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일 승무원 영어발음 나빠서…” 한국, 일본 초계기 동영상 조목조목 반박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일본 방위성이 28일 전격 공개한 자위대 해상 초계기에 대한 레이더 겨냥 논란 영상. [연합뉴스]

일본 방위성이 28일 전격 공개한 자위대 해상 초계기에 대한 레이더 겨냥 논란 영상. [연합뉴스]

한국 해군 구축함 광개토대왕함(DDH-971)과 일본 해상자위대 해상 초계기 P-1 간의 레이더 조준 논란과 관련, 일본 방위성이 28일 “한국 측이 화기관제(사격통제) 레이더(FC)를 조준한 증거”라며 지난 20일 일본 측이 촬영한 동영상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그러나 국방부는 총 13분7초 분량의 동영상에 대해 ‘스모킹건(결정적 증거)은 아니다’며 객관적 증거를 제시하라는 입장이다.
 

일 방위성 ‘레이더 조준 증거’ 주장
합참 “안 피하고 우리 군함 쪽 접근
초계기가 되레 저공비행으로 위협”

동영상을 보면 6분6초가량 진행된 시점에 일본 초계기 전술통제관이 “아~, 쏘고 있다. FC 콘택트(접촉)”라고 보고하자 기장이 “알았다”고 답하는 대목이 등장한다. 기장은 이어 “(전파를 감지했을 때 나오는) 소리가 엄청나다”며 “이 소리를 기억하라”고 말한다. “(전파 감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취득했다”는 전술통제관의 발언도 포함돼 있다. 일본 초계기의 전자전 지원 장비(ESM)가 광개토대왕함의 레이더 정보를 파악했다는 의미다. 방위성은 일본 초계기가 서로 다른 주파수 세 개로 모두 여섯 차례 광개토대왕함을 불렀지만 응답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은 일본의 일방적 주장에 조목조목 반박했다. 동영상에 나온 목소리는 긴급한 상황이 아닌 어조였으며, 레이더의 주파수 속성에 대한 정보도 없다는 분석이다. 합참 관계자는 “조준을 받았으면 일본 초계기가 회피했어야 하는데 동영상에선 오히려 왼쪽으로 돌며 광개토대왕함에 좀 더 다가가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초계기가 광개토대왕함에 영어로 교신을 시도한 내용에도 “(한국의) 화기관제 레이더 안테나가 우리를 향하고 있다”고만 돼 있다. 만일 조준 상황이었다면 “조준을 중지하라”고 항의해야 한다는 게 합참의 설명이다. 일본 초계기 호출에 답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일본 승무원이 ‘Korea South Naval Ship(남한 해군 함정)’이라고 불렀지만 통신 상태가 좋지 않고, 영어 발음이 나빠 ‘South’를 ‘Coast’로 들었다. 해경을 부른 줄 알았다”고 밝혔다.
 
함참은 오히려 일본 초계기가 저공으로 날며 광개토대왕함을 위협했다고 반박했다. 일본 초계기는 150m 높이에서 광개토대왕함으로부터 500m 거리까지 근접했다. 김진형 예비역 해군 소장은 “일본 초계기 속력이 빠르기 때문에 자칫 광개토대왕함과 충돌할 수 있는 고도와 거리”라며“아주 위험한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일본 측의 영상 공개는 전격적이었다. 전날 양국 국방 당국 간 화상회의에서 입장이 좁혀지진 않았지만 “협의가 계속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다.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방위상은 기자회견에서 “자위대 제군들에게 불명예가 되는 얘기들이 나오고 있다”며 “자위대가 국제법규와 약속을 지키며 적절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걸 국민이 알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자위대의 명예를 위해 공개를 결정했다는 뜻이다. 기자회견에선 ‘(양국 협의가 막 시작된) 이런 타이밍에 꼭 공개해야 했느냐’ ‘첫 회의가 끝난 뒤 공개하는 게 양국 협의에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는 일본 기자들의 비판적 질문이 쏟아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양국이 상호 오해를 불식시키자는 취지에서 실무 화상회의를 연 지 하루 만에 영상 자료를 공개한 데 대해 깊은 우려와 유감을 표명한다”며 “일본이 공개한 영상 자료는 객관적 증거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인도주의적 구조 활동에 집중하고 있던 우리 함정에 일본 초계기가 저공 위협비행을 한 것은 우방국으로서 매우 실망스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이철재 기자 sswook@joongang.co.kr

구독신청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sing**** 2018-12-30 14:19:10 신고하기

    공해 상에서 전투기가 다가오는데, 안 쏜 게 더 이상한 거 아닌가? 당장 함장을 군법회의에 회부하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 댓글 반대하기0
  • 봄**** 2018-12-30 13:22:42 신고하기

    뻑하면 잘못 들었다 잘못 말했다 그러는데. 이번 통일연방 발언 남북합의서 영문 국문 차이. 외국기자 발언 왜곡..외교 그딴식으로 하지마라. 국민 뉸과 귀만 가리면 모든 할수 있다 생각하나보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1
  • gala**** 2018-12-30 12:20:13 신고하기

    정치군바리들에게 오염된 똥별들이 많아서 치욕적 상황을 자초하는구나... 역사는 되풀이된다~! 임진왜란, 을사늑약 전후의 왜놈들 행태를 다시한번 봐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 댓글 반대하기0
  • seog**** 2018-12-29 23:33:55 신고하기

    국방부나 합참, 이등신들아! 이것을 지금 반박이라고 하고 있나?!! 팩트에는 팩트로 대응해야지. 일본이 동영상을 공개했으면 우리도 뭐 자료를 제시하면서 반박해야지. 반박할 팩트 근거가 없는 것 아니냐. 해경을 부르는 줄 알았다고? 무슨 엉뚱한 소리!! 함정 넘버도 계속 호출하더구만. 일단 듣긴 들었는 모양이구만. 그럼 확인해야지. 벙어리처럼 뭐했어? 아무 말도 안 하고 가만 있었던 거야? 일본이 위협 비행했으면 왜 경고방송 안 했어? 뭐 했어? 녹음한 것 있어? 일본한테 모욕당하는 이런 쪽팔리는 짓 하고 있나!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2 댓글 반대하기0
  • wwoo**** 2018-12-29 13:00:20 신고하기

    이제는 문빨통 정부가 일본을 거의 적국으로 대하는 자세라고 본다. 정부는 물론 여기 중앙일보등 언론도 국민들의 반일감정을 부추켜서 나라의 주적을 북한 빨게이에서 일본으로 방향전환 완료한 느낌. 여태까지 우리영토를 노골적으로 수시로 침범하는 중국놈들 공군기에 대해서는 말한마디 항의 한번 제대로 못하면서 그래도 군사적으로 국가 안보면에서 우방이었던 일본에 대해 경고도 없이 사격자세까지 취하는 걸 보면 빨게이 정권의 총구 방향이 반대로 향하고 있다는 걸 알게하는 사건 이다. 어쨌든 실제 사격통제 레이다를 의도적으로 투사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일본 입장에서 보면 우리 함정이 오해 할 만한 행동을 한것은 사실인것 같다. 일본이 아무 근거도 없이 항의하는 건 아닌데 간단히 사과하면 끝날일을 일본사람 영어발음까지 운운하며 국민적 자존심까지 건드리면서 한일 양쪽 국민들을 이간시키는 저의가 무엇인지.. 아베의 지지율 때문이라고 둘러씌우는게 사실은 문빨게이 주사파 지지율 때문에 이러는 거 아닌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1 댓글 반대하기6
  • cadg**** 2018-12-29 10:32:55 신고하기

    우리는 좀더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일본초계기가 위협비행을 했으면 일본측에 경고했어야지 왜 아무런 행동도 취하지 않았는가. 그리곤 일본이 적반하장식으로 나오는것에 계속 수동적으로 "아니다"만 반복했다. 왜 이런 바보같은 대응을 하는가. 일본이 계속 붙잡고 늘어지자 이제야 할 말을 하는가. 우리는 왜 일본 중국에 계속 이런식으로만 대응하는가. 우리 전통이냐. 방위매뉴얼을 다시 만들어라.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7 댓글 반대하기1
  • star**** 2018-12-29 10:21:15 신고하기

    '승무원의 영어발음이 나빠서 잘못 알아들었다'는 건 일본인들로서는 인정할 수 밖에 없는 반박이 불가능한 해명 ㅋ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3 댓글 반대하기6
  • 한경수(**** 2018-12-29 09:52:33 신고하기

    그 정도 ㅈ랄 발 광했으면 이제 조용해질 때도 됐는데 자기들한테 불리한 것까지 까발리면서 계속 물고 늘어지는 것보면, 일본의 끙끙이속이 더 궁금하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6 댓글 반대하기15

bottom_513

bottom_514

shpping&life
  • DA 300

  • DA 300

  • DA 300

da_300

많이 본 기사

DA 300

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da_250

da_imc_260

bottom_745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오영환 부소장 : oh.younghwan@joongang.co.kr (02-751-5515)
1988년 중앙일보 입사 이래 북한 문제와 양자 외교 관계를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을 오래 다뤘다. 편집국 외교안보부장ㆍ국제부장과 논설위원ㆍ도쿄총국장을 거쳤고 하버드대 국제문제연구소(WCFIA) 펠로우를 지냈다. 부소장 겸 논설위원으로 외교안보 이슈를 추적하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