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안혜리의 시선] ‘닥치고 반일’이라는 우민화 정책

안혜리 논설위원

안혜리 논설위원

‘어벤져스 엔드게임’ 열풍 속에 2016년작 ‘안도 타다오’가 조용히 개봉했다. 고졸의 권투선수 출신으로 이미 1995년에 건축의 노벨상인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안도 다다오(77)의 다큐멘터리다. 나오시마의 지추(地中)미술관, 제주 유민미술관 등을 가보곤 안도 다다오에 대해 꽤 안다고 생각했는데, 지난 주말 영화를 보고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막연히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그 위상이 훨씬 대단해서다. 일본에서는 말 할 것도 없고 콧대 높은 유럽에서도 그의 존재는 도드라진다. 1677년 지어진 유서 깊은 베네치아 푼타 델라 도가나 미술관 리노베이션을 유럽 건축가가 아니라 안도 다다오에게 맡길 정도니 말이다.

 
안도 다다오가 워낙 탁월한 인물이기도 하지만 여기엔 일본을 향한 유럽인들의 경외심도 깔려 있다. 안도 다다오라는 이름에 일본이라는 브랜드가 결합해 매력이 극대화했다는 얘기다.

 
실제로 서구의 일본 사랑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독일 작가 헤르만 헤세(1877~1962)는 청춘의 필독서이자 이젠 방탄소년단(BTS)에 영감을 준 책으로 더 유명한 『데미안』(1919년작)에 ‘키 작은 멋쟁이 일본인’을 데미안의 동행자로 등장시키며 일본에 대한 애정을 과시한다. 헤세처럼 일본에 매료된 근대 유럽 지식인과 예술인은 셀 수 없이 많다. 고흐를 비롯해 19세기 유럽 화가들이 일본 전통 목판화인 우끼요에(浮世繪)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은 건 널리 알려진 바다.

 
그리고 이같은 서양의 일본사랑은 과거형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이다. 문화에서 산업으로, 또 유럽에서 미국으로 오히려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지난 주말 서울 성수동에 긴 줄을 만들었던 ‘커피업계의 애플’이라는 블루보틀, 그리고 그냥 애플 둘 다 미국인 창업자가 일본에 매료돼 제품에 일본 혼을 녹여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 줄로 요약하자면 한국사람들이 쉽게 말하듯 일본이 단순히 돈으로 세계인의 환심을 사온 게 아니라 문화적 깊이와 경이로운 장인정신으로 세계인을 매료시켜왔다는 얘기다. 그런데 한국이라는 프리즘만 거치면 일본은 전혀 다른 나라가 된다. 아무리 털기 어려운 구원(舊怨)이 있다지만 한국의 높은 문화적 수준을 저 발치 아래로도 따라올 수 없는 야만의 나라로 기어이 만들고야 만다. 눈만 질끈 감는다면 좋으련만 일본을 비하하기 위해서라면 왜곡도 서슴지 않는다.

 
이런 식이다. 헤세가 『데미안』에 멋쟁이 일본인을 등장시켰던 바로 그 해인 1919년에 있었던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유명 한국사 강사인 설민석씨는 한 TV예능에 출연해 일제의 석굴암 훼손을 비난했다. “석굴암은 수학·기하학·과학의 완벽한 결정체로 1000년 넘게 완벽하게 보존돼 왔는데 일본이 질투가 나서 시멘트와 콘크리트를 발라서 훼손시켰다”는 것이다. 기록은 전혀 다른 얘기를 한다. 1912년 대규모 보수공사에 들어갈 당시 석굴암은 천장이 무너져 흙으로 가득 찬 상태였다. 일본으로선 문화유산을 살리려고 당시로선 최신기술인 시멘트를 써서 최선을 다했을 뿐이다. 그런데도 방송 이후 일본은 질투에 눈이 멀어 석굴암을 훼손한 야만국가로 한국 대중의 뭇매를 맞았다.

 
자료 한 번 들춰보면 탄로나는 명백한 역사 왜곡인데도 설씨나 방송사가 사과는커녕 정정을 했다는 말은 못 들었다. 사실 별로 놀랍지 않다. 한국에서 ‘닥치고 반일(反日)’은 늘 이렇게 면죄부를 받아왔다.

 
다만 설씨의 석굴암 발언을 그저 예능으로 치부할 수만은 없는 게 문재인 정부 들어 반일 선동이 도를 넘어서고 있고, 방송이 그 선봉장 역할을 하고 있어서다. 올해 3·1절 100주년 기념사에서 문 대통령은 “빨갱이와 색깔론은 우리가 하루빨리 청산해야 할 대표적 친일 잔재”라며 반일이라는 관제 민족주의(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의 깃발을 대놓고 흔들고, 여당인 민주당은 한 재야 사학자의 ‘토착 왜구’ 발언을 옳다구나 하고 반일 장사에 써먹고 있으니 방송이 이리 막 나간다.

 
사실을 외면한 우리만의 이런 ‘정신승리’가 조선 건국 이래 최악의 전쟁으로 이어진 조선통신사의 오판과 뭐가 다를까. 1592년 황윤길 정사는 “왜적의 침범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으나 똑같은 걸 보고 온 김성일 부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 눈은 쥐와 같아 두려울 게 없다”며 선조의 판단을 흐렸다. 그리고 우리 모두가 아는 대로 백성이 혹독한 대가를 치러야 했다.

 
‘닥치고 반일’은 국내 정치에 이용하기 좋을지는 몰라도 국민을 바보로 만들어 나라를 위기에 빠뜨린다. 임진왜란, 그리고 1997년 외환위기 때 그렇게 당하고도 우리는 사실을 사실대로 봐야 한다는 그 단순한 상식조차 배우지 못했다.
 
안혜리 논설위원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중앙일보 핫 클릭

PHOTO & VIDEO

shpping&life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Powered by My-Addr online anonymous proxy service.
You can refresh current page and bar will disapp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