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단독]"공수처, 중국 것 베낀 것…그쪽선 정적 제거에 활용"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윤웅걸 전주지방검찰청장. [뉴스1]

윤웅걸 전주지방검찰청장. [뉴스1]

현직 검사장이 국회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검경 수사권 조정안이 중국 공안 제도와 유사하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이번 수사권 조정이 검찰 개혁이 아닌 검찰 무력화와 장악 시도로 볼 수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 제도 베껴서 검찰 장악하려 해" 작심 비판
윤웅걸(53·사법연수원 21기) 전주지검장은 10일 오후 2시 47분 검찰 내부망인 ‘이프로스’에 ‘검찰개혁론2’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윤 검사장은 검찰 내 구성원이 모두 볼 수 있는 인터넷에 올린 글을 통해 “서구 선진국 제도를 제쳐놓고, 굳이 다른 길을 걸어온 중국의 제도를 그대로 베껴 도입함으로써 검찰의 본질적 기능을 훼손하는 방법을 택한 것은 잘못이다”며 “개혁을 명분으로 검찰을 장악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윤 검사장은 또 “사법제도 개혁은 다른 나라의 사법제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는 정치논리에 치우쳐 진행되는 것 같아 매우 우려스럽다”며 “외국의 선진제도를 살피지 않는 것은 눈과 귀를 가리고 개혁을 하는 것과 같다”고  밝혔다.
 
"공수처 도입 국가, 정치적 중립 문제 심각"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도입에 대해서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공수처가 이미 도입된 나라는 대부분 검찰 제도가 미약한 영연방국가로 사법제도 자체가 달라 따라갈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실제 국회에 제출된 공수처 법률안에는 홍콩의 염정공서, 싱가포르의 탐오조사국이 공수처 도입으로 긍정적 성과를 낸 사례로 포함돼있다.

 
윤 검사장은 “싱가포르 탐오조사국은 정부 비판 인사 탄압 등 정치적 중립성 문제가 발생한 바 있고, 홍콩 염정공서는 감시·미행 등 사찰 수준의 불법적 수사방법으로 비난이 끊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중국의 국가감찰위원회는 한국에서 추진하는 공수처와 닮았다”며 “국가감찰위원회는 부패 척결을 명목으로 효율적으로 정적을 제거하는 등 통치권자인 주석의 권력 공고화와 장기집권에 기여하고 있다는 언론의 평가가 나온다”고 썼다.
 
독일·프랑스·일본 사례 제시 
검찰개혁에 참고가 될 만한 해외 사례도 언급됐다. 윤 검사장에 따르면 독일은 검경 수사권 조정 과정에서 경찰의 비대화와 독자적 수사권 행사가 문제 돼 검사의 수사지휘권을 전제로 경찰의 수사권을 부여하는 방식을 논의했다. 독일 형사소송법에는 검사의 수사지휘권과 검사 지시에 대한 경찰의 복종 의무가 명시돼있다.
 
그는 “일본은 현재 검사의 수사권, 수사지휘권, 검사 지시에 대한 경찰의 복종 의무를 확고히 유지하고 있고 프랑스는 수차례에 걸친 형사소송법 개정을 통해 검사의 경찰에 대한 지휘와 통제를 거듭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또 윤 검사장은 “서구 선진국이 경찰에 수사종결권을 주지 않는 건 기소 여부 판단을 기소권자가 행사해야 하기 때문이다”며 “검사의 수사지휘 없이 독자적으로 수사하고 불기소사건을 종결하는 건 중국의 공안이다”고 강조했다.

 
"검찰개혁은 정치적 중립 강화하는 방향 돼야"
문무일 검찰총장이 지난달 16일 오전 대검에서 검경 수사권 조정안 관련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최승식 기자

문무일 검찰총장이 지난달 16일 오전 대검에서 검경 수사권 조정안 관련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최승식 기자

윤 검사장은 검찰의 정치적 중립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검찰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반복적으로 지속되는 정치적 중립 문제를 검사 개개인의 양심과 용기에만 맡길 수는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며 “현재 검찰개혁안과 같이 권력의 영향력은 그대로 두고 검찰권만 약화시킬 경우 검찰의 정치 예속화는 가중될 것이다”고 우려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검사에 대한 대통령의 인사권을 제한하고 검찰을 통치수단에서 벗어나게끔 하는 제도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검사장은 “검사 작성 조서의 증거능력을 제한해서라도 검사들이 과도하게 직접수사권을 행사하는 관행은 줄어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수사는 불편하게 해야 한다’는 문무일 검찰총장의 주장과 같은 맥락이다.
 
윤 검사장은 지난해 11월에는 ‘검찰개혁론’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법무부의 수사권 조정안을 비판했다. 당시 윤 검사장은 “검찰개혁이 검사의 사법통제 없이 경찰의 독점적 수사권 인정으로 가는 것은 사법제도의 후퇴다”고 지적한 바 있다.  
 
정진호 기자 jeong.jinho@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우 끼었**** 2019-06-12 08:55:12 신고하기

    무엇땜시롱 중국과 북한을 좋아하는거냐 우리국민들이 뭐 쓰레기이냐 도대체 너내들 청체가 뭐야 살기좋은 대한 민국을 인민 공하국 만들려면 이땅에서 꺼저버리지 왜 살기좋은 대한 민국에서들 고생하냐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 댓글 반대하기0
  • rkdw**** 2019-06-11 22:57:22 신고하기

    여기는 중국이 아닙니다우리국민은 공산주의 싫어합니다자유민주주의가 좋습니다 이나라 정신차리십시오 나라가 넘어가게생겼습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1 댓글 반대하기0
  • 엘**** 2019-06-11 22:48:25 신고하기

    중국? 북한이 아니고?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6 댓글 반대하기0
  • dhsc**** 2019-06-11 22:42:48 신고하기

    중국을 따라한다고??? 창의력 강조하는 나라에서 잘하는 짓이다..독창적인거 좋아한다며??? 혼자하세여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8 댓글 반대하기0
  • soyo**** 2019-06-11 22:37:23 신고하기

    중국은 공산국가다. 왜 이 정부는 공산주의,사회주의 따라가냐!난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 국민인게 자랑스럽다. 정신차리자 우리!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1 댓글 반대하기0
  • kkm5**** 2019-06-11 14:15:19 신고하기

    윤검사. 평소에 잘하지 개혁하고. 국민이 사랑과 존중받는 제도로 고친다니 꼭 중국 공안에 비교해야겠나 공산주의가 뭔지 알고 그런말하는가? 아직도 정신차리지 못하는군. ㅉ ㅉ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2
  • sdy0**** 2019-06-11 13:47:13 신고하기

    당연한거 아니냐ᆢ검찰무력화하려는거 맞다 이검새야ᆢ너같은넘들 정적이기때문에 공수처만드려고 하는거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3
  • star**** 2019-06-11 06:33:19 신고하기

    문재인의 포퓰리즘 독재 광란의 시대네요. 몇년 못 가 곧 끝나겠지만. . 주재에 맞지 않는 권력을 운 운 좋게 손에 쥐었을 때에 자제해야하지만 그럴 그릇도 식견도 안되는 것입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5 댓글 반대하기1
  • sch0**** 2019-06-11 00:56:47 신고하기

    적폐 청산이란 미명아래 이때까지 보복정치를 자행해 놓고서는 이젠 검찰장악해서 후한을없애고 다음정권도 장악하기 위해서지.한국당잘하는것 별로 없지만 왜 결사 반대 하는지 이해가 간다 통합 강조 하는척 해놓고 오히려 보수 진보 지역갈등부추기놓고서는 정작 본인은 은근슬쩍 북한 정은이를 위해 유럽 순방길에 오른 대통령 ~세금 축내지 마시고 자국민을위해일좀하시길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8 댓글 반대하기1
  • 봄**** 2019-06-11 00:41:05 신고하기

    청와대 자체가 친중이다보니 독재정책도 좋다고 베껴와선 민주적이라 설레발치는 매국노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7 댓글 반대하기2

bottom_513

bottom_514

shpping&life
  • DA 300

  • DA 300

  • DA 300

da_300

많이 본 기사

DA 300

댓글 많은 기사

da_250

da_imc_260

bottom_745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