "지자체의 특혜성 고액 강연료 실태를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혔다.
100자평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