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단독] 손혜원 보존 주장 통영 공방, 본인 땅과 차로 5분거리

PDF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통영에서 박물관 건립을 추진하면서 땅을 매입했던 무소속 손혜원 의원이 국회에서 추경 투입을 요청하면서 6차례 ‘통영 공방가옥’의 문화재 지정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영 공방가옥은 손 의원이 매입한 부지에서 자동차로 5분 거리에 있으며, 손 의원의 요구는 결국 현 정부 출범 이후에 관철됐다.
 

문화부장관·문화재청장에 요청
“돈 없으면 추경 일부 투입해야”
정권 바뀐 뒤 청장이 문화재 등록

 
국회 회의록에 따르면 손 의원은 2016년 6월 29일 국회 교문위에서 당시 나선화 문화재청장에게 경남 통영의 무형문화재인 추용호 소반장(음식 그릇인 ‘소반’의 장인)을 처음 거론했다. 당시 통영시 소유였던 추 씨의 공방가옥이 재개발로 철거될 상황이 되자 추 씨는 노숙 투쟁을 벌이고 있었다. 손 의원은 “이것이 보존 가치가 있다는 전문가 자료를 봐야만 통영시가 철거를 보류하겠다고 한다. 마지막까지 도와주시기를 부탁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7월 11일에도“그 분 한 분의 문제가 아니라 140년 된 공방가옥을 보존해줘야 한다. 소방도로를 하나 낸다고 그러는 건 정말 잘못된 생각”이라며 “문화재청에서 꼭 좀 챙겨서 해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손 의원은 무형문화재 기술 보다 오히려 건물 보존을 유독 강조했다. 2016년 8월 16일 교문위 회의에서 손 의원은 추씨의 공방가옥 문제를 다시 거론하며 추경예산 투입을 요청했다. 손 의원은 당시 김종덕 문화부 장관에게 “이게 뭐 얼마 들겠나. 추경해서 빨리 돈을 줘서 구하면 그다음에 내년 예산 만들어서 다른 지역에 있는 문화재도 보호하면 되지 않나. 이런 게 급하게 추경에 쓰라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김 장관이 “소반장 문제는 상의 해보겠지만, 사실 무형문화재인 소반장이 중요한 거지 문화재도 아닌 그 지점이 중요한 게 아니지 않나”라고 난색을 표하자, 손 의원은 “지점도 중요하다. 140년 된 집인데 그 집 하나밖에 안 남아있다. 꼭 추경에서 일부라도 부탁한다”고 말했다.
 
손혜원 의원이 소유하고 있는 경남 통영 땅. 위성욱 기자

손혜원 의원이 소유하고 있는 경남 통영 땅. 위성욱 기자

 
손 의원은 이후에도 통영 공방가옥의 문화재 등록을 거듭 요청했다. 2016년 11월 1일 열린 교문위에서 손 의원은 나 청장에게 “직권으로 문화재 지정 등록이 안 되나. 그 자리 보존 못하면 청장은 각오하셔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나 청장이 “그 분(추 씨)의 건강과 기술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하자 “집을 지켜주십시오, 기술 말고”라고 강조했다. 같은 해 12월 28일과 2017년 2월 14일 열린 교문위 회의에서도 통영 공방가옥 문화재 등록을 재차 요청했다. 2017년 2월 14일 회의때 질의응답 내용이다.
 
손 의원=제가 지금 여섯 번째 질의하고 있습니다. 통영 소반장 어떻게 됐는지 말씀 좀 해 주십시오.

나 청장=지난 며칠 전에도 저희 담당 과장이 다녀왔습니다. 소반장을 만나 뵙고 설명드리고 하고 왔고요. 그분이 가지고 계신 모든 도구나 이런 것들은 이미 전주 무형유산원에다 다 안전하게 보존하고 있고 선생님의 건강관리를 많이 채근하고 있습니다.
손 의원=그게 아니라 전수관(공방가옥) 빨리 결정해 주시고요. 통영시 좀 압박해 주십시오.
 
결국 문재인 정부 출범 후인 2017년 7월 나 청장은 직권으로 통영 공방을 문화재(등록문화재 제695호)로 등록했다. 2017년 4월 문화재 등록 신청을 문화재청장이 직권으로 할 수 있도록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이 개정된 뒤 청장 직권으로 문화재로 등록된 건 통영 공방가옥이 유일한 케이스다.
 
손 의원은 2008년 3월 통영시 당동 해저터널 인근에 660㎡, 통영시 문화동에 202㎡의 부지를 매입했다. 추씨의 공방가옥은 손 의원이 구입한 문화동 부지 인근이다. 손 의원이 구입한 부동산은 지난해 12월 목포 및 대전 중구와 함께 통영이 도시재생뉴딜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되면서 ‘통영문화예술관광벨트’에 포함됐다.
성지원·편광현 기자 sung.jiwon@joongang.co.kr
AD

J팟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youn**** 2019-01-24 11:27:21 신고하기

    권력형 비리......문제인정권의 레임덕을 알리는 신호탄이 손혜원이 될거 같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7 댓글 반대하기1
  • feb9**** 2019-01-24 11:21:43 신고하기

    검찰은 도대체 뭐하냐 ???... 고소고발 접수되었고, 수사착수했다는 뉴스가 나온지 수일이 지났는데도.... 핸드폰 압수수색도 안하고.... 김경수같이 증거인멸 할 시간 벌어주는거냐 ???... 핸드폰, 노트북의 자료없이 무슨 수사를 하겠다는거냐 ????... 참으로 이해가 안되네.... 수사를 할 의지가 있기는 한건가 ????... 또 청와대의 지침 기다리냐 ???... 에라잇.....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0 댓글 반대하기1
  • mos8**** 2019-01-24 11:14:55 신고하기

    ...손혜원은 권력형 부동산 게이트다.....권력형 미투 즉 권력 성폭력과 같은 것이다...안희정이나 김기덕.안태현의 뒤에는 거대한 권력이 있고...손혜원도 그의 등 뒤에는 거대한 초 권력이 있다.....손혜원은 거대한 권력을 등에 지고 한...부동산 투기다...온 나라를 부동산 투기로 ...통영.목포.............................권력형 투동산...권력형 미투...같은 연결 고리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0 댓글 반대하기1
  • beet**** 2019-01-24 11:04:49 신고하기

    애매하게 차로 5분 거리 이렇게 적지 말고 키로 수를 적어.... 차로 5분 거리가 엄청 가까운 것 처럼 보여도 100km 로 달려서 5분인지 60km 로 달려서 5분인지 거리가 확 다른 건데..무슨 기자가 ...-,.ㅡ 보통 차로 5분 거리 이렇게 써놓고 아파트 분양하면서 역세권 드립치면 돌 맞는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6
  • sak2**** 2019-01-24 11:04:30 신고하기

    오지랍도 넓다,문화재청,박물관,보훈처를 쥐락펴락 하는 힘이 어디서 나오는건지?모르겠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1 댓글 반대하기0
  • mugy**** 2019-01-24 11:04:09 신고하기

    ㅎㅎ 아예 대놓고 끗발을 부렸도다. 좀 많이 살고 나올 것 같다. 앞으로 누구든지 손혜원을 봐주려고 술수 부리는 세력이 있으면 손혜원은 잠시 재켜두고 술수 부리는 세력부터 손을 보았으면 한다, 혜원아 오래 살고 많이 더 늙어서 세상에 나오너라. ㅎ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1 댓글 반대하기1
  • kdk3**** 2019-01-24 10:54:14 신고하기

    차로 5분이면 걸어서 두시간인데...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 댓글 반대하기7
  • ks00**** 2019-01-24 10:35:31 신고하기

    이...진짜...차로 5분거리면 도보로 얼마나 먼 거린인데...지방상권은 주차장이 없어 도보로 얼마냐가 중요한데...뭔 차로 5분....시속이 얼마로 쟀는데...진짜 기자들 기레기라는 이유가 있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10
  • dlwh**** 2019-01-24 09:57:25 신고하기

    무능한 문정권도 결국엔 여자때문에 탄핵되겠구나!!!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6 댓글 반대하기1
  • Euge**** 2019-01-24 09:21:35 신고하기

    다른곳에는 사두거나 조카 이름으로 구입한 부동산은 없나요? 잘살펴보세요... ㅋㅋ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9 댓글 반대하기0

bottom_513

bottom_514

shpping&life
  • DA 300

  • DA 300

  • DA 300

da_300

많이 본 기사

DA 300

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da_250

da_imc_260

bottom_745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