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Load Image preLoad Image
검색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기사 바로가기
다른 기사, 광고영역 바로가기
중앙일보 사이트맵 바로가기

효순·미선 제16주기 추모제…"사건 진상 밝혀라"

인쇄 기사 보관함(스크랩)



【양주=뉴시스】홍미선 기자 = "효순·미선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라. 불평등한 한미 소파(SOFA·한미행정협정) 개정하라."

지난 2002년 주한미군 장갑차(궤도 차량)에 치여 사망한 고(故) 심미선·신효순 양의 16주기 추모제가 13일 오전 경기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56번 국도 사고현장 평화공원 부지에서 열렸다.

이날 추모제에는 미선효순추모비건립위원회 소속 시민단체를 비롯해 일반 시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추모제는 참석자들이 마을 입구에서 사고현장까지 걷는 추모 행진을 시작으로 헌화, 추모 춤, 평화공원 조성계획 발표, 추모사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문홍주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공동대표는 "반드시 진상을 규명하고 소파를 개정해 미국의 사과를 받아내야 할 것"이라며 "어제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이 열렸다. 한반도 평화와 북미관계 정상화가 이어진다면 효순 미선이를 홀가분한 마음으로 떠나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수 방기순씨는 "안타깝고, 미안하고, 보고싶다"며 고(故) 심미선·신효순 양을 위한 추모 노래를 불렀다.


남재영 평화공원조성위원회 시민대표는 "참사의 원인은 주한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는 현실"이라며 "불평등한 소파로 인해 우리나라 법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천 율곡중학교 3학년 김민성 양은 편지글 낭독을 통해 "억울한 죽음을 알리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촛불을 들었지만 미군들은 끝까지 무죄라고 주장하는 모습을 보고 어이가 없었다"며 "그날 미군의 장갑차가 멈추고 친구들을 만났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라고 고(故) 심미선·신효순 양을 추모했다.

미선효순추모비건립위원회는 사고현장 앞 공원 대지(366㎡)에 추모공원(평화공원) 사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사업은 현재 미군 측이 공원 예정부지에 있는 추모비 이전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아 잠정 연기된 상태다.

지난 2002년 6월 13일 당시 중학교 2학년이던 신효순·심미선 양은 생일을 맞은 친구 집에 가기 위해 인도가 없는 56번 지방도 2차로를 걷다가 훈련을 마치고 복귀하던 미군 궤도차량에 치여 숨졌다.

당시 운전한 미군 병사에게 무죄 평결이 내려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전국 곳곳에서 추모 열기가 일었다.

beautifulsun@newsis.com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D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DA 300

DA 300

shpping&life
  • DA 300

  • DA 300

  • DA 300

da_300

많이 본 기사

DA 300

댓글 많은 기사

DA 300

DA 300

DA 300

뉴스레터 보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군사안보연구소

군사안보연구소는 중앙일보의 군사안보분야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군사안보연구소는 2016년 10월 1일 중앙일보 홈페이지 조인스(news.joins.com)에 문을 연 ‘김민석의 Mr. 밀리터리’(news.joins.com/mm)를 운영하며 디지털 환경에 특화된 군사ㆍ안보ㆍ무기에 관한 콘텐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
김민석 소장 : kimseok@joongang.co.kr (02-751-5511)
국방연구원 전력발전연구부ㆍ군비통제센터를 거쳐 1994년 중앙일보에 입사한 국내 첫 군사전문기자다. 국방부를 출입한 뒤 최장수 국방부 대변인(2010~2016년)으로 활동했다. 현재는 군사안보전문기자 겸 논설위원으로 한반도 군사와 안보문제를 깊게 파헤치는 글을 쓰고 있다.

오영환 부소장 : oh.younghwan@joongang.co.kr (02-751-5515)
1988년 중앙일보 입사 이래 북한 문제와 양자 외교 관계를 비롯한 외교안보 현안을 오래 다뤘다. 편집국 외교안보부장ㆍ국제부장과 논설위원ㆍ도쿄총국장을 거쳤고 하버드대 국제문제연구소(WCFIA) 펠로우를 지냈다. 부소장 겸 논설위원으로 외교안보 이슈를 추적하고 있다.

박용한 연구위원 : park.yonghan@joongang.co.kr (02-751-5516)
‘북한의 급변사태와 안정화 전략’을 주제로 북한학 박사를 받았다. 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ㆍ군사기획연구센터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군사ㆍ안보ㆍ북한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중앙일보에서 군사ㆍ안보 분야 취재를 한다.

중앙일보 SNS 소개

SNS에서도 중앙일보의
뉴스를 받아보세요