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코스피 상승률, 역대 대통령 중 최하위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2년간 코스피는 약 5% 하락하고 코스닥지수는 16%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대통령 중 코스피 상승률은 최하위이고 코스닥은 중위권 성적이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문 대통령 취임(2017년 5월 10일) 후 약 2년이 지난 8일 코스피는 2,168.01로 마감, 취임 직전 거래일인 2017년 5월 8일(2,292.76)보다 5.44% 떨어졌다.
코스피는 문 대통령 취임 후 기업실적 개선과 주주 친화 정책 강화 등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작년 1월 29일 장중 한때 사상 처음으로 2,60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 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불안, 기업실적 부진 등 대내외 악재의 영향으로 작년 10월 말께 2,000선 밑으로 후퇴했고 올해 들어 소폭 회복한 상태다.
코스피 출범(1983년 1월 5일) 이후 취임한 대통령 7명의 코스피 등락률로 보면 문 대통령의 취임 2년째 증시 성적은 최하위권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 때는 한국경제가 외환위기에서 빠져나오면서 취임 후 2년간 코스피가 60.36%나 뛰어올랐다.
노무현(60.17%)·김영삼(32.71%)·노태우(28.69%) 정부 때도 2년간 코스피는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그러나 증시가 박스권에 갇힌 박근혜 정부(-2.12%)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이명박 정부(-4.37%) 때는 코스피가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는 문재인 정부 2년간 혁신성장 지원, 코스닥 활성화 대책 등에 힘입어 비교적 견조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코스닥지수는 지난 8일 745.37로 마감했는데, 이는 문 대통령 취임 직전(643.39)보다 15.85% 오른 수준이다.
코스닥지수도 증시가 활황세를 보인 작년 1월 920대까지 치솟았으나 그 뒤 미중 무역분쟁 등 여파로 상승 폭의 상당 부분을 반납했다.
문 대통령 취임 후 2년간 코스닥지수 상승률은 코스닥 출범(1996년) 후 역대 대통령 5명 가운데 3번째다.
김대중 정부 때는 2년간 코스닥이 정보기술(IT)·닷컴 열풍의 영향으로 168.87%나 급등했고 박근혜 정부 때도 창조경제 정책 등에 힘입어 17.59% 상승했다. 노무현 정부 때는 13.40% 올랐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21.29%) 때는 금융위기의 후유증에 코스닥도 하락세를 기록했다./김성훈기자 bevoice@sedaily.com
김성훈 기자 증권팀
주요뉴스
많이 본 뉴스
- 1 토스 5만원상품권, 행운퀴즈 문제… 정답은?
- 2 "티바두마리치킨을 공짜로"… 배달의민족, 이번주 내내 '치킨 0원' 이벤트
- 3 티몬 “4일은 사은품데이”… 상품 구매시 사은품 증정
- 4 '트리플어니언 버거' 반값 할인에… 맥딜리버리 홈페이지 먹통
- 5 애플 에어팟 반값… KT, ‘5시 핫딜’ 이벤트 진행
- 6 ‘나이키 에어맥스95 QS’ 소비자 관심↑… 전 사이즈 품절
- 7 ‘임블리’ 임지현, 인스타그램 통해 “오만했다…진심으로 사과”
- 8 [단독]황우석 박사 복귀하나… 한류AI센터·한류타임즈와 만나
- 9 [특징주]화인베스틸·동일철강, 금련산 구리광산 발견 소식에 급등
- 10 빕스, 립아이 스테이크 3300원·피크닉 데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