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文대통령 “北 NLL 인정, 굉장한 대전환···분쟁 수역에서 평화 수역으로”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군 장성 진급 및 보직신고식에서 경례를 받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12일 평양공동선언 부속합의서로 체결된 남북 군사분야 합의와 관련해 “북한으로 하여금 서해 NLL(북방한계선)을 인정하게 하겠다고 하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이뤄진 박한기 신임 합동참모본부 의장 등 군 장성 보직 신고 후 환담자리에서 이렇게 밝힌 뒤, “분쟁의 수역이었던 NLL을 이제는 정말 명실상부하게 평화의 수역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한 대전환”이라고 강조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에서 밝혔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NLL이란 분쟁의 바다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만듦으로써 남북 간 군사 충돌을 원천적으로 없게 하고, 우리 어민들이 어로 금지선 때문에 황금어장을 두고도 조업을 못 하고 있는데 거기에 남북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해 남북 어민들이 함께 조업할 수 있게 한다면 어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은 “서해 NLL은 우리 장병들이 정말 피로써 지켜온 그런 해상 경계선”이라며 “우리 장병들이 피로써 지켜왔다는 것이 참으로 숭고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계속 피로써 지킬 수는 없는 것”이라며 “그러니까 피를 흘리지 않고도 지킬 수 있다면 그것은 더더욱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분쟁 소지는 군사경계선을 중심으로 육상의 비무장지대에도 늘 있었지만 현실적으로 가장 충돌 가능성이 큰 게 서해지역이어서 남북평화에 있어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는 길이라는 것을 잘 좀 (헤아려) 해달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그런 구상이 사실은 옛날 전두환 정부 시절부터 오랫동안 추진돼 왔던 것”이라며 “그러나 북한이 NLL이라는 선을 인정하지 않다 보니 구체적인 합의에 이르지 못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남북 정상회담, 판문점부터 이번까지 쭉 일관되게 북한이 NLL을 인정하면서 NLL을 중심으로 평화수역을 설정하고, 공동어로구역을 만들기로 한 것”이라고 김 대변인은 전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dant**** 2018-10-12 13:56:29 신고하기

    아가 리 벌릴 때마다 소름끼친다. 또 무슨 개수작으로 국민들을 속이려는건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1 댓글 반대하기0
  • Sung**** 2018-10-12 13:04:44 신고하기

    헌법에 대통은 영토를 수호하라고 돼있는데 NLL을 북에게 처음엔 똑같이 40Km씩 한다고 했다가 사기가 탄로나니 북보다 무려 35Km나 더 내주니 여적죄. 중앙은 문제인이 여적죄로 고발 당한 것을 왜 보도 조차 안하나?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0 댓글 반대하기0
  • fanc**** 2018-10-12 12:54:49 신고하기

    十빨노옴. 食口通만 털면 구라. 제갈 대중이가 문재인 너보면 울고 가겠다. "나보다 구라 잘 치는 종자 한마리 봤다"고.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2 댓글 반대하기0
  • bduk**** 2018-10-12 11:51:13 신고하기

    어이구.. 그러셔요.. 갖다 붙이기도 잘 갖다 붙이십니다..그려.. 가만히 있어도 될일을 괜히 평지풍파를 일으켜서 안보만 불안하게 만들어 놓고..한다는 소리가..대단하십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25 댓글 반대하기0

bottom_513

bottom_514

shpping&life
  • DA 300

  • DA 300

  • DA 300

da_300

많이 본 기사

DA 300

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da_250

da_imc_260

bottom_745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https://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https://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오영환 부소장 : oh.younghwan@joongang.co.kr (02-751-5515)
1988년 중앙일보 입사 이래 북한 문제와 양자 외교 관계를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을 오래 다뤘다. 편집국 외교안보부장ㆍ국제부장과 논설위원ㆍ도쿄총국장을 거쳤고 하버드대 국제문제연구소(WCFIA) 펠로우를 지냈다. 부소장 겸 논설위원으로 외교안보 이슈를 추적하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